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오세
read 7392 vote 0 2009.11.07 (09:07:36)

얼마 전 동렬님의 글을 읽다가 유교주의, 도교주의의 산을 언급하면서 기독교라는 산으로부터도 배울 것이 있다는 구절을 보았소. 
그리고 얼마전 기독교의 삼위일체설에서 발견한 구조 성부-성자-성령, 연결-입장-개입에 대한 설도 들었고.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들더구려. 
대체 왜 기독교가 이렇게 한국에서 세를 얻을 수 있었던 걸까?
혹자가 말한 것처럼 우리 의식의 밑바탕에 깔린 샤머니즘적인 요소와 화학반응을 일으킨 건가?
무언가 기존의 패러다임들, 유교, 불교, 도교 등이 갖지 못하는 무언가가 있기에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고 무수한 첨탑과 십자가를 세우는 것 같긴 한데, 대체 기독교가 뭐길래 이렇게 한국사회에서 세를 얻고 기득권을 유지하고 있는 것일까..
동렬님의 여러 글들을 보면 기독교에 대해 좀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들이 많았던 걸로 기억하오. 특히, 사람들로 하여금 밑도 끝도 없는. 하릴없는 구원,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구원을 갈망하게 하고 그것에 예속되게 한다는 점을 비판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암튼 기왕 요즘 3위잋체썰도 나온 김에 기독교에 대한 동렬님의 총체적인 관점, 단점 뿐 아니라 장점까지, 그리고 대체 왜 기독교가 이토록 한국에서 득세하는 지에 대한 분석까지 듣고 싶소. 너무 많나?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11.07 (09:49:08)






간단히 말하면
인간은 원래 종교적인 본능을 가지고 있소.
기독교 아니라 아무 종교라도 아무교 하고 간판걸면 믿게 되어 있소.
유교는 원래 종교가 아닌데 전통신앙인 조상숭배 및 도교신앙과 융합되어 서서히 종교의 모양을 갖추어 갔지만
예의 상부구조 건설이 되지 않았으므로 종교로서는 불완전하오.
불교 역시 전통신앙에 석가철학을 덧입힌 불완전한 종교요.
중국에서 유교에 밀리고 본바닥인 인도에서도 힌두교로 되돌아갔소.
일본의 신토나 한국의 무속 역시 상부구조가 없어서 불완전한 종교요.
마호멧교나 힌두교 유태교는 상당히 종교적인 입장이 강하지만
근대과학과 안맞기 때문에 역사의 흐름과 동떨어져서 역시 종교로서는 실패요.
물론 인도나 아랍 이스라엘에서는 강세를 띠고 있지만 대신 그 나라들은 문명을 주도하지 못하오.
여기서 핵심, 문명을 주도하면 종교의 고답적인 태도와 역사의 역동적인 진보 사이의 불일치로 종교의 권위가 퇴색되오.
즉 역사가 진보해서 새로운 성취가 일어나면 종교가 그것을 반영하여 매번 교리를 갈아야 하는데 그래선 종교가 버티지 못하오.
카톨릭은 원래 민간신앙에 근대의 정치적 변화를 덧입힌 건데 그 결과로 역사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였던 장점이 있지만 대신 그 과정에서 종교의 본색이 약해져서
근본 기독교로 돌아가자는 종교화 운동이 일어나 개신교로 퇴행하여
원시화 한 결과 현재 기독교는 카톨릭과 개신교가 상호보완적인 형태로 발전되어 있소.
서구에서 카톨릭은 정치가 개입하여 역사의 변화를 수용하였는데 너무 역사를 뒤쫓아가다보니
점차 왕이 교회를 괄시하여 종교의 권위가 약해졌고(초기에는 황제가 주도했지만)
개신교는 근본주의 운동으로 종교적 본성을 회복하였으나 그만큼 역사의 흐름과 멀어져서 역시 근래에는 힘이 떨어졌소.

한국은 역사의 흐름 그 중심에 서 본 적이 없어서 역사의 흐름을 모르므로
개신교의 탈역사화에 따른 퇴행에 대해서는 모르고

다만 한국의 유교 불교가 덜 종교화된 약점을 보완하였기로 발전한 것이오.
그러나 만약 한국이 문명의 중심에 서게 되고 역사의 진보를 주도하게 된다면 급속히 탈기독교화 할 것이오.

통일신라가 탈민간신앙, 불교화로 성공하였고
조선초에 탈불교화 유교화로 성공하였고
조선이 몰락하자 다시 탈유교화 대신 기독교가 수입된 것인 만큼
만약 한국이 발전하여 세계의 중심이 되면 다시 탈기독교화가 일어나오.
서구인들이 근래 시들해져서 기독교를 신앙하지 않는 이유는 문명이 종교보다 앞서가기 때문이오.
그 사이에 후진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다시 종교대국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오.
중국은 아직도 종교탄압을 일삼고 있으므로 모르지만서두.
러시아는 요즘 시골 곳곳에 예수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곳곳에서 시골 소년이 재림예수를 자처하고 있다하오.

철학과 미학이 발전하여 문명을 주도하게 되면
종교가 약해지겠지만 그러한 진보는 다시 대중을 역사의 전면으로 끌어올리는데
결속력없는 대중들은 지식집단과 대항하는 수단으로 종교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시 종교가 살아나는 순환이 반복되오.

문명의 중심권-> 지식의 리드로 종교와 정치가 결합하거나(카톨릭, 유교) 혹은 지식이 앞서고 종교가 퇴행한다.
문명의 변방지대-> 지식이 리드하지 못하므로 인습적인 종교가 번성한다.

새로운 문명의 흥기 -> 지식이 철학과 미학으로 주도하고 종교는 쇠퇴한다.
문명의 흥기에 따른 1사이클 이행으로 다시 대중의 전면등장 -> 미국에서 보수종교집단이 맹위를 떨치듯이 지식에 반감을 가진 대중은 종교를 이용하여 지식에 항거한다.

이러한 구조는 끝없이 반복되며 다양한 조합을 실험하곤 하오.



[레벨:15]오세

2009.11.07 (10:36:18)

와우 일목요연하구려. 
답변 고맙소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09.11.08 (22:40:00)

카톨릭이 보편종교화되었던 서구유럽의 근세시기에 대항한 운동이
신교도 운동입니다. 대부분, 제국주의의 파수꾼 노릇을 했지만,
미국에서는, 소위 사회적인 상부구조를 획득하여, 지금에 이르게 됩니다.

그걸, 한국전쟁이후의 원로목사들이 박정희 시대이후의 탈농촌화에 힘입은
대규모 인구유입을 계기로, 한국 기독교계는, 미국 신교의 영향을 받은 형태로
성장하게 되죠...

'성령대부흥회'라는 푯말이 어색하지않던 시절이 엊그제입니다.
옹색한 셋방살이일망정, 자식키우고, 남편의 월급 쪼개서 돈내던
시절에, 교회당모여서, 하나님께 기도라도 하면, 그나마, 평안을 누리던 시절일겁니다.

그리고, 한국의 보수종단 특히 고신측은, 어떻게 보면, 보편종교로서의
기독교를 옹호하는 편인반면에,
신교라고 주창하는 순복음계열이나 여타의 복음주의 계열들은
보편종교가 인간의 '영성'을 자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다시 예수를 내세웁니다.
근간에, 순복음계열은 그 미신성때문에 가라앉는 분위기라고 하더군요...

여튼, 한국의 급격한 탈농촌화, 서울권의 토지 가격 폭등같은 것들을 통해
한국민의 욕망에 대한 분석없이, 한국기독교계의 성장을 해석할 방도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욕망이, 지극히 타인에 의해 주도되어졌다는 사실이
지식인들에 의해밝혀지지 않는다면, 도로아미타불이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39008
» 기독교란 대체 무엇인가? 3 오세 2009-11-07 7392
145 교과목의 분류 3 LPET 2009-11-02 8004
144 신은 존재하는가? 4 양을 쫓는 모험 2009-10-27 6889
143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 생각의 힘. 6 오세 2009-10-15 8138
142 해군되는것보다는 해적이 되는게 낫다 (It's better to be a pirate than to join the Navy. )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9-19 8200
141 인터뷰 질문 모집 67 김동렬 2009-09-16 13827
140 조형창작교육 개괄 3 ahmoo 2009-09-08 5467
139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6616
138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09-08-28 6990
137 [질문] 왜 죽었다는 뜻으로 '깨(께)팔러 갔다'고 하는지? 10 우야산인 2009-08-13 16396
136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6536
135 구조론적인 사고법 3 김동렬 2009-07-29 7077
134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6004
133 인터넷, 인류 진보. ░담 2009-07-27 7206
132 신기술 세력이 주종 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3 기준님하 2009-07-25 7234
131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971
130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957
129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6443
128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742
127 이 세상은 왜 혼란스러운가 2 기준님하 2009-07-23 5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