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575 vote 0 2016.06.16 (11:07:28)

    

    문제는 대칭이고 답은 호응이다. 그러나 상대방의 말에 호응하지 말고 자기 언어 안에서 호응시켜야 한다. 상대방의 말에 호응한다면 책임을 떠넘기고 의사결정을 회피하는 것이다. 이유를 댄다 해도 자기 자신의 비전에서 이유를 대야지 상대방이 어떻게 했으니까 내가 어떻게 응수한다는 식은 온당치 않다. 내가 천하통일의 비전을 세웠으므로 이렇게 한다고 말해야 한다. 무엇보다 자기 언어가 완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각의 정석 117회]


    대칭이 아니면 호응이다. 대칭은 받아치는 것이고 호응은 다음 단계로 연결하는 것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물은 깊은데?’ 하고 반대편에서 받아치는 것이 대칭이다. ‘산이 높다’고 하면 ‘골도 깊다’고 같은 편에서 다음 단계로 진도 나가는 것이 호응이다. 기승전결이다. 기를 받아서 승으로 전으로 결로 이어가는 것이 호응이다. 호응이 정답이다. 그러나 그 호응은 자기 안에서 조달되어야 한다.


    영화를 보고 감동한다면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낚인 것이다. 감독의 제안에 호응하면 안 된다. 정답은? 호응해주는 방법으로 감독을 낚는 것이다. 어린이가 노래를 잘 부르면 어른들이 박수를 쳐준다. 그것은 어린이의 제안에 어른이 호응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 어린이를 낚는 것이다. 감독이 관객을 낚듯이 관객 또한 의도를 가지고 자신이 설계한 판으로 끌어들여 감독을 낚아야 한다.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를 비판적으로 보는 것은 다른 많은 감독들을 낚는 방법이다.


[레벨:30]솔숲길

2016.06.16 (18:41:47)

[생각의 정석 117회] [인공지능 특집] 알파고 1학년 바둑부

http://gujoron.com/xe/68623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54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699
3546 구조론의 출발 3 김동렬 2016-06-16 5763
» 사랑 117, 낚이지 말고 낚아라 1 김동렬 2016-06-16 5575
3544 이스터 섬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6-06-14 6505
3543 최초에는 최초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06-13 5560
3542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419
3541 사랑 116, 쾌락과 고통 image 4 김동렬 2016-06-13 5452
3540 무속과 종교의 차이 image 1 김동렬 2016-06-10 6265
3539 인생의 의미는 있다 image 1 김동렬 2016-06-10 5759
3538 역사는 종교로부터 시작되었다 image 6 김동렬 2016-06-09 6536
3537 공자의 최종결론 image 1 김동렬 2016-06-08 5950
3536 한국인에게만 있는 것 image 김동렬 2016-06-08 5948
3535 한국이 강한 이유 image 김동렬 2016-06-07 6155
3534 사랑 115, 나를 키우는 것이 정답이다 2 김동렬 2016-06-07 5855
3533 율곡의 천도책 image 3 김동렬 2016-06-06 5959
3532 진중권의 수구꼴통 논리 image 3 김동렬 2016-06-05 6180
3531 브라질 땅콩 법칙 image 김동렬 2016-06-03 5943
3530 정유재란의 주범 노자 image 3 김동렬 2016-06-03 5716
3529 공자 율곡 퇴계 노자 image 1 김동렬 2016-06-02 5634
3528 사랑 114, 두려움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6-02 5304
3527 노자가 중국을 죽였다 image 김동렬 2016-06-01 5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