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은 게임이론으로 풀어낸 진화론이다. 여기서 진화는 무기체적 자연현상을 포함한 넓은 의미에서의 진화다. 비단 생물이 진화할 뿐 아니라 인간의 사회도 진화하고 밤하늘의 천체도 진화한다.
항성도 진화하고, 화성암도 진화하고, 결정도 진화한다. 우주는 통째로 진화의 산물이다. 인류문명의 발달, 역사의 진보, 사회관계의 고도화, 도구의 발달, 자본의 증식도 진화론으로 풀어낼 수 있다.
구조론은 생물의 진화에 국한된 좁은 의미에서의 진화 개념을 보편화. 일반화 한다. 진화는 모든 발달하는 것, 성장하는 것, 질적으로 고도화 되는 것, 새롭게 탄생되는 것에 공통되는 보편원리다.
구조론의 핵심은 조직의 발달 개념이다. 유기체의 진화가 세포 조직의 발달에 의해 일어난다면 인류문명의 진보는 사회적 조직의 발달에 의해 일어난다. 도구의 발달이나 자본의 증식도 원리는 같다.
물질의 구성, 전쟁의 발발, 예술의 창의, 사건의 진행을 포함하여 모든 탄생하고, 성장하고 점점 커지는 것에 공통되는 보편성이 있다. 시스템 역학에 따른 필연의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공통적으로 계 전체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외부에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가 있으며, 내부에 대칭과 축의 구조가 있고, 에너지를 제어하는 센터가 있으며, 하부구조를 지배하는 상부구조가 있다.
이를 게임이론으로 풀어낼 수 있다. 축과 대칭으로 이루어진 게임의 구조 안에서 플레이어가 합리적인 포지션을 선택함으로써, 포지셔닝의 우위를 다투어 상대방의 행동을 의도대로 제어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의지로 상대방을 통제하려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대방과 연결되는 접점이 있어야 한다. 둘이 어떤 하나의 토대를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평형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축과 대칭은 ┳로 나타낼 수 있다. ┳의 양 날개가 대칭이면 가운데가 축이다. 양 날개는 축을 공유한다. 이때 한 쪽이 뒤로 한 걸음 물러서면 상대방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야 평형이 유지된다.
물러서지 않으면 구조가 무너져서 다 죽는다. 이에 이심전심의 원리가 성립한다. 여기서 심(心)은 변덕스런 인간의 마음이 아니라 불변의 핵심, 중심, 본심을 의미한다. 센터(center) 혹은 핵(core)이다.
천칭저울의 한쪽 접시가 기울어지면 다른쪽도 동시에 기울어진다. 중간과정을 거치지 않고 센터에서 센터로, 핵에서 핵으로 바로 전해지는 원리가 이심전심이다. 대칭이 축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일의적 동시결정 원리에 따라 사과를 칼로 자른다면 이쪽 절반에 단면이 얻어졌을 때 저쪽 절반도 동시에 단면이 얻어지며 두 단면은 일치한다. 이러한 운명의 공유가 모든 논리의 출발점이다.
이때 천칭저울의 한쪽 접시를 차지한 플레이어가 상대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자신이 충분히 움직이면서도 구조를 붕괴시키지 않으려면 오직 하나의 방법이 있다. 축의 위치 이동이다.
축을 장악한 자가 포지셔닝의 우위를 차지하여 게임에서 승리한다. 자신의 의도대로 상대방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축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동일한 형태의 또다른 구조가 있어야 한다.
플레이어가 위치한 ┳ 바깥에 또다른 ┳가 있어 대칭을 이루며 그 두 ┳를 통일하는 제 3의 ┳가 있어서 그 전체의 집적구조가 역시 대칭을 이룬다면 축을 지배하여 상대방을 제어할 수 있다.
┻ ┻┻ ┻┻┻┻ (피라밋 구조, 모빌구조)
┳가 집적된 형태는 피라밋 구조 혹은 이를 뒤집어 놓은 모빌구조가 된다. 회사조직이나 군대조직, 봉건계급구조를 비롯한 대부분의 조직은 이러한 피라밋 형태의 상하관계, 서열구조로 되어 있다.
플레이어간 포지셔닝 경쟁이 지속되면 ┳의 나무는 점점 자란다. 점점 더 큰 피라밋이 된다. 재벌의 계열사는 피라밋 형태로 점점 늘어나고 군대의 편제는 피라밋 형태로 점점 복잡해진다.
이때 구조의 나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전체가 한 방향으로 전개해야 조직의 내부모순에 의한 상호충돌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도구에는 센터가 있다.
모든 도구는 반드시 손잡이가 있고, 또 손잡이가 발달한 축이 있고, 또 축이 발달한 엔진이 있고, 나아가 엔진이 발달한 컴퓨터 시스템이 있다. 이들은 계 전체를 통제하는 하나의 센터가 된다.
외부에서 에너지가 들어와야 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 에너지가 계 내부에서 피라밋 형태로 이루어진 복잡한 집적구조 안에서 하나의 ┳를 통과할 때 마다 잉여를 창출해야 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강은 물줄기가 ┳ 형태로 합쳐질때마다 강물이 흘러가는 동력을 얻는다. 많은 강의 지류가 바다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통합된다. 그 반대로 나눠진다면 바다로 가는 동력을 잃는다.
두 물줄기가 합류하며 동력을 얻는 부분이 축이다. 축 1이 대칭 2를 통제함으로써 잉여를 창출하여 구조가 작동된다. 축은 외부에서 에너지를 들여오므로 외부와 관계를 맺도록 바깥에 위치한다.
식물이라면 생장점이 축이다. 조직의 발달은 생장점을 점점 바깥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전개된다. 내부의 모순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므로 조직의 리더는 외부와 관계를 맺는 외교역할을 책임진다.
자본에도 그러한 역할의 센터가 있다. 그림에도 소실점의 형태로 존재한다. 학문에도 생장점이 있으며, 물질에도 힘의 중심, 운동의 중심이 있고, 씨앗에도 배아로 존재하며, 인체에도 뇌로 있다.
스포츠팀에도 주장이나 감독으로 있고, 회사에도 보스로 있고, 정당에도 총재로 있고, 국가에도 왕으로 있다. 외부와의 연결점으로 있다. 그것이 없으면 구조는 죽는다. 작동하지 못하고 붕괴된다.
우선순위가 있다. 질에서 양으로 간다. 조직의 발달은 부분에서 전체로 가는듯 하지만, 실제로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대칭의 양 날개에서 축으로 가는듯 하지만 실제로는 축에서 날개로 간다.
피라밋의 기단부에서 꼭지점으로 가는듯 하지만 실제로는 꼭지점에서 기단부로 간다. 말단이 점차 진급하여 보스가 되는듯 하지만 착각이고 실제로는 보스가 점차 세력을 키워 말단을 거느린다.
┳ 밑에 또다른 ┳가 몰려와서 점차 커다란 피라밋으로 발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처음 하나의 작은 ┳에서 내부적으로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점점 복잡해진다. 그러면서도 최초의 ┳를 유지한다.
인간의 모든 실패와 오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일어난다. 우리는 모래시계 안쪽에 쌓이는 부분을 보고 있다. 상부구조를 포착해야 한다. 모래시계 위의 모래가 떨어지는 부분을 봐야 한다.
그것이 보이지 않는 손이다. 그것을 보는 것이 깨달음이다. 양에서 질로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질에서 양으로 간다. 개인의 이윤동기에 의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공동체의 세력동기에 따라 움직인다.
세력동기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확인된다. 외부의 영향에 의해 개인의 목표가 차단될 때 인간은 세력동기를 회복하고 본래의 뜻에 따라 움직인다. 그것이 보이지 않는 손을 보는 것이다.
개인은 내적인 밸런스를 추구하지만 그 개인의 밸런스가 의식하지 못하는 채 전체의 밸런스 안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내 마음의 평화를 추구하지만 우주의 평화 안에서 내 마음이 작동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