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720 vote 0 2012.12.31 (15:37:46)

 

    답과 풀이 – 건희들이 개새끼인 증거

 

     아래 질문에 대한 답과 풀이입니다.

 

1obg.jpg

 

    이 그림이 잘그렸다는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나는 김기덕 감독 영화 중에 잘 만든 영화를 본 적이 없다. 영화같지도 않은 것을 며칠 만에 얼렁뚱땅 만들어놓고 영화라고 우기는게 김기덕이다.

 

    심지어 3시간만에 만든 것도 있다. 그래야 한다. 잘 만들면 그게 영화냐 말이다. 그것은 상품일 뿐 예술은 아니다. 잘 그려야 한다는 생각은 아카데미즘이다. 잘 그리지 않는게 인상주의다.

 

    애초에 접근법이 다르다. 거기서 피아구분이 일어난다. 그림을 잘 그려야 한다고 믿으면 일단 적군이다. 잘 그린다? 그럴 바에 컴퓨터에 맡기지 인간이 왜 그런 생 노가다를? 바본가? 돌았나?

 

    진짜는 발명이 아니라 발견이다. 잘 그릴 필요는 없고 단지 찾아내면 된다. 무엇을? 질서를! 그 안에 과학성이 있다. 중요한건 과학이냐다. 예술은 자연의 과학을 건져서 액자에 담아둔다.

 

    과학은 질서를 탐구한다. 그 질서는 그림 안에 없다. 그림을 필요로 하는 인간사회에 그 질서가 있다. 그 사회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그림 안에는 그림이 없다. 사회 안에는 그림이 있다.

 

    한국출신(사실은 재일동포) 화가 중에서 가장 잘 팔린다는 화가의 그림이 고작 17억(진짠가? 평균가 7.9억이라는데)이라면 무엇인가? 한국의 돈쟁이들이 전부 개새끼라는 뜻이 아닌가?

 

    그림값은 국격을 나타낸다. 한국의 국격은 고작 17억? 이건 뭐 한국의 돈쟁이들이라 할 이건희나 정몽구들의 인격값이 고작 17억! 건희넘 연봉은 평생 다 합쳐서 17억이 적당하다는 폭로.

 

    이래가지고 한국의 젊은이들이 예술에 나서겠는가? 이래서야 한국에 미래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이우환, 백남준, 김창렬, 이응노 등은 해외를 떠돌아 다녀서 순 한국인도 아니다.

 

    이 그림 역시 일본의 젠 스타일을 반영한 것이니 광의의 일본그림으로 보는 것이 맞겠다. 백남준, 김창렬, 이응노도 한국이 키운 화가는 아니다. 박찬호 연봉이 올라야 한국인이 야구를 하는 거다.

 

    한국출신 대표작가의 그림이 비싸야 한국인이 그림에 관심을 갖는다. 왜 애플폰은 좋은데 삼성폰은 표절이겠는가? 그림값이 똥값이니까 그런 거다. 17억? 창피하다. 170억도 아니고.

 

96523.jpg

 

 02.jpg

 

趙無極~1.JPG

 

    잘 나가는 중국 화가 趙無極의 그림. 훨씬 비싸다고. 이우환은 아시아 화가 중에서 그림값으로 10등쯤 한다는데. 바둑도 1등이고(요즘은 밀렸으나) 스포츠도 잘 하는데 왜 예술은 아시아에서도 꼴등인가?

 

    그림값은 세상 전체의 가격에 연동되어 있다. 그림 자체에 가치가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 아담과 이브만이 지구에 있을 때는 아담 혹은 이브의 몸값이 지구 전체의 가격과 맞먹는 정도였다.

 

    아담을 매물로 내놓으면 살 사람은 이브밖에 없는데 이브 입장에서는 지구를 다 주고라도 사들일 밖에 없다. 달리 방법이 있겠는가? 그림값은 현대문명의 가격에 연동되어 있는 거다.

 

    그림 자체에 가격이 있는게 아니라 문명의 가격이 그림에 반영되는 것이다. 그것이 신용의 본질이다. 금값이 오르는 이유는 문명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금은 그냥 누런 돌멩이에 불과하다.

 

    그림이 좋다고? 금이 좋냐? 하긴 금 좋다는 사람도 있더라마는. 금값은 그 물질의 가치가 아니라 사회의 가치를 반영하는 거다. 금 자체는 아무런 가치도 없다. 그림? 300원이 적당하다.

 

 111.jpg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는 얼마일까? (2007년 430억 달러) 그럼 이 코카콜라 글자값이 50조원을 넘는다는 말인가? 하여간 1892년에 캔들러는 2300달러를 주고 이 브랜드를 사들였다고.

 

    구조론은 내용보다 형식을 앞세운다. 그림 자체에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고 인류문명의 가치가 그림에 반영되는 것이며 이 그림이 비싼게 아니고 다른 그림이 이 그림에 미치지 못한다.

 

    이 그림은 과학성이 있다. 과학적 진리가 반영되어 있다. 조형적 질서가 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있다. 질은 그림 자체의 질이 아니다. 이우환 화백의 평생동안 이루어온 전체의 질이다.

 

    일본에 모노파를 히트시킨 값이 반영되어 있다. 그림값이 17억이면 모노파의 값이 얼마일테고 모노파 대표성값이 얼마일테고 한 마디로 브랜드값이다. 브랜드값과 그림 가치를 혼동하지 말라.

 

    어떤 무명화가가 뛰어난 그림을 그렸다면 그 그림이 비싸겠는가 아니면 피카소의 화장실 낙서가 비싸겠는가? 당연히 피카소가 낙서한 화장실 휴지가 더 비싸다. 피카소 브랜드값이다.

 

    피카소의 어떤 그림이든 피카소 전체값에 빨대를 꽂는다. 고흐의 낙서라도 고흐의 생애동안 그린 모든 그림값의 가격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무명화가의 뛰어난 그림은 가치가 없다.(피카소 역시 서구문명 전체값에 빨대를 꽂는다. 피카소는 서구문명의 브랜드이므로.)물론 그 무명화가도 죽으면 '이야기'가 생겨서 그림값이 비싸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림을 사들이고 화가를 납치하여 살해한 다음 되팔면 된다. 영화에 나올법.

 

    형식이 내용에 앞선다. 문명값이 그림시장값에 반영되고, 그 시장의 대표성값이 그림값에 반영되고, 그 화가의 명성값, 브랜드값이 반영된다. 가치가 그림 자체에 있다고 믿는다면 초딩이다.

 

    결론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 중에서 질은 우주값, 자연값, 문명값, 시장값, 브랜드값을 하나의 지점에 모아내는 절차이며 그것은 과학성이다. 과학은 에너지의 결을 나타낸다.

 

    즉 세계 그림시장, 아시아 그림시장, 일본 그림시장(한국은 시장이 거의 망한 듯.), 이우환 화백의 그림인생 전체의 시장이 저 하나의 그림에 집약되어 있으며 이를 파악하려면 시장 전체를 봐야 한다.

 

    세계시장의 트렌드, 아시아시장의 트렌드, 일본시장의 트렌드 안에서 이우환 인생의 트렌드에서 이 그림의 포지션을 발견할 때 이 그림이 화룡점정의 눈동자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 전체의 흐름을 모르고 그냥 그림 하나만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바보다.

 

    그림 안에 먹 밖에 없다. 꺼먼 것도 그림이고 흰 것도 그림이다. 당신의 몸값은 얼마인가? 이 그림에 매기는 그림값이 대개 그 사람의 평생몸값과 일치한다고 보면 맞다. 물론 나는 무조건 당신보다 10원 더쳐준다.

 

   

[레벨:15]오세

2012.12.31 (15:46:14)

정조가 승하하면서 정치상황이 급변하자 단원 김홍도의 생계가 궁핍할 정도로 어려워졌다. 그 와중에 그는 어떤 이가 팔려고 내놓은 매화 화분에 그만 마음을 뺏겨 버렸다. 마침 그림 값으로 들어온 3,000냥이 있어 2,000냥으로 매화를 사고, 혼자 보기 아까워 친구를 모아 800냥으로 술자리까지 벌였다. 

------------------


그림값에 매화화분도 더하고, 거기에 친구까지 더하고, 거기에 술과 안주까지 더하여 흥겹게 노는 것은 어떻겠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31 (15:48:22)

사실 그림값은 귀족들의 사교값인 경우가 많소.

주로 망한 귀족들이 시골 졸부들 벗겨먹을라고

[레벨:15]오세

2012.12.31 (15:49:46)

전송됨 : 트위터

그럼 유럽, 미국 귀족들이 중국, 러시아 귀족들 벗겨먹을 차례겠구려. ㅎㅎ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31 (15:55:30)

근데 항상 그 강도질의 피해자가 승리자가 되는 것이 역사의 아이러니.

원래 미국 졸부들이 유럽 귀족들의 호구였는데 그 결과 미국 그림시장 대박, 유럽몰락.

한국은 호구들이 없어서 발전이 안 되는 것이오.

[레벨:9]길옆

2012.12.31 (15:56:00)

중국에 요즘 미술품 가격이 천정부지라던데...

중국에 졸부들이 많긴 많은 모양

그만큼 부패했다는 증거이기도 하겠거니와.

 

프랑스 영화중에 누드모델이라는 것이 있는데

시골에 사는 노화가의 집에

화상, 젊은화가와 그의 애인이 찾아와서

화가의 작품을 보면서 얘기하다가

화상의 제안으로 젊은화가의 애인에게는 먼저 허락을 구하지 않고

남자 셋이서 노화가가 수십년전 자신의 아내를 모델로 그리던 그림을

젊은화가의 애인을 모델로 해서 다시 착수해보자고 거래를 함.

젊은화가의 애인은 처음에는 자신에게 허락을 구하지 않은 것에 분개하지만

모델로 나서고, 노화가의 아내도 처음에는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척하다가

질투아닌 질투를 하게 되고, 젊은화가도 질투같은 것을 느끼고...

하여튼 노화가는 처음에는 더이상 그릴 수 없다면서 포기하려다가

여자와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젊은 시절의 열정같은 걸 되찾고

결국 그림을 완성하지만 정작 그 그림은 벽속에 숨겨버리고,

아내가 잠든 밤사이에 몰래 다른 그림을 그려서 발표함.

물론 화상이 비싼값으로 사갑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느낀 점은 그림은 화가가 그렸지만

주위의 사람들이 다같이 그렸다는 것.

특히 화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고의 가격으로 대우할테니 나에게 팔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31 (16:08:17)

중국 시장규모에 비하면 싸죠.

 

프로필 이미지 [레벨:7]以人爲先也

2012.12.31 (16:05:29)

이명박 같은이가 문화 예술 인문학에 테러를 저질러도 심판받지 못하니 똥값일 수 밖에
그림 값 부터 해서 한국 고유의 문화 산물이 똥값인 건 결국 문명 수준이 낮게 평가 받는 다는 것.
우울하네요.
[레벨:9]길옆

2012.12.31 (16:16:59)

낸시랭이 천대받는 걸 보면 말 다했죠 뭐..

이우환 작가도 보니 설치미술, 퍼포먼스에 가까운 것 같던데...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2.12.31 (19:40:08)

로이 리히텐슈타인 의 <행복한 눈물>도 팝아트 브랜드 값이라는 얘기...
이건희류가 국내작품의 값을 올리지 않는 이유는 그림을 예술을 투기로 접근하기 때문.
먼저 올려 예술상승을 시키지 않는 이유는 그림을 예술을 재산을 지키는 방식으로 접근하기 때문.
공개하지도 못하고 미술관에 전시도 못하고 그 그림을 보아야 할 많은 이들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도 다 돈으로 보기 때문. 이정도 돈을 그림에 짱박아 두고 나중에 그정도 돈으로 교환할 속셈.
한국시장을 금고로 생각하고 있음. 한국시장이 커지면 그짓도 못하게 되므로... 의도적으로 키우지 않는 것음. 키우려고 마음 먹는다면 본인이 그림에 별 생각이 없어도 시장조사해오라 말한마디면 끝날텐데...이미 정보를 갖고 그 정보를 이상한데만 사용하고 있음. 엿 드삼!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15門15門

2012.12.31 (21:45:41)

솔직히 이번 답변은 좀 놀랐습니다.

문제를 내시고 문답을 하는 답글들을 보며 도대체

저 그림에 어떠한 철학이 담겨있길래 17억이나

하는 가치가 있다고 보는 걸까하는 궁금증이 컸습니다.

아무리 그 그림에 관계, 에너지, 우주, 신등과 같은

온갖 사유가 담긴다고 한들 17억의 가치가 있으리라고

는 생각치 않았습니다.

마치 그것은 그릇에 어떠한 음식을 넣어 손님께 드리는 

것과 같아 17억의 가치란 과한 것일 거라고 단정지었습니다.

그래서 풀이가 더욱 궁금했습니다. 

도대체 저 그림에 담긴 내용물이 어떠한 것이길래

그런 가치인 것일까?


결론을 본 뒤 약간의 멘붕이 오는군요.

사실 그림값이 국격이라는 말 자체는 그다지 충격을 받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한 사유에서 조금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그 그림 자체가 어떠한 철학을 담은 그릇이라고만

생각하고 그 철학에만 관심을 두었으니까요.

헌데 결론은 그 그림자체가 국격이라는 하나의 그릇에 담긴 또다른

내용물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오히려 국격의 차원에서 생각해보니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던 17억이란 가치는 왜소해져버렸습니다.


이건 뭐 꿈에서 깨어났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꿈 속이었다는

기분과 다를바 없었던 것 같습니다. 

마치 2차원의 세계를 3차원의 시선으로 살피는 듯한 

안목을 느끼며 솔직히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습니다.


무언가를 알아가면서 이런 기분이 드는 것은 드물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껏 제가 알아왔던 것들은 대개 몸으로 부딪혀 깨지고 실패하며

체득해온 것들이어서 제게 언제나 깨달음은 상처로 기억되곤 했거든요.

즐거운 일이었군요. 보지 못하던 무언가를 볼 수 있게 된다는 건.

덕분에 올해 마지막 뜻깊은 하루가 된 것 같습니다.


구조론 연구소 여러분들 모두 새해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31 (22:12:55)

자본주의를 논할 때 서부시대의 위조지폐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그림값의 결정과정은 위조지폐 유통과정과 흡사합니다.  그런데

위조지폐 때문에 자본주의가 발전하고 다수가 실제로 이득을 보

았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어떤 사람이 땅 속에서 금을 캐내면

공중에 이득을 줍니다.   그런데 금은 먹지도 못하고 쓰지도 못합

니다. 요즘은 금을 전자제품에 쓰지만 이건 논외.  먹지도 못하는  

금을 캐서 사회에 어떤 이득을 주느냐고요? 이득을 줍니다. 먹지

도 못하는 금을 콜롬부스가 잉카에서 털어온 결과로 상업혁명이

일어나고 산업혁명으로 전개되었습니다. 광부가 금을 캐는건 인

정을  하면서 화가가 그림 캐는건 인정을 못하겠다? 이건 꼴통들

의 사고방식입니다.   작가가 글을 캐고 지식인이 지식을 캐고 철

학가가 사유를 캐는건 인정을 못하겠다? 눈에 안 보이니까? 이건

도둑놈 심보죠. 합리적 사고를 가져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위조

지폐를 만들어서 유통시키는데 성공하면 그것이 지폐입니다. 한

국은행이 위조지폐의 주범이긴 하지만.    물론 이런 이야기는 은

유적으로 들어야 합니다. 본질이 그렇다는 말.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2.12.31 (22:57:40)

위 댓글에서 이 화백의 조응에 똑 같은 '점'을 발견했습니다!

" 작가가 글을 캐고 지식인이 지식을 캐고 철학가가 사유를 캐는건 인정을 못하겠다? 눈에 안 보이니까?"

99.9999% 일치함을 느낍니다. 우주의 틈 사이로 캐내는 문명의 보석들을 인정하길 바랍니다.

2013부턴 우리나라 정치가들이 경제가들이 이 '점'을 볼 수 있기를 기원하며...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3.01.01 (00:29:07)

갑자기 가진 재산 다 털었던 간송선생이 생각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3.01.01 (00:34:01)

 1943년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제70호,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을 손에 넣던 이야기가 유명하다. 

 

당시로선 존재 사실만 알려져 있던 훈민정음 해례본이 경북 안동에서 나왔는데 조선시대 이한걸 가문에 소장되어 있었다. 그의 선조 이천이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세종이 하사했다고 한다. 표지 2장에 본체 3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20센티미터, 세로 32.3센티미터 크기이고, 처음 두 장이 망실되었는데 연산군의 기훼제서율을 피하기 위한것이라 한다.

 

간송은 이한결이 선조가 하사받은 것을 훈민정음 해례본인줄 알면서도 그 가치를 알지 못하여 생활고 때문에 1000원으로 내놨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1000원은 서울의 기와집 한 채 값으로, 고서 가격치곤 비싸다는 주위에 만류에도 불구하고 소개한 이에게 사례로 1000원, 해례본 값으로 1만원을 쳐 주며 "훈민정음 같은 보물은 적어도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합니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1.01 (09:31:28)

요즘 일본가구 무지가 우림나라에도 인기가 있다고 하는데 

그게 다 이우환 등이 주도하는 일본 모노파 영향을 받은 겁니다.


세계적인 건축상을 일본인이 휩쓸고 있다든가 그런 예가 많은데

하다못해 초밥집 접시 하나에도 다 내밀한 상호작용이 있는 거고


그런데도 이 작품의 가치를 모르겠고 이 작품의 의미를 모르겠다는 양반이

운동화를 살 때는 꼭 브랜드 값을 쳐주고 나이키를 신거든요.

 

나이키값이 결정되는 원리나 이 작품의 값이 결정되는 원리나 같습니다.

이 그림값을 이해못하겠다는 사람들이 아이폰은 메이드 인 차이나지만 비싸게 사거든요.


이런 전체의 흐름을 안다면 170억도 싸다는 것을 알게될 것입니다.

일본문화라는 브랜드 자체에 이 양반이 상당히 기여한 거죠.  


대한민국의 브랜드값은 얼마나 할까요? 김기덕과 싸이가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얼마를 쳐주고 있지요? 


이케아 가구는 브랜드만 보고 사겠다고 덤비는 사람들이

그 브랜드의 아이디어를 제공한 진짜 주인은 몰라보겠다는 심보라면


도둑놈 심보가 아닐까요? 절대 그냥 나오지 않습니다.

화가들의 것을 훔친거죠. 갤스 디자인이 그냥 나왔나요?


[레벨:9]길옆

2013.01.02 (10:55:43)

무지(無印良品)는 1980년도에 일본의 세이유 스토아와 세이부 백화점의 PB브랜드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이마트의 자연주의라는 PB브랜드쯤 되겠지요.

(이마트에서 자연주의 상품을 봤을 때 무지제품과 비슷한 느낌이 들었었는데

자연주의가 무지를 모방한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大村益三 라는 미술가가 말하길

하여튼 당시 일본에 무인양품이 처음 등장했을 무렵

미대에서 もの派의 대중화전략에 대해 설명을 듣던 학생들이

어 이거 무인양품 설명이잖아. 라고 했었다고 하네요.

무인양품과 모노하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뭔가 비슷한 정서가 흐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었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이우환 화백과 무인양품의 아트디렉트였던 타나카 이코

라는 디자이너는 서로 교류가 있었던 것 같더군요.

이조민화라는 책을 만드는 데도 같이 참여하고...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1.03 (14:36:24)

아는 사람끼리는 통하는게 있지요.

문제는 크게 세력을 이루어야 시장이 서고 상품이 팔린다는 거.

이우환 화백의 그림을 비싸다고 여기는 한

한국인들은 일본의 무인양품을 비싸게 사들이게 되고

한국물건은 안 팔린다는 거.

한국인만 호구노릇 한다는 거.

자기들이 호구짓 하는거 모르고 그림 비싸다고 헛소리나 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67 부조리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1-29 13820
2566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1-26 12233
2565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생각방법 image 12 김동렬 2013-01-23 13711
2564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image 19 김동렬 2013-01-21 14679
2563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3-01-19 23236
2562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8560
2561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3-01-15 11720
2560 구조론의 제 1 지식 image 3 김동렬 2013-01-14 14583
2559 구조론 수학 써먹기 image 김동렬 2013-01-12 11841
2558 칸토어의 죽음 image 11 김동렬 2013-01-11 13865
2557 다뉴세문경을 뒤집어라! image 1 김동렬 2013-01-10 12210
2556 0 아니면 1, 모 아니면 도 image 4 김동렬 2013-01-09 12489
2555 쉬운문제 - 보기에서 남의 정답은? image 36 김동렬 2013-01-08 11807
2554 정답 - 적도 물 회오리 트릭 image 2 김동렬 2013-01-07 14698
2553 문제 - 적도 물 회오리 image 22 김동렬 2013-01-07 14121
2552 건축, 가구, 회화, 패션, 화장 image 8 김동렬 2013-01-06 12011
2551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7949
2550 문제 - 어느 가구가 나은가? image 49 김동렬 2013-01-04 25216
2549 조응 -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1-03 13358
» 풀이 – 건희들이 개새끼인 증거 image 17 김동렬 2012-12-31 14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