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79 vote 1 2015.01.02 (20:35:22)



이 동영상에 따르면 인류는 무려 6백만년 전부터 진작에 직립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00만년 전에 침팬지 무리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기존의 학설은 틀린 것일 수 있다고 합니다.


예상과 달리 600만년 전의 직립은 이후 수백 만년간 뇌용적을 전혀 늘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200만년 전에 갑자기 영장류의 뇌용적이 늘어났다는 겁니다.


뇌용적의 증가는 당시 일어난 북아프리카의 주기적인 환경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진화를 촉발했다는 점은 구조론과 가깝습니다


변화 그 자체가 인류의 진화를 촉발했다고

당시 환경이 호수에서 사막으로 다시 호수로 계속 바뀌었다는 거.


잦은 환경변화가 키질효과로 뇌용적이 작은 영장류를 제거한 거.

대진화는 대멸종과 관계가 있습니다.


대멸종은 불안정한 신종의 환경적응을 도우니까요.

진화는 모듈 단위로 일어나므로 불안정하며 진화한 종은 초기에 살아남기 어렵고


그 때문에 진화는 잘 일어나지 않으며

유전체계에서 관측되는 많은 부분은 진화가 아니라 반대로 진화의 방해입니다.


그 방해의 빗장이 풀릴 때 그러한 마이너스에 의해 진화가 일어나는 거.

즉 무에서 갑자기 진화가 플러스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비되어 잠복해 있던 진화가 어떤 계기로 방해자가 제거되어 빗장이 풀리는 형태로 

진화가 일어나며 자연의 많은 부분들은 그러한 빗장의 풀림을 막아 


진화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세팅되어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더 많은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뜻이며


반대로 인류가 멸종할 대재앙이 닥치면 대단한 진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거.

지구는 작은 별이고 누가 뜨려면 누가 자리를 비켜주어야 한다는 거. 


진화가 모듈단위로 일어난다는 것은 기존의 집단 안에서 

갑자기 진화한 개체가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먹이선택부터 걷는 방법, 도구사용 방법 등 모든 것이 다르니까.

진화한 개체는 소속한 집단을 떠나 완전히 다른 서식지로 옮겨가야 한다는 거죠.


그럴 가능성이 없으므로 반대로 환경이 다른 데로 옮겨가 버리면

기존의 무리는 먹이를 찾아 다른 곳으로 이동해 버리고


반면 진화한 개체는 무리를 따라가지 않고 거기에 남는다는 거죠.

진화한 개체는 변한 환경에 따라 달라진 먹이에 적응할 수 있으니까.


침팬지가 주로 풀이나 과일을 먹는데 비해 

인간이 지렁이나 올챙이 개구리 물고기 등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훨씬 다양한 먹이를 취식한다는 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881
947 [제민시론] 당신은 어디에 서 있는가? image 2 ahmoo 2015-01-26 2937
946 얌체 돌고래의 운명 김동렬 2015-01-25 3096
945 생각의 정석 63회 2 오세 2015-01-19 2891
944 존재론과 인식론. 20 아제 2015-01-15 4819
943 memo 눈내리는 마을 2015-01-15 2866
94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187
941 생각의 정석 62회 오세 2015-01-13 2693
940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030
939 한의원의 문제 image 13 김동렬 2015-01-09 5635
938 '괴벨스의 13대 어록' 비판 10 챠우 2015-01-06 5999
937 창의성의 진화 image 7 김동렬 2015-01-05 5076
936 소설 쓰는 방법 김동렬 2015-01-05 3952
935 창의성에 관한 10가지의 잘못된 신화 3 김동렬 2015-01-03 4412
934 생각의 정석 61회 오세 2015-01-03 2849
933 독도이야기 기록용 image 김동렬 2015-01-03 2995
» 인류가 진화한 이유 김동렬 2015-01-02 3679
931 2015, 항공모함을 꿈꾸며. 아제 2015-01-01 3155
930 로스트제너레이션 2014를 보내며. 2 아제 2014-12-30 3295
929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601
928 생각의 정석 60회 2 오세 2014-12-24 2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