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ted.com/talks/lang/kor/sugata_mitra_the_child_driven_education.html
교육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하나의 대답을 주는 실험인 듯합니다.
교육은 외부 지도가 없이도 움직이는 self-organizing system 이라는 것, 그리고 아이들 내부에서 원래 없던 현상이 발현하는 창발성(emergency) 을 주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는데요.
제가 보기는 구조론의 바깥뇌 개념으로 설명하면 더욱 정교하고 세밀한 이론이 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포인트:38337point (63%),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인터넷에게 노벨상을 주어도 좋겠소. 인터넷에게 상을 준다는 것은 인류가 인류에게 스스로 상을 주는 것과 다름 없다고 보오.(인류의 자뻑인가^^;ㅋ~)
도구에 따라 인간은 바깥뇌 활용을 높일 수 있는 것 같소.
바깥환경에 대응하는 마음이 뇌를 집적화하여 효율성을 증대시켰고, 의식으로 일원화되는 통제시스템을 완성하여 두뇌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마음을 현실화시켜 펼쳐내 보였고, 그 결과의 쌓임은 인터넷으로 나타났고, 인터넷은 다시 바깥뇌, 집단지성을 촉발 및 가속화 했다고 보기 때문이오.
![포인트:27657point (52%),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같이 12시간씩 일하던 shanti가 떠오르네요...
정말 영리한 엔지니어였는데, 지독한 보스를 만나서
의지가 꺾였던...
정말 영리한 엔지니어였는데, 지독한 보스를 만나서
의지가 꺾였던...

![포인트:120281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히야! 완전 영감을 주는 실험이오. 미학적 안목의 자기 학습에 관한 우리의 실험도 몇 년 후에 발표해보겠소.

![포인트:21046point (28%),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분발해야겠소.
인터넷과 그룹간 자유토론에 의한 집단지성시스템이 증명되었군요.
외부의 간섭이 배제됨으로써 스스로 구조가 나타나 창발성을 끌어낸다..
그동안 구조론에서 계속 다뤄왔던 바깥뇌, 바탕소 교육철학, 집단지성의 원리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구조라는 이름까지.. 소름이 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