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085 vote 0 2015.04.07 (17:48:20)

1.jpg


    아프리카는 광대하고 지역에 따라 풍토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아프리카는 물이 풍부하다. 


2.jpg


    전형적인 아프리카고 생각되는 잠비아 북쪽지역을 봤는데 도처에 거대한 물구덩이가 있다.

아마 광산업자들이 광산에 쓰기 위해 파놓은듯. 식수로 쓰지는 않는 것으로 짐작된다. 


3.jpg

하트모양의 멋진 호수가 있다. 근처에 마을이 있지만 식수를 취수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4.jpg


    그냥 평지다. 어디든 조금만 파면 물이 나온다.


5.jpg


6.jpg


언덕에서 본 풍경, 풍요로와 보인다. 농지가 상당히 개간되고 있다. 광산업이 호황이다. 사바나에 도시가 들어서고 있다.


 7.jpg


    아프리카는 물이 부족한게 아니다. 구태의연한 삶의 방식을 바꾸지 않는게 문제다. 바꿀 이유도 없고.

    물론 지역에 따라 물이 부족한 곳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물이 풍족한 곳으로 옮겨가면 된다. 가능할까?

    이웃부족 사람들이 자기 땅으로 넘어오는 것을 허용할까? 


    물 문제 해결은 간단하다. 포크레인 끌고 다니면서 마을마다 구덩이 하나씩 파주면 된다.

    구리광산의 무수한 물구덩이처럼 그냥 파면 물이 고인다. 


    그러나 그 물을 쓸까? 

 

    잠비아 1인당 GDP.. 2004년에 400불, 2013년에 1700불,. 

    중국의 구리광산개발 때문에 고도성장을 하고 있다. 요즘 구리값 떨어지고 있는데.



[레벨:5]정기훈

2015.04.08 (13:29:21)

모기 때문에 물가에 살고 싶어도 살 수가 없습니다.
모기의 공격을 피해 살아남는 방법이 물가에서 멀어지는 것.
물에서 떨어져 사는 것이 아프리카인들의 생존법입니다.
초기 아프리카 탐험가들이 멋모르고 물가에서 야영하다 엄청 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4.08 (13:57:22)

모기가 문제였군요.

그런데 물이 충분하므로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우물을 파도 되고 물탱크를 지어도 됩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한 곳에 모여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레벨:6]홍가레

2015.04.11 (19:57:52)

몇가지 생각해봤는데  아프리카 부족에 성을 짓는건 어떨까요.?    너무 뻥 뚤려있어서 의사결정을 안해도

되는 환경일텐데.  성을 지어버리면 시장도 생기고 의원도 생기고 마을 물탱크도 생길듯.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17
995 정치는 박근혜처럼 해라. image 1 김동렬 2015-04-29 5915
994 벤처 창업의 구조 김동렬 2015-04-29 3517
993 만유인력인가 만유척력인가? image 6 김동렬 2015-04-26 4869
992 한국의 몰락 2 김동렬 2015-04-24 4784
991 생각의 정석 75회 2 오세 2015-04-23 2836
990 구조론을 모르면 이렇게 됨다. image 3 김동렬 2015-04-20 4488
989 경주마는 경마의 의미를 알까? image 김동렬 2015-04-16 3748
988 [제민포럼]공감의 공동체를 꿈꾼다 image 1 ahmoo 2015-04-16 3168
987 한국은 세계 5대강국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4-15 5160
986 생각의 정석 74회 오세 2015-04-12 3014
985 우주 탄생의 비밀 2 김동렬 2015-04-10 3500
984 파퀴아오 대 메이웨더 김동렬 2015-04-09 3983
» 아프리카는 물의 대륙이다. image 3 김동렬 2015-04-07 4085
982 신립장군이 새재를 지켰다면? image 김동렬 2015-04-07 3897
981 재벌회장 과보호가 문제 image 김동렬 2015-04-07 3411
980 구조론이 예견한 우주 김동렬 2015-04-05 3173
979 역사 영화는 왜 만드는가? image 1 냥모 2015-04-04 4329
978 이중의 역설 예 image 3 김동렬 2015-04-03 3984
977 생각의 정석 73회 오세 2015-04-02 2707
976 인류는 처음부터 직립했다. image 김동렬 2015-04-02 3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