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53 vote 0 2025.04.14 (23:04:48)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액션이다. 액션은 동사다. 구조론에서 구조는 명사로서의 구조물뿐만 아니라 동사로서의 구조하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 세상은 외부의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존재 내부의 자발성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조된 것이다.


    창조는 없는 것이 생겨나는 플러스 변화다. 구조는 일어날 일이 일어나는 마이너스 변화다. 구조는 방해자가 제거되어 잠복된 것이 드러나는 변화다. 마이너스는 문제 속에 답이 있으므로 의심할 수 없다. 껍질이 벗겨져서 내부가 드러나는 변화는 믿어야 한다.


    아기의 탄생은 엄마의 자궁을 탈출하는 마이너스다. 구조는 마이너스다. 플러스 변화는 외부에서 사후에 유입되므로 의심할 수 있다. 마이너스 변화는 내부에서 사전에 확정되므로 의심할 수 없다. 아빠는 친부가 맞는지 의심되지만 엄마를 의심할 수는 없다.


    창조는 무에서 생겨나는 플러스 변화이므로 질량보존의 법칙을 어겨서 의심되지만 구조는 이전 우주가 무너져서 우리 우주가 생겨나는 마이너스 변화이므로 의심되지 않는다. 전부터 있던 변화가 나란해져서 모습이 바뀌면 질량보존의 법칙을 어기지 않는다.


    ###


    원자는 정지질량이 있고 원자가 모여서 우주를 건축하는 플러스 과정은 운동질량이 있다. 정지질량에 운동질량이 더해지므로 원자론은 질량보존의 법칙을 어긴다. 구조론은 2의 대칭으로 이루어진 계가 1+1로 쪼개지므로 질량보존의 법칙을 어기지 않는다.


    구조론적 세계관의 핵심은 자명성과 자발성이다. 자명성은 문제 속에 답이 있고 자발성은 사건 내부에 원인이 있다. 수학은 1이 잘 정의되면 2는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구조는 동사가 명사를 겸하고 운동질량이 정지질량을 겸하므로 변화의 설명이 필요없다.


    멈춘 것이 갑자기 움직이면 왜 그런지 설명해야 한다. 원자론이 넘을 수 없는 벽이다. 움직이고 있던 둘이 간섭하여 나란해지면 외부 관측자의 눈에는 멈춘 것으로 보인다. 왜 멈췄는지 설명이 필요없다. 정지는 운동을 겸할 수 없지만 운동은 정지를 겸한다.


    운동의 간섭에 따른 결맞음이 외부 관측자에게는 정지한 원자로 보인다. 관계가 변했을 뿐 변하지 않았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동전의 양면이다. 다르게 보이는 것은 다른 관점에서 봤기 때문이다. 플러스를 마이너스로 바꾸어 관측하면 스스로 명백해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33 전우용 트윗 update 1 김동렬 2025-04-16 1048
7332 노무현 유시민 이재명 1 김동렬 2025-04-15 1217
» 천지구조 김동렬 2025-04-14 653
7330 윤석열이 이겼다. 김건희가 졌다. 2 김동렬 2025-04-14 1410
7329 구조창조 김동렬 2025-04-11 967
7328 천지창조 김동렬 2025-04-11 1058
7327 이재명의 정치는? 1 김동렬 2025-04-10 1540
7326 국힘당 해산은 좋지 않다. 2 김동렬 2025-04-09 1719
7325 국힘 발 왕자의 난 김동렬 2025-04-08 1888
7324 졸속 개헌 무리 2 김동렬 2025-04-06 2437
7323 헌재의 실토와 자백 image 2 김동렬 2025-04-05 2418
7322 존재의 원형 김동렬 2025-04-04 1720
7321 누가 먼저 배신할까? 김동렬 2025-04-04 2373
7320 시스템과 개인 김동렬 2025-04-03 1897
7319 팀플레이가 중요하다 김동렬 2025-04-03 1817
7318 최고의 인간 최악의 인간 김동렬 2025-04-02 2183
7317 뉴턴시대의 종결 김동렬 2025-04-01 2456
7316 한국 정치의 비극 김동렬 2025-04-01 2210
7315 쫄지 않으면 이긴다 김동렬 2025-04-01 2193
7314 구조요약 김동렬 2025-03-30 2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