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64 vote 0 2015.08.18 (23:07:50)

8.jpg






9.jpg

 


    존재한다는 것은 복제한다는 것이다. 내가 대상에 작용을 가했을 때 대상도 내게 작용을 가하면 우리는 거기에 무엇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메아리와 같다. 내가 소리를 지르면 상대방도 소리를 저지른다. 눈은 빛의 반사로 판단하고, 잠수함은 소나의 음향으로 판단한다. 어떤 유형적인 존재는 이러한 다섯가지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인간에게 지각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미시세계와 거시세계 image 김동렬 2015-08-18 8764
3174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8861
3173 세상의 첫 번째 법칙 image 김동렬 2015-08-10 7048
3172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8-09 7143
3171 세상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8-07 7801
3170 대칭을 훈련하라 image 김동렬 2015-08-06 9830
3169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8-04 7779
3168 새로 쓰는 창세기 image 3 김동렬 2015-08-03 6811
3167 다섯 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1 6953
3166 공간과 시간의 이해 image 김동렬 2015-07-30 7554
3165 관점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5-07-27 7187
3164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7562
3163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7595
316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5-07-23 7396
3161 인과율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07-22 6711
3160 인과법칙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7-21 6913
3159 인과율의 3가지 태도 2 김동렬 2015-07-20 8203
3158 문명의 대결 image 김동렬 2015-07-16 7830
3157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8379
3156 진짜 역사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7-13 8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