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708 vote 0 2012.11.13 (00:38:26)

 

    내가 깨달았다고 생각한 것은 열일곱살 때다. 깨달은 사람은 오도송을 지어야 하는 걸로 되어 있다더라. 그런데 그 게송이라는 것이 한시다. 한시는 짜증나고 간단히 좌우명을 짓기로 했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또한 필요에 의해 존재한다. 필요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존재하는 것은 필요하다.”

 

   
생각해서 문장을 꾸민다면 구차스럽고 그냥 툭 튀어나온 말이다. 예쁜 문장은 못되나 그때의 묘한 기분 속에서 나왔다는 점이 각별하다. 뒷부분은 사족인데 왠지 그래야만 아귀가 맞을 것 같아서 붙여두었다.

 

    이 말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 말을 각별히 기억하는 것은 이 말이 방아쇠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생각이 막힐 때 방아쇠를 슬쩍 당겨주면 다시 부르릉 하고 발동이 걸린다.

 

    무엇인가? 이 말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의미에 이 말을 갖다둔 것이다. <- 여기에 밑줄 쫙.

 

    사실이지 그러하다. 모든 선문답은 그 문답 안에 심오한 뜻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심오한 뜻에 그 문답을 문패처럼 붙여놓은 것이다. 그러므로 개떡같은 선문답이라도 심오하게 풀어야 한다.

 

    菩提本無樹(보리본무수)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

    明鏡亦非臺(명경역비대) 명경 또한 받침대가 아니다.

    本來無一物(본래무일물) 본래 아무 것도 없으니

    何處惹塵埃(하처야진애) 어디에 티끌이 일어나리. (혜능)

 

    ‘모든 존재하는 것은 또한 필요에 의해 존재한다.’는 나의 아포리즘에서 방아쇠는 ‘또한’이다. ‘또한’은 이 말 앞에 어떤 전제가 깔려 있다는 뜻이다. 상부구조가 있다는 말이다.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를 불러내는 형태다.

 

    A가 B를 불러내면 B가 다시 C를 불러내고, C가 다시 D를 불러내는 식으로 연쇄적으로 불러내도록 되어 있다. 보리는 지혜고 명경은 마음이다. 보리는 상부구조요 명경은 하부구조다.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를 불러낸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상호작용과 그 사에에서 에너지의 순환이 완전성이다. 과연 혜능이 그런 심오한 생각을 하고 이 게송을 지었을까 하고 의문을 품으면 곤란하다. 완전한 것은 반응하는 것이다. 그냥 툭 튀어나오는 것이다. 생각하면 이미 늦었다. 종이 소리를 내는 것은 그냥 반응하는 것이다.

 

    身是菩提樹(신시보리수) 몸은 곧 보리수요

    心如明鏡臺(심여명경대) 마음은 곧 명경이네

    時時勤拂拭(시시근불식) 부지런히 털고 닦아서

    勿使惹塵埃(물사야진애) 때묻지 않도록 하라. (신수)

 

    무엇인가? 혜능의 완전성은 연역이다. 신수는 귀납한다. 귀납은 불완전한 것이다. 혜능의 종소리는 맑은 소리고, 신수의 종소리는 깨진 종소리다. 돈오는 완전성의 종을 울리는 것이다.

 

    우주는 완전하고 신은 완전하고 마음은 완전한데 거기다 빨대꽂고 빼먹을 일이지 무엇을 털고 닦는다는 말인가? 구조론은 마이너스다. 방해자를 제거할 뿐 플러스를 가하지 않는다. 닦고 조이고 기름친다든가 하는 일은 없다.

 

    나무는 산에 있다. 필요한 만큼 가져다 쓴다. 에너지는 태양에 있다. 역시 가져다 쓴다. 돈은 은행에 있다. 역시 가져다 쓴다. 깨달음은 가져다 쓰는 것이다. 문제는 암호다. ‘열려라 참깨’를 불러야 보물상자가 열리는 것이다.

 

    산의 나무를 쓰려면 불씨가 필요하고, 하늘의 태양을 쓰려면 볼록렌즈가 필요하고, 은행의 돈을 쓰르면 신용이라는 방아쇠가 필요하다. 관계맺기의 패스워드가 필요하다.

 

    관계는 불러내는 것이다. ‘영희야 놀자’ 하고 불러낸다. 어떻게 불러내는가? 연쇄적으로 불러낸다. 상부구조를 불러내면 하부구조는 따라온다. 그렇다면 맨 위에 있는 최상부는? 완전성이다. 충분하다.

 

    깨달음은 돈오다. 점수는 깨달음 자체와 상관없는 딴 이야기다. ‘그래서? 네가 깨달았다 치자. 그래서 뭐 어쩔건데?’ 이런 이야기다. 싸이가 그럴듯한 것을 만들었다 해도 유튜브가 없었다면 별 수 없는 거다.

 

    김기덕 감독이 뭔가 그럴듯한 것을 알고 있다고 해도 세상에 영화라는 것이 아예 없다면? 영화가 있다 해도 해외 영화제에 출품할 길이 없다면? 해외 영화제를 노린다 해도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지 못했다면? 그 누가 알아주겠는가?

 

    뭐 이런 이야기다. 순수한 깨달음 그 자체와 그것이 사회에 어떻게 받아들여질 것인가는 다른 이야기다. 역시 상부구조다. 필자 역시 인터넷이 존재하여 있기에 이러는 거다. 인터넷에 의해 지구촌 인류가 한 식구로 되었기 때문에, 지금이야말로 인류가 깨달음을 받아들일 타이밍이 되지 않았나 하는 것이다. 이제사 제대로 상부구조가 갖추어진 것이다. 빨대만 꽂으면 된다.

 

    필자의 의도는 ‘개인화기’를 나누어 주려는 거다. 모든 병사에게 소총을 한 정씩 지급하겠다는 거다. 깨달음은 어떤 상황이든 즉시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무기다. 인생의 모든 국면에서 자신이 갑의 포지션에 설 수 있다. 그것으로 연애를 하든, 글을 쓰든, 예술을 하든, 정치를 하든, 경영을 하든, 사교를 하든 어디에나 먹힌다.

 

    그것은 하나의 방아쇠다. 방아쇠만 있으면 언제든지 ‘열려라 참깨’를 외칠 수 있다. 1700공안은 1700개의 방아쇠다. 작동원리는 모두 같다. 차례로 불러내는 것이다.

 

    자기장이라는 관계의 실체가 있고 남극과 북극은 상대적인 포지션에 불과하다는 일원론적 생각을 가진 사람과, 반대로 남극과 북극이 있을 뿐 그 사이에 있기는 무엇이 있겠느냐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대결하면 백전백승으로 일원론이 이긴다.

 

    조선왕조의 당쟁에도 항상 율곡이 퇴계를 이겼다. 구조적으로 율곡이 이기게 되어 있다. 율곡은 선비집단이라는 실체를 형성하고 그 실체가 왕권을 뒷받침한다. 공론을 모아 공익을 천명함으로써 대의명분을 분명히 한 다음에 왕을 거기에 올려태우는 것이다. 대의명분이란 곧 의사결정 원리다. 이 경우는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비집단의 결집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퇴계는 왕과 개인적인 주종관계를 맺는다. 그들은 왕에게 충성하지만 개인적인 충성심일 뿐이다. 힘이 없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의사결정이 안 된다. 왜? 신용이 없기 때문이다.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 했다. 색이 공하다는 말은 남북극이 포지션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공이 색하다는 말은 자기장이 실제로 존재하는 실체라는 말이다. 있는 것이 없고 없는 것이 있다. 이건 뭐 다 아는 이야기다.

 

    달을 가리키는데 왜 손가락만 보느냐는 말은 언제라도 유효하다. 그런데 달을 보기가 참으로 어렵다. 선비집단은 실체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실체가 있다. 달이 떠 있다. 작용반작용을 성립시킨다. 그것이 실체다.

 

    왜인가? 의사결정구조가 있기 때문이다. 퇴계의 개인적인 충성심은 중간과정의 프로세스가 없다. 그냥 목숨 바치겠다는 거다. 목숨을 바치면 뭐하나? 문제를 해결해야지! 그러려면 신뢰가 있어야 하고 신뢰를 이루려면 보증인이 있어야 하고 보증인을 세우려면 그 보증인이 죽어버린다든가 도망친다든가 하지 않아야 한다. 선비집단은 죽지도 않고 도망치지도 않으므로 보증을 선다.

 

    그러나 퇴계의 충성심은 죽어버리고 혹은 도망쳐 버리기 때문에 보증을 설 수가 없다. 의사결정이라는 실체가 없는 것이다. 신뢰를 담보할 구체적인 수단이 없는 것이다. 이건 뭐 땅문서도 없이 대출을 요구하고, 보증금도 없이 임차를 요구하는 격이다. 누가 대출해준다던? 누가 방을 내놓는다던?

 

    깨달음은 완전성으로 불완전성을 제압한다. 완전성은 신이다. 완전성은 진리다. 완전성은 자연이다. 모든 관계는 신에 대한 관계다.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인터넷과 비슷하다. 완전한 것은 인터넷망 전체다.

 

    우리는 그 전체에 빨대를 꽂아서 필요한 만큼 빼 쓰는 것이다. 각자 자기 능력만큼 쓴다. 어떤 사람은 100을 가져가고 어떤 사람은 1000을 가져간다. 더 많이 가져갔다고 항의하는 사람도 없다.

 

    우리가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열배로 즐거워 하든 100배로 즐거워 하든 무방한 것과 같다. 어떤 사람이 자연을 감상하고 만 배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해서 추가비용을 청구당하는 일은 없다.

 

    누구 이기는가? 신을 불러오는 사람이 이긴다. 동네 꼬맹이가 싸움질을 하더라도 형을 불러오는 쪽이 이긴다. 깨달음은 신을 불러오는 방아쇠다.

 

    많은 사람들이 관계의 완전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끝끝내 손가락을 보기 때문이다. 전체의 완전성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송이 꽃은 완전하다.

 

    ‘흥! 완전하긴 뭐가 완전해. 금방 시들어버릴 건뎅!’

 

    이러고 나자빠져 있다. 꽃은 또 피어난다. 한 송이 꽃의 완전성은 우주 전체의 완전성을 대표하고 있다. 누구든 왕의 사자가 되면 곧 왕과 동급이다. 누구든 신의 대표자가 되면 곧 신과 동급이다.

 

    우주의 완전성이 본래 존재하고 개별적인 것들은 그것을 대표하는 것이다.

 

    왜 점수에 사로잡히는가? 자기 안에 우주를 집어넣으려 하기 때문이다. 가당키나 한 일인가? 작은 그릇에 큰 그릇을 담을 수 없다. 그것은 무리수다. 우주 안에 자신이 있고, 우주라는 종을 울리면 소리가 나고 그것으로 완전한 것이다.

 

    다시 말하거니와 점수하여 내 안에 완전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돈오하여 완전성 앞에 내가 선다. 내가 대표한다. 내가 북채를 쥔다. 내가 종을 울린다. 팬들은 아이유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아이유를 매개로 신을 만나려 한 것이다. 아이유는 완전하지 않다. 다만 그 완전성을 대표할 뿐이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 아이유를 보지 말고 그 뒤의 신을 보라. 달을 따려고들지 말고 달을 가리키기만 해라. 관계만 맺으라. 상호작용만 하라. 진리를 머리 속에 집어넣으려 하지 말고 진리 앞에 가서 서라. 수학문제를 풀려고 하지 말고 계산기를 사라.

 

   

     ###

 

   

345678.jpg

 

     돈오는 북채가 북을 치고, 당목이 종을 울리고, 깨달음이 완전성을 끌어내는 것이며, 점수는 북채가 북이 되려고 기를 쓰고, 당목이 종이 되려고 용을 쓰고, 깨달음이 완전성이 되려고 무리수를 두는 것입니다. 무엇이 된다거나 하는 일은 결단코 없습니다. 다만 밖에서 툭 건드려 그 안의 소식을 밖으로 끌어낼 뿐입니다. 이 책을 권합니다.

 

http://gujoron.com/xe/?mid=Moon




[레벨:15]오세

2012.11.13 (10:00:01)

빵!

신이 쏜 탄환이 가슴에 날라와 꽂혔소. 

쓰리고, 아프지만, 기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2.11.13 (10:20:44)

"남북과 북극은 상대적인 포지션"

남북 > 남극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1.13 (10:30:50)

감사하오. ^^

[레벨:3]이제는

2012.11.13 (11:27:52)

어제 쓴 글 가운데 `상부구조로부터의 심리적 압박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의해 자기 마음이 결정된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부구조'는 어떤 것을 떠올리면 될까요?

[레벨:15]오세

2012.11.13 (11:32:33)

전송됨 : 트위터

동렬님이 답변 주시겠지만, 참고로 마음의 구조라는 책이 있습니다. 거기에 보시면 마음의 상부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실 수 있을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1.13 (11:47:05)

인간을 움직이는 본질이 뭘까요?

욕망? 가짜입니다.

욕망이라는 단어 자체가 잘못된 단어입니다.

욕은 '하고자 한다'인데 하다가 두번 반복된 동어반복형 단어이며 

동작을 격발한다는 뜻입니다.

망은 바라다인데 바라는 것은 뻗다에서 온 말이고

곧 시선을 멀리 두고 손님이 오는지 눈이 빠지게 보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즉 욕망이란 

무언가를 눈이 빠지게 주시하면서 어떤 행동을 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근데 그게 뭐죠?

행동을 하게 하는게 뭐죠?

욕망은 허어입니다.

가짜 언어에요.

동어반복입니다.

언어가 가짜이므로 언어에 속는 것입니다.

예컨대 집에 가는 이유가 뭐죠? 하고 물으면 

집에 가게 하는 것에 의해서 집에 간다 이렇게 대답하는 거에요.

그니까 그게 뭐냐고요.

욕망의 욕은 하게 하다인데 그 하게 하는게 뭐냐고요?

먹는 이유는 먹게 하는 것에 의해서다

자는 이유는 자게 하는 것에 의해서다.

사과가 떨어지는 이유는 사과가 떨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서다. 

이런 식의 동어반복으로는 만유인력을 발견할 수가 없습니다. 

인간이 욕망에 의해서 행동한다는 말은 전부 거짓말입니다.

꼬맹이에게 물으면 '대통령 될래' 이렇게 답합니다.

꼬맹이가 대통령이 뭔지 알 리가 없잖아요.

꼬맹이는 험악한 공기를 읽고 반응한 겁니다.

대통령 쯤으로 하지 않고 7급 공무원 될래 하다가는 분위기 깨진다는걸 경험한 거에요.

대통령 정도는 해줘야 주변의 공기가 부드러워지는 겁니다.

예컨대 섹스를 원한다 해도 섹스 그 자체가 동인은 아닙니다.

이미 주변으로부터 압박을 받았고 그 압박으로부터 도피로를 섹스로 정한 것이며

그것은 그 외에 적당한 것을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지만

인간은 대부분 주변이 원하는 것을 자기 목표로 합니다.

무의식적으로 주변 환경을 읽고 거기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왕따행동도 격리되어 있다는 환경을 읽고 스트레스 받은 것입니다.

새끼를 낳은 토끼를 사람이 들여다 보면 어미토끼가 새끼를 먹어버립니다.

어미토끼는 새끼토끼가 먹고싶어졌을까요?

새끼토끼가 초콜렛으로 보였을까요?

천만에.

새끼가 없으면 사람이 들여다보지 않을 것이니까 제거하는 겁니다.

자기 똥을 먹는 강아지도 있는데 역시 같은 겁니다.

강아지가 자기 똥을 먹고 싶어서 먹을까요?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상부구조는 첫째 주변환경이고 둘째 유전인자입니다.

셋째는 상호작용입니다.

인간은 환경을 읽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도록 세팅되어 있으며 

그러한 대응행동이 반복되면 그걸 욕망이라고 규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99퍼센트는 반복이고 그걸 하는 이유는 전에 했기 때문에 하는 것이고

최초의 격발행동은 전부 외부의 환경을 읽고 그 공기를 부드럽게 하는 쪽으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애들이 사고치는 이유는 주변의 초롱초롱한 눈빛 때문입니다.

애들아 하고 소리치면 모두 주목하면서 호기심어린 눈빛으로 쳐다보기 때문에

노래라도 한 곡조 불러야 하는 것입니다.

[레벨:3]이제는

2012.11.13 (13:32:54)

친절한 설명 고맙슴다!

그렇다면, 뒤이어 동렬님이 말한 `자기 마음이 원하는 진짜 명령'을 찾으려면,

정신을 차리고, 지금의 자기 마음이 `외부 환경을 읽고 그 공기를 부드럽게 하는 쪽으로 나오고, 그런 패턴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그리고 그런 것을 알아차리는 훈련만으로도 `진짜 명령'을 찾을 수 있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1.13 (14:00:11)

우주의 기본 원리 중 하나는 플러스가 아예 없다는 겁니다.

플러스라는 것은 인간이 발명한 허상이고 우주 안에 완전히 없습니다.

예컨대 담배를 피고 싶다, 술을 먹고 싶다 따위 '하고 싶다'는 것은 인간이 지어낸 허상입니다.

실제로 기저에서 작동하는 것은 담배의 금단증상 혹은 알콜중독 현상입니다.

그것을 담배 피고 싶다로 해석하는 것은 경험에서 얻은 노하우입니다.

즉 우주 안에 무엇을 하라는 명령 따위는 원래 없는 겁니다.

대신 스스로 답을 찾아낼때까지 계속 갈구는 것만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보통은 반응하지 않기로 작정해 버립니다.

동물을 학대하면 고통을 느끼는데 고통을 느끼지 않기로 결정해 버립니다.

고통을 느끼면 도축장에서 일할 수도 없고 생선을 요리할 수도 없기 때문이지요.

중요한 것은 반응하지 않기로 작정해 버렸다는 점이며 이 점을 복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스스로 자신의 한계와 역할을 고정시키고

그 이상의 관계는 의식적으로 차단해 버립니다.

완전히 닫아버린다는 거죠.

 

상호작용을 하지 않고 관계를 맺지 않습니다.

닫힌 문을 다시 열지 않으면 안 됩니다.

갓난 아기는 모든 문이 열려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씩 닫아버립니다.

자신을 둔감한 존재로 만들어 갑니다.

난 이게 싫어. 난 저걸 못해 하고 자기 한계를 만들어 갑니다.

 

[레벨:3]이제는

2012.11.13 (14:11:24)

닫힌 문을 다시 연다! 속이 뻥~ 뚫리는 느낌임다. 감사!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설의 어원 new 김동렬 2024-12-25 234
공지 지정학의 의미 김동렬 2024-12-23 2788
2528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4935
2527 돈오는 역산방식이다 image 2 김동렬 2012-11-26 35972
2526 돈오와 점수의 대립 image 3 김동렬 2012-11-23 11859
2525 질을 발견하는 훈련 image 7 김동렬 2012-11-23 12157
2524 구조론은 이거만 알면 됨 image 27 김동렬 2012-11-21 13982
2523 구조론 단상 image 3 김동렬 2012-11-20 11949
2522 약한 고리의 보호 image 3 김동렬 2012-11-17 11910
2521 욕망은 없다 길들여졌을 뿐 image 2 김동렬 2012-11-16 11812
2520 돈오가 세상을 깨우다 image 김동렬 2012-11-15 14987
2519 아이유와 브리트니 image 3 김동렬 2012-11-14 13388
2518 성철과 숭산 image 1 김동렬 2012-11-13 12899
» 깨달음의 방아쇠를 품어라 image 9 김동렬 2012-11-13 11708
2516 아이유가 무엇을 잘못했나? image 8 김동렬 2012-11-12 13998
2515 미학의 에너지에 반응하라 image 5 김동렬 2012-11-09 11841
2514 신은 늘 그대가 된다 image 8 김동렬 2012-11-08 16549
2513 횡설수설 율곡퇴계 image 8 김동렬 2012-11-07 11974
2512 돈오점수는 없다. image 9 김동렬 2012-11-06 12792
2511 돈오 그리고 스타일 image 1 김동렬 2012-11-05 11470
2510 스타일을 바꾸어 세상을 바루자 image 18 김동렬 2012-11-04 14077
2509 돈오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2-11-04 11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