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노보와 침팬지 등 대영장류 동물들이 그림 문자를 이용해 사람과 상당 수준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ABC 뉴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에 있는 대영장류 트러스트 연구소의 보노보와 침팬지들은 여러 해 전부터 과학자들로부터 배운 350
개의 그림 문자를 이용해 여러가지 사물과 개념들을 가리키는 능력이 있다고 이 곳의 학자들은 밝혔다.
이곳의 학자들은 지난 1971년 개발돼 일본 교토 영장류 연구소 등이 사용하고 있는 키보드 기술을 사용, 보노보들과 의사 소
통을 하고 있는데 이들 동물은 인간과 다른 성대를 갖고 있어 소리 내 말하지는 못하지만 본질적으로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사람의 언어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ABC 뉴스 기자가 `달걀'이라고 말하자 26살의 침팬지 칸지는 터치 스크린의 달걀 그림을 눌렀으며 `엠앤앰'(초콜릿 이
름)이라고 발음하자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눌렀다.
이어 칸지는 대화의 주도권을 잡고 `놀람'을 나타내는 그림문자를 누른 뒤 기자 가까이에 있는 사탕 상자를 가리켰다. 기자가
"커피 마실래?"라고 묻자 머리를 세게 끄덕였다.
롭 슈메이커란 학자는 지난 20여년 동안 알고 지내온 오랑우탄 아지와 오랜 친구처럼 또는 자식처럼 대화를 나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평소 사용하는 어휘와 목소리, 몸짓으로 이들과 대화한다면서 "일단 대화의 통로가 트이기만 하면 동물들과 많은
주제에 관해 얘기할 수 있다. 칸지는 배가 아프다든지, 머리가 아프다든지, 혼자 있고 싶다든지, 두렵다든지 등을 내게 말해준
다"고 말했다.
학자들은 "우리의 연구는 대영장류의 지능에 관해 많은 것을 알려준다. 인간과 영장류는 차이보다는 공통점이 더 많다"면서
이런 관점에서 인간이 지금처럼 강력한 학습 능력을 갖게 되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 사물을 배웠는 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노보는 98%의 DNA를 인간과 공유하며 카페인을 제거한 캐러멜 마키아토 커피를 사람만큼이나 즐긴다.
ABC 뉴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에 있는 대영장류 트러스트 연구소의 보노보와 침팬지들은 여러 해 전부터 과학자들로부터 배운 350
개의 그림 문자를 이용해 여러가지 사물과 개념들을 가리키는 능력이 있다고 이 곳의 학자들은 밝혔다.
이곳의 학자들은 지난 1971년 개발돼 일본 교토 영장류 연구소 등이 사용하고 있는 키보드 기술을 사용, 보노보들과 의사 소
통을 하고 있는데 이들 동물은 인간과 다른 성대를 갖고 있어 소리 내 말하지는 못하지만 본질적으로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사람의 언어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ABC 뉴스 기자가 `달걀'이라고 말하자 26살의 침팬지 칸지는 터치 스크린의 달걀 그림을 눌렀으며 `엠앤앰'(초콜릿 이
름)이라고 발음하자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눌렀다.
이어 칸지는 대화의 주도권을 잡고 `놀람'을 나타내는 그림문자를 누른 뒤 기자 가까이에 있는 사탕 상자를 가리켰다. 기자가
"커피 마실래?"라고 묻자 머리를 세게 끄덕였다.
롭 슈메이커란 학자는 지난 20여년 동안 알고 지내온 오랑우탄 아지와 오랜 친구처럼 또는 자식처럼 대화를 나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평소 사용하는 어휘와 목소리, 몸짓으로 이들과 대화한다면서 "일단 대화의 통로가 트이기만 하면 동물들과 많은
주제에 관해 얘기할 수 있다. 칸지는 배가 아프다든지, 머리가 아프다든지, 혼자 있고 싶다든지, 두렵다든지 등을 내게 말해준
다"고 말했다.
학자들은 "우리의 연구는 대영장류의 지능에 관해 많은 것을 알려준다. 인간과 영장류는 차이보다는 공통점이 더 많다"면서
이런 관점에서 인간이 지금처럼 강력한 학습 능력을 갖게 되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 사물을 배웠는 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노보는 98%의 DNA를 인간과 공유하며 카페인을 제거한 캐러멜 마키아토 커피를 사람만큼이나 즐긴다.
양을 쫓는 모험
LPET
350개의 그림문자를 두 세마디씩 조합하면 수천개 이상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소.
양을 쫓는 모험
350개의 그림문자로 명사를 표현할 수 있겠지만,
'동사를 표현 할 수 있겠는가?'가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보는 기준이 되겠구려.
그림문자로, 이다-있다-하다-좋다 등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오.
'동사를 표현 할 수 있겠는가?'가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보는 기준이 되겠구려.
그림문자로, 이다-있다-하다-좋다 등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오.
LPET
`놀람'을 나타내는 그림문자를 누른 뒤 주변의 사탕 상자를 가리켰다. -> '사탕이 놀랍다'라는 주어와 술어를 썼소.
사탕이다, 사탕이 있다, 사탕에 긴장하다, 사탕이 좋다는 모든 뜻이 분화되지않고 한마디에 담겨있소.
기자가 더 많은 사례를 말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배가 아프다든지, 머리가 아프다든지, 혼자 있고 싶다든지, 두렵다.. 따위는 모두 동사요.
대부분이 일인칭 주어/술어, 명사/동사의 단순한 이의어로 이뤄졌겠지만, 기본대화가 된다는게 놀랍소.
사탕이다, 사탕이 있다, 사탕에 긴장하다, 사탕이 좋다는 모든 뜻이 분화되지않고 한마디에 담겨있소.
기자가 더 많은 사례를 말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배가 아프다든지, 머리가 아프다든지, 혼자 있고 싶다든지, 두렵다.. 따위는 모두 동사요.
대부분이 일인칭 주어/술어, 명사/동사의 단순한 이의어로 이뤄졌겠지만, 기본대화가 된다는게 놀랍소.
░담
유인원이 문자를(그림문자) 사용하는 수준 정도로,
인간이 사용하는 것들을 추려 봄도 재미있겠소.
인간이 사용하는 것들을 추려 봄도 재미있겠소.
오리
섬세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보노보에게 가벼운 성대 수술을 시킨후 ,한글을 가리키면 좀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요?
LPET
600만년전에 인간이 침팬지류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언어의 분화도 시작되었을거요.
고대 영어의 동사도 대략 300~500개 정도이니 뭔가 의미심장하오.
어쩌면 인간의 언어를 만드는 동사의 개념들은 약 400개 정도이고,
이것들은 600만년 이전부터 소리와 동작, 표정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던 것인지도 모르겠소.
보노보에게 성대수술과 혀수술을 시키거나, 뇌파감응장치와 음성재생장치를 부착하면,
사람과 기본적인 대화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혹성탈출같은 생각도 드오. ㅎ
고대 영어의 동사도 대략 300~500개 정도이니 뭔가 의미심장하오.
어쩌면 인간의 언어를 만드는 동사의 개념들은 약 400개 정도이고,
이것들은 600만년 이전부터 소리와 동작, 표정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던 것인지도 모르겠소.
보노보에게 성대수술과 혀수술을 시키거나, 뇌파감응장치와 음성재생장치를 부착하면,
사람과 기본적인 대화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혹성탈출같은 생각도 드오. ㅎ
░담
광활한 서식지만큼 진화를 유도하는 것이 있을까요.
'의사소통 하기' 자체가 공동작업의 산물이라 봐야 겠지요.
공동작업으로 달성하려는 과제의 수준 차가, 소통 수준의 차를 만들었을 겁니다.
과제의 수준을 바꾸는 것은 광할한 서식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했을 터지요.
평지에서 직립하여 도구를 사용하는 공동 활동이 의사소통의 진화에 방아쇠를 당긴 거지요.
인터넷에서 제어하여 구조를 활용하는 공동 작업은 무언가의 진화에 방아쇠를 당기지 않을까요.
다음 진화를 격발시킬 광활한 서식지는 어디/무엇일까요.
'의사소통 하기' 자체가 공동작업의 산물이라 봐야 겠지요.
공동작업으로 달성하려는 과제의 수준 차가, 소통 수준의 차를 만들었을 겁니다.
과제의 수준을 바꾸는 것은 광할한 서식 공간의 확보를 가능하게 했을 터지요.
평지에서 직립하여 도구를 사용하는 공동 활동이 의사소통의 진화에 방아쇠를 당긴 거지요.
인터넷에서 제어하여 구조를 활용하는 공동 작업은 무언가의 진화에 방아쇠를 당기지 않을까요.
다음 진화를 격발시킬 광활한 서식지는 어디/무엇일까요.
양모는 98%의 DNA를 구조론과 공유하며, 맥주를 르페님 만큼이나 즐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