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15 vote 0 2016.07.01 (12:46:41)

고구려에서 대족장을 의미하는 

고추가의 가가 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자로 가한, 칸이라는 말은 북방 유목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쓰였다.

박혁거세 거서간은 거서 + 칸이다. 거서간은 고추가의 다른 표기로 봐야 한다.


 

신라 거서간居西干

백제 길사칸吉師

고구려 고추칸古雛加


한자표기가 다를 뿐 모두 같은 것을 지칭하고 있다.

즉 고구려 신라 백제 세 나라의 발음은 같거나 비슷했을 가능성이 높다. 


징기스칸을 몽골어로는 칭기스항이라고 하는데

아랍어로는 진키즈 한, 페르시아어로는 창기즈 한, 

중국어로는 청지쓰 한(성길사한)이라고 한다.


삼한의 도 같은 맥락으로 봐야 한다.

한반도는 칸의 나라였다.


결론은 우리 민족은 농경민이 아니라 유목민의 문화로 출발했다는 거.

박혁거세의 박혁은 바야토르 거세는 거서간.


즉 박혁거세는 바야토르 거서간으로 보는게 맞다.

바야토르는 흉노선우 묵특의 몽고식 발음이라고 한다.

상당히 높은 확률로 추정하고 있다.


혁거세라는 이름은 수백년 후 

김씨 정권에서 시조의 성을 박씨로 결정하면서 헷갈린 것이다.

즉 박혁거세의 본명은 기록되지 않은 것이다.


김알지도 마찬가지인데 이름이 아니다.

김은 성이고 알은 김의 흉노식 발음이고 지는 존칭이다.

김알지를 현대식으로 발음하면 김씨다.


묵특, 바야토르, 박의 기원은 

박트리아 지방으로 보고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zuna

2016.07.01 (14:45:26)

과거에 왕으로 선출된 적이 있는 부족의 장이나 왕과 혼인을 맺은 인척의 부족장에 대한 존칭으로도 사용되었다. 가의 어원은 대부족의 군장(君長)이나 왕을 의미하는 ‘간(干, Kan)’·‘한(汗, Khan)’과 깊은 관계가 있고, 가는 간·한의 종성이 탈락한 음전(音轉)이 축약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부여·고구려 사회의 대부족장인 대가(大加)에 해당하는 왕을 신라에서는 거서간(居西干)·마립간(麻立干)이라고 하였고, 관명에도 제1관등인 이벌찬(伊伐飡)을 서발한(徐發翰) 또는 각간(角干)으로 표시하는 것 등을 볼 때 가(加)·간(干)·찬(飡)·한(翰) 등이 뜻을 같이하는 공통어로 사용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몽고어의 ‘대간(大干)’·‘대한(大汗)’도 군장을 의미하는 용어임을 생각할 때, 가(加)·간(干)·한(汗)은 동아시아 공통의 고대어였다고 생각된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00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523
1175 생각의 정석 134 김일성 훈장 1 김동렬 2016-07-04 3460
» 고추가와 거서간 1 김동렬 2016-07-01 4815
1173 생각의 정석 133회 홍상수와 김민희 김동렬 2016-06-27 3499
1172 생각의 정석 132회 오세 2016-06-18 3480
1171 생각의 정석 131회 오세 2016-06-11 3408
1170 [제민] 역사라는 가장 극적인 한류 드라마 image ahmoo 2016-06-09 3798
1169 생각의 정석 130회 오세 2016-06-04 3410
1168 브라질 땅콩 효과 image 김동렬 2016-06-03 5850
1167 take와 득得 3 김동렬 2016-06-03 3667
1166 생각의 정석 129회 오세 2016-05-28 3261
1165 사피엔스? 김동렬 2016-05-25 3842
1164 생각의 정석 128회 오세 2016-05-21 3378
1163 언어가 문제다. 특히 독해력. 오세 2016-05-20 3611
1162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44
1161 생각의정석 127회 오세 2016-05-15 3384
1160 탄허스님의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6-05-09 5365
1159 생각의 정석 126회 오세 2016-05-07 3353
1158 도보여행 할만한 코스 image 3 김동렬 2016-05-02 4170
1157 생각의 정석 125회 오세 2016-04-30 3685
1156 오자병법 대 손자병법 image 3 김동렬 2016-04-25 5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