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552 vote 0 2021.05.17 (13:43:21)

    세상은 대칭이다. 구조는 대칭을 비대칭으로 바꾼다. 하나의 대칭에서 또 다른 대칭으로 갈아타는 것이 비대칭이다. 인간은 대칭으로 사유한다. 적절히 비대칭으로 갈아탈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같은 층에서 1호실과 2호실의 대칭을 2층과 1층의 대칭으로 갈아타는 것이다. 남과 북의 수평대칭을 해양문명과 대륙문명의 수직충돌로 갈아타는 것이다. 대칭은 서로 마주보고 교착된다. 갇혀버린다. 


    탈출구가 없다. 사유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비대칭으로 활로를 열어야 한다. 그 방법은 마이너스다. 그것은 대칭의 차원을 낮추는 것이다. 그러려면 애초에 높은 차원에서 시작해야 한다. 


    낮은 차원에서 사유하므로 더 낮출 수 없어서 망한다. 낮은 차원에서는 사유가 막다른 골목에 몰려버린다. 높은 차원에서 시작하려면 모형을 가져야 한다. 수평적 대칭을 극복하게 하는 수직적 대칭의 모형이다. 


    수평에서 막힌 것을 수직으로 풀어낸다. 모형이 없으므로 상대방의 말에서 억지로 대칭을 조달하려고 한다. 무조건 상대방 반대로 간다. 상대가 무슨 말을 하면 본능적으로 '난 반댈세'를 시전하는 안철수 짓 말이다. 


    수준낮음을 들키고 만다. 중요한건 주도권이다. 내가 룰을 정하고 내가 판을 짜서 능동적으로 게임을 이끌어야 한다. 상대방이 나의 게임 제안을 따라오게 만들어야 한다. 상대방이 내게 질문하게 만들어야 한다. 


    안철수식 트집잡기는 언제나 상대방의 해명을 요구할 뿐 상대가 안철수에게 질문하도록 유도하지 못하는게 실패다. 내가 레이즈를 치고 상대가 콜을 외치며 따라오게 만드는게 기술이다. 


    그러려면 상대방이 한 말의 내용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상대방의 말에 반박하면 후수가 된다. 내가 선수를 쳐야 한다. 사건은 기승전결로 간다. 기 단계에서 출발해야 선수가 된다. 결 단계에서는 무슨 말을 해도 후수다. 


    사건은 결에서 끝나고 더 이상의 진행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는 상대의 말을 받아칠 뿐 새로운 관점을 던지지 못한다. 팽팽하게 교착되어 잘해봤자 무승부다. 말을 잘한다는건 다른 관점을 던지는 것이다. 


    무대에 올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게임을 던져야 한다. 상대방이 앞을 말하면 옆으로 화제를 돌려야 한다. 상대방이 옆을 말하면 위로 화제를 돌려야 한다. 그런 말 돌리기에 상대가 호응하여 따라오게 만드는게 기술이다. 


    적절히 발빼기를 하고 다른 국면에서 새로운 전단을 여는 것이다. 김어준이 잘하는 역발상의 찌르기다. 보통은 그렇게 못한다. 상대가 무엇을 말하든 나는 반댈세 하고 받아친다. 핑퐁을 하듯이 말을 떠넘기는 것이다. 


    애들이 그런 짓을 하다가 말대꾸를 한다고 꾸지람을 듣는다. 관점은 그대로 두고 결론의 해석만 바꾸는 수법이 말대꾸다. 이 경우 결론의 해석이 어떻든 상대는 관점이 중요하므로 말대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석가탑이 높다네.’ ‘감은사 탑이 더 높은데?’ 말대꾸하는 사람은 '높이'라는 동사를 반박하지만 말을 꺼낸 사람은 사실 석가탑이라는 주어에 주목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높이는 그냥 문장을 그렇게 만든 것이다. 


    다보탑의 화려함을 말하려고 석가탑으로 밑밥을 던진 것이다. 상대가 높이로 꼬투리를 잡아 반박하면 다보탑 이야기는 꺼내 보지도 못한다. 대화가 어긋나는 장면이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화를 내고 씩씩거리다가 사이가 틀어져서 다시는 대화하지 않게 된다.


    특별히 훈련하지 않으면 이렇게 된다. 오로지 상대방과 대칭시키기밖에 못한다. 본의 아니게 말꼬리를 잡고 시비를 건다. 그럴 의도는 아닌데 말하다가 보면 이미 말꼬리를 잡고 있다. 누구도 이런 사람과 대화하려고 하지 않는다. 


    말꼬리를 잡지 않으면 그냥 감탄사만 날리고 리액션만 해야 하는데 그것도 싱거운 일이다. 대칭에 잡혀 있기 때문이다. 상대를 의식하고 맞서려는 마음 때문이다. 초딩일기와 같다. 일기의 첫 줄은 ‘나는 오늘’로 시작한다. 


    필요없는 말이다. 일기는 내가 쓰는 것이고 날짜는 오늘밖에 없다. 그런데 왜? 무의식적으로 일기를 검열하는 선생님과 나를 대칭시키기 때문이다. 일기의 내용은 무엇을 잘못하고 반성했다는 내용이다. 


    장난치다가 접시를 깨고 할머니께 혼나고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고 반성했다는 뻔한 레파토리다. 역시 대칭이다. 선생님과 나의 대칭을 유지하려고 하므로 일기가 자기소개가 된다. 선생님이 내게 말을 걸 수 있는 건수를 잡아야 한다. 


    선생님이 일기를 읽어보고 ‘그래 네가 잘못했구나. 그렇지만 반성한다고 하니 용서하고 지켜보겠어.’ 이런 그림이 만들어진다. 뭔가 아귀가 맞아지는 느낌이다. 그런데 이건 일기가 아니다. 반성문이거나 보고서다. 


    그런데 보통 이렇게 한다. 대칭을 끊어버려야 한다. 일기는 남에게 보여주는게 아니다. 남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대칭을 끊으라고 하면 더 못 쓴다. 대칭을 시켜야 엉터리지만 한 줄이라도 일기를 쓸 수 있다.


    사람과 대칭시키지 말고 객체 자체의 대칭을 찾아야 한다. 산과 물의 대칭을 찾고 강아지와 병아리의 대칭을 찾아야 한다. 산이 높으므로 물이 깊은 것이며 강아지가 즐거우므로 병아리도 신난 것이다. 


    이렇게 가야 일기를 쓸 수 있다. 포드시스템으로 대량생산한다. 방학 한 달 치를 하루에 몰아 쓰고 오후에 놀 시간이 남는다. 나를 개입시키려 하므로 잘못되고 만다. 무의식적으로 나를 개입시키는 것이 자기소개다. 


    누가 이렇게 말한다. '난 짜장면이 좋아.' '아니 난 짬뽕이 좋던데.'로 반박한다. 반사적으로 튀어나온다. 누가 햄버거를 말하면 난 피자로 받는다. '햄버거에는 콜라가 어울리지.'로 자체의 대칭을 찾아야 한다. 


    나와 상대의 대칭구도를 배제해야 한다. 그것이 객관적으로 사유하는 방법이다. 훈련하면 상대의 말을 반박하지 않고 내가 게임을 주도할 수 있다. 더 높은 관점을 던져야 한다. 


    상대가 점을 이야기하면 나는 선을 던지고, 상대가 선에 매몰되면 나는 면을 던지고, 상대가 면에 붙잡혀 있으면 나는 입체를 던져야 한다. 관점 끌어올리기다. 더 입체적으로 보고 더 열린 관점으로 더 높은 경지에서 사유해야 한다. 


    부분이 아닌 전체에서 사유를 시작해야 한다. 대부분 토씨를 건드리고 말꼬리를 잡고 부분의 해석을 비틀어 자기 주장을 세우려고 한다. 이 경우 일단 아무말이나 해서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게임을 주도하지 못한다. 


    일회성 반박으로 끝나고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는다. 정부가 코로나에 대해서 어떤 말을 하면 안철수처럼 '그게 아닌데.' 하고 반박할게 아니라 한 달 후, 6개월 후, 1년 후의 대책을 이야기해야 한다. 상대가 아직 건드리지 않은 분야 말이다. 


    상대편이 진을 치고 있는 지점에 각을 세우지 말고 앞질러 가서 새로운 전장을 선점해야 한다. 지금 단계에서 생각 있는 정치인이 할 말은 코로나 종결 이후의 대책이다. 보통은 이런 걸로 수준을 들킨다.


    글쓰기라도 마찬가지다. 오마이뉴스식 글쓰기가 있다. 맨 앞에는 주소와 숫자, 이름, 통계 따위를 쓴다. 조중동이나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하고 남의 말을 소개한다. 다음 밑줄 그어가며 한마디씩 반박한다. 


    이게 일본식 칼럼 문장이다. 다른 어느 나라도 이렇게 안 한다. 세계에서 오직 일본과 일본을 베끼는 한국만 글을 이렇게 쓴다. 썩은 글이다. 맨 앞에 숫자 따위가 나와서 독자가 읽기 싫도록 만든다. 


    자기 주장을 못하고 항상 상대와 대칭시켜서 말한다. 조중동 사설은 말할 것도 없다. 정부가 이랬다더라 하고 상대방 주장을 먼저 펼쳐놓고 주어는 놔두고 거기서 동사만 비튼다. 상대가 희다고 하면 검던데? 상대가 검다고 하면 희던데?


    유치하기 짝이 없다. 그걸 가지고 잘 꼬집었다고 칭찬하는 머저리도 많다. 진정한 글쓰기는 남의 말을 꼬집는게 아니다. 말은 주인이 있는데 거기 붙어먹는건 사람이 할 짓이 아니다.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대안 제시는 절대로 못하는 진중권서민식 꼬집기는 소인배의 글쓰기다.


    좋은 칼럼쓰기는 요령이 있다. 맨 앞에 주소나 숫자, 이름, 통계 따위 딱딱한 것을 열거하면 안 된다. 남의 발표를 긁어오면 일본식 칼럼이다. 맨 앞에는 어떤 에피소드를 펼쳐야 한다. 흥미 있는 이야기를 투척해야 한다. 


    정 안 되면 다 아는 삼국지 한 장면을 긁어와도 된다. 요즘 애들은 삼국지도 안읽다는게 함정. 그다음은 논하고 싶은 시국과 연결시킨다. 마지막에 자기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담론에는 형식이 있다. 조건문을 쓰고 다음 반복문을 쓴다. 옛날 사람도 글쓰기 방법을 알았다. 주로 고문에서 긁어와서 춘추시대에 이런 일이 있었는데 하고 밑밥을 깔고 난 다음 거기에 빗대어 시국을 논하고 마지막에 자기 의견을 붙인다. 


    동사나 토씨, 숫자 따위 부분에 매몰되면 안 되고 전체를 건드려야 한다. 그래야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의 예측이 없는 죽은 글은 쓰지 말아야 한다. 글쓰기란 예측의 툴을 제시하고 다음 단계를 예측해 보이는 것이다. 


    과거에 이랬으니 이번에도 이럴 것이다. 일본이 저랬으니 한국도 저럴 것이다. 이런 예측의 형식이 갖추어져야 담론이다.


    자기소개식 글쓰기를 극복하는 객관적인 글쓰기, 예측하는 글쓰기가 되어야 한다. 눈덩어리를 정상에 올려놓으면 저절로 굴러간다. 그런 글쓰기가 되어야 한다. 글쓰기의 화자는 그저 덩어리를 정상에 올려놓을 뿐이다. 


    눈덩이는 자체 엔진에 의해 굴러간다. 그것을 가능케 하는 것은 비탈의 경사다. 당신도 비탈을 하나 찾아내면 글을 쓸 수 있다. 제 손으로 눈덩이를 굴리면 안 된다. 남의 희다고 하는 것을 나는 검다로 받아치고 남이 5라고 하는 것을 나는 10이라고 받아치는 것은 제 손으로 눈덩이를 굴리는 것이다. 


    사실이 그러한 것이 아니라 내가 그렇게 봤다는 것이다. 나를 기준으로 한 사실판단이 아니라 거꾸로 사실을 기준으로 한 자기소개다. 난 이런 사람이야. 난 5를 10으로 보는 사람이야. 난 흰 것을 검다고 보는 사람이야. 


    난 항상 가재미 눈을 하고 세상을 삐딱하게 보지. 왜냐하면 마음이 비뚤어져 있거든. 그런 자기소개다. 화자가 개입하면 안 된다. 눈이 경사면을 따라 저절로 굴러가야 다음 단계가 예측된다. 


    그 예측은 모두가 공유하는 것이니 천하에 이익이 된다. 그런 경사면을 하나 찾아서 제출하면 그다음은 대칭만 살살 따라가도 문장이 된다. 인터넷 경사도가 급경사인가? 스마트 경사는 어떤가? 인공지능 경사는 확실한가? 


    가다가 철푸덕 주저앉는 것은 아닌가? 나만의 산비탈을 하나 찾아야 한다. 나만의 관점, 바라보는 위치 말이다.


    수평의 대칭을 수직의 비대칭으로 바꾸려는 노력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수직으로 떨어져야 사건의 다음 단계가 조직된다. 조금 더 멀리 보고 조금 더 크게 보고 한 차원 위에서 게임을 시작하는 방법으로 그것은 가능하다.


[레벨:11]벼랑

2021.06.04 (02:34:56)

멋지네요. 언제인가 구조론적 글쓰기를 주제로 책이 나왔으면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09 우주는 단순한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김동렬 2021-05-27 3692
5308 꼰대왕 윤석열 김동렬 2021-05-26 4315
5307 사건은 머리와 꼬리가 있다 2 김동렬 2021-05-26 3432
5306 생각을 좀 하고 살자 1 김동렬 2021-05-26 4328
5305 전기차와 인공지능의 한계 김동렬 2021-05-25 4154
5304 정상회담 퍼펙트 김동렬 2021-05-24 4380
5303 정신병의 원인 2 김동렬 2021-05-24 4483
5302 플러스알파를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3 김동렬 2021-05-23 4263
5301 인지부조화는 틀렸다 1 김동렬 2021-05-20 4649
5300 석가는 왜 왔니 왜 왔니? image 4 김동렬 2021-05-19 4276
5299 세상은 마이너스다. 김동렬 2021-05-18 3522
» 자기소개를 극복하는 글쓰기 1 김동렬 2021-05-17 4552
5297 일론 머스크의 삽질 7 김동렬 2021-05-17 4336
5296 추상적 사고를 훈련하자 김동렬 2021-05-16 4302
5295 나비효과의 오류 김동렬 2021-05-16 3697
5294 위하여냐 의하여냐 4 김동렬 2021-05-15 3396
5293 타블로 죽이기와 한강 의대생 사건 2 김동렬 2021-05-14 4750
5292 우주의 방향성 9 김동렬 2021-05-13 3396
5291 언어의 문제 1 김동렬 2021-05-13 3824
5290 비열한 내로남불 1 김동렬 2021-05-12 3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