
존재의 문법 미는 힘이 교착되어 계를 이루면 외력의 작용 없이 내부에서 자체적인 방향전환이 일어난다. 그것은 닫힌계 내부에서의 자발적인 변화다. 자발적 변화는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국소화 된다. 의사결정비용을 내부에서 조달하므로 운동질량을 소비한 만큼 영역이 좁아진다. 질은 미는 힘이 계에 갇혀 교착된 것이고 입자는 미는 힘이 대칭을 이루어 당기는 힘으로 바뀐 것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당기는 힘은 없다. 미는 힘이 닫힌계 내부로 작용하는 것을 우리가 당긴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줄다리기는 줄을 당기는게 아니라 발로 땅을 미는 시합이다. 미는 힘의 평형이 입자라면 힘은 평형이탈이다. 대칭을 이룬 둘 중에서 약한 쪽으로 이탈하므로 보다 국소화 된다. 국소화 되므로 시간이 걸린다. 척력이 인력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척력으로 바뀔 때 국소화 되므로 시간이 걸리는게 운동이다. 량은 이탈에 의한 힘의 소멸이다. 닫힌계 전체의 척력이 질> 척력의 교착에 의한 평형으로 인력이 입자> 평형이탈로 국소화된 척력이 힘> 국소화 되어 시간이 걸리는 변화의 진행이 운동> 계의 이탈에 따른 힘의 소멸이 량이다. 자연계의 모든 자발적 변화는 전체의 척력에서> 인력> 부분의 척력으로 바뀐다. 자발적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에 국소화된 척력은 통제가능하다. 국소화 된다는 것은 지렛대의 날 부분에 계 전체의 힘이 집결한다는 것이다. 에너지는 국소화된 대신 넓은 공간을 확보하므로 통제가능한 힘이다. 공간의 확보로 방향과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척력이 에너지다. 변화의 엔진 우주 안의 모든 힘은 척력이다. 인력은 인간이 척력을 반대편에서 본 것이다. 인력은 관점에 따라 상대적이다. 절대척력은 있어도 절대인력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일원론을 따르며 이원론은 관측의 상대성에 의한 노이즈다. 존재의 진실이 아니라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좌우가 상대적인 것은 좌표를 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혼자 생각할 때는 자신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정해도 되지만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는 좌표를 그리고 동서남북을 표시해야 한다. 우주는 절대성 일원론을 따르며 상대성 이원론은 인간들이 임의로 약속한 편법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척력>인력>척력의 방향전환을 거친다. 전체의 척력에서 부분의 척력으로 국소화 되는게 마이너스 원리다. 계>체>각>선>점으로 5회에 걸쳐 작아진다. 물탱크의 수압은 척력이다. 노즐로 모이는 힘은 인력이다. 노즐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힘은 다시 척력이다. 모든 변화는 축과 대칭의 입자 구조를 거친다. 대칭이 축에 잡힌 것이 입자다. 투수의 공이 타자의 배트에 맞는 순간 속도는 0이 되어 잠시 정지한다. 그것을 우리가 입자라고 부르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존재는 유체다. 유체의 척력이 교착되어 변화가 나란한 것이 입자로 보인다. 대칭이 아닌 것은 변하지 않으며 변하는 것은 모두 대칭을 거친다. 대칭이 입자다. 유체의 척력이 깔때기에 갇혀 당기는 힘의 입자로 바뀌었다가 노즐을 통과하며 척력으로 돌아간다. 이때 국소화 되면서 발생한 빈 공간을 지렛대 삼아 노즐을 조절한다. 조절되는 힘이 에너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