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20 vote 0 2025.02.12 (16:25:05)

5678999009.jpg      힘이란 무엇인가? 파장이 짧아지게 작용하는 것이 힘이다. 지렛대의 긴 손잡이는 파장이 길다. 지렛대의 힘점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져서 각운동량을 보존한다. 각운동량 보존에 의해 긴 파장이 짧은 파장으로 바뀌며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이 힘이다. 힘은 거리와 면적의 축소에 비례한다. 


    우리는 힘의 정의를 바꾸어야 한다. 힘은 긴 파장을 짧은 파장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물체의 가속이나 방향전환을 설명하고 관성을 보존할 수 있다. 반대로 닫힌계 안에서 파장을 늘릴 수는 없다. 파장이 커지는 것은 계가 깨졌을 때다. 계가 깨지면 통제되지 않으므로 일할 수 없다. 


    파장이 극도로 짧아진 것이 물질이다. 파장이 커지면 파동이 진동으로 변하고 마침내 열로 바뀌어 소멸한다. 작은 파장은 변화에 의해 일로 바뀌어 전달되고 큰 파장만 부스러기로 남아 돌아다니는 것을 엔트로피 증가라고 한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이유는 에너지 투입 없이 자체적으로 짧은 파장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간이나 자연이나 짧은 파장을 선호한다. 긴 파장은 열을 잘 전달한다. 이 말은 파동이 잘 깨진다는 말이다. 즉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윤석열의 좋빠가는 반응이 빠른 짧은 파장이라는 주장이다.


    계가 깨지면 파장이 짧아지지 않으므로 파도는 보강간섭되어 큰 너울로 변한다. 큰 너울은 열을 남기고 소멸한다. 열역학은 파동역학이다. 열은 분자의 진동이다. 진동이 계에 갇혀 일정해지면 파동이다. 변화의 과정에 파장은 작아진다는게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파장이 짧아지면 변화가 일어나고 변화에 쓰이지 못한 나머지는 파장이 큰 것이므로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압력이 걸리고 에너지가 추가되면 짧은 파동으로 바뀐다. 예) 기온의 증가> 풍속의 증가> 태풍. 문명의 진보, 동식물의 생장, 기업의 발전, 역사의 발전은 모두 짧은 파장을 지향한다. 에너지가 추가되지 않으면 긴 파장으로 바뀌어 소멸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추론이 철학이다

2025.02.14 (04:02:24)

파장이 극도로 짧아진 것이 물질이다. 파장이 커지면 파동이 진동으로 변하고 마침내 열로 바뀌어 소멸한다. 작은 파장은 변화에 의해 일로 바뀌어 전달되고 큰 파장만 부스러기로 남아 돌아다니는 것을 엔트로피 증가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4Kes1yjs6kY

(기타줄 파동)

제가 예전에 생각해 본 것이 파동이랑 입자랑 도대체 무슨 차이냐, 똑같은 거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었는데

왜냐면 뭐든 때리면 진동을 할 것이라고 봤고 그게 에너지 전달이 잘 되는 유체에서 파동현상으로 나타날 뿐이며

기타줄을 때리면 파동현상이 나타나며 실로폰이나 종은 유체도 아니고 줄도 아닌데

때려서 초고속 카메라로 잘 관찰하면 당연히 진동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게 파동현상 입니다

종을 때리면 종의 진동이 공기로 전해져 음파가 나타나고 물에 담근 종을 때리면 물결 모양으로 파동이 나타나는데 

그럼 당연히 종도 기타줄처럼 파동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나무는 부분만 가열하면 타면서 열이 흡수되는데

금속은 부분만 가열해도 전체적으로 열이 전달됩니다

사회로 치자면 아이 한 명이 억울하게 사고를 당했는데 그 아이의 부모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 전체가 반응하는 것과 같습니다

나무든 금속이든 에너지 전달의 상대적인 효율 차이가 날 뿐이라 생각해서 결국 나무 때려도 미세하게 진동 파동현상이 있을 것이라 봐서

입자끼리 부딪혀서 생기는 진동 현상이나 파동현상이나 똑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입자랑 파동이랑 같은 본질은 공유한다면 구조론적 관점이 보편화되기에 좋다고 생각하는데

왜냐면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입자라고 하면 그냥 입자 하나입니다

근데 파동은 입자 하나를 때려야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때린 놈 맞은 놈 둘이 되어야 합니다

이런 관점을 입자로 적용시키면 단순히 입자 하나가 아니게 되기 때문입니다

입자 둘이 있고 둘 사이에 관계가 1개다 이렇게 되어 버리는데 이게 존재의 최소단위로 이해되기 적합하게 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65 신의 입장 newimage 김동렬 2025-02-21 312
7264 남이 버린 표는 주워먹는게 실용주의 update 김동렬 2025-02-20 797
7263 에너지의 이해 김동렬 2025-02-19 468
7262 타블로와 이재명 1 김동렬 2025-02-19 981
7261 이념은 허구다 김동렬 2025-02-18 819
7260 한국 지식사회의 몰락 12 김동렬 2025-02-17 1842
7259 오염원리 김동렬 2025-02-15 935
7258 엔트로피 증가 9 김동렬 2025-02-15 702
7257 자명성 원리 김동렬 2025-02-14 585
7256 자명원리와 극단의 법칙 1 김동렬 2025-02-14 678
7255 히틀러 재판의 무모함 1 김동렬 2025-02-13 1097
7254 힘의 이해 2 김동렬 2025-02-12 724
» 영구기관의 착각 image 1 김동렬 2025-02-12 720
7252 인공지능의 지성 감성 덕성 영성 이성 김동렬 2025-02-12 774
7251 열역학이 틀렸다? 김동렬 2025-02-11 856
7250 윤석열 옥중출마 한다. 김동렬 2025-02-11 1088
7249 제왕적 대통령제? 김동렬 2025-02-10 1254
7248 생각을 하자 image 김동렬 2025-02-09 981
7247 각운동량 제2법칙 2 김동렬 2025-02-09 747
7246 모든 것의 시작 김동렬 2025-02-07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