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572 vote 0 2015.04.02 (18:09:20)

17.jpg


20.jpg 21.jpg

22.jpg

23.jpg



 


   
    에너지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과일의 단면이 대칭성을 띠는 것은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식물의 잎이 대칭을 띠는 것은 자라기 위해서다. 그런데 대칭은 방어에 강하지만 공격에 약하다. 동물은 비대칭을 따라야 한다. 힘을 전달하려면 외부와의 관계에도 대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축은 외부의 대상과 만나는 접점에 있어야 한다. 악수를 한다면 두 사람의 대칭은 둘이 마주치는 손에 있어야 한다. 대칭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와 접촉면을 가진 나선구조가 된다. 나선으로도 부족하여 척추동물이 탄생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7572
3078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8193
3077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7833
3076 대칭에서 비대칭으로 image 1 김동렬 2015-03-30 7714
3075 구조는 대칭이다 image 5 김동렬 2015-03-29 10148
3074 구조론은 쉽다 image 2 김동렬 2015-03-27 6483
3073 구조론으로 시작하자 image 김동렬 2015-03-26 6592
3072 결정적인 한 방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5-03-24 7740
3071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관찰 image 김동렬 2015-03-24 7427
3070 물리법칙 image 1 김동렬 2015-03-21 7920
3069 팻맨과 리틀보이 image 김동렬 2015-03-18 10123
3068 불확정성의 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3-17 7464
3067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5-03-14 7019
3066 일의성과 완전성 image 10 김동렬 2015-03-13 6883
3065 구조와 시스템 image 김동렬 2015-03-12 6766
3064 깨달음과 에너지 image 김동렬 2015-03-11 6463
3063 에너지는 에너지가 아니다 image 김동렬 2015-03-10 7042
3062 거꾸로 생각하라. image 김동렬 2015-03-06 8454
3061 깨달음은 호르몬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3-05 8009
3060 F1 머신의 운전자 image 3 김동렬 2015-03-02 7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