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에서 얘기하는 것이 틀이 내용에 앞선다 입니다.
머리 속에서 백가지의 생각이 왔다갔다 해도 실제 틀을 바꾸지 않으면 그저 몽상이죠.
왜 이런 얘기를 하냐면 작년부터 생각했던 스쿠터를 드디어 지난 주 몰빵으로 엄청 싸게 사고
(오토바이 가게 젊은 사장이 고객이 무상으로 준 스쿠터를 약간 손만 보고 30만원에 내놓아서
있는 돈 다 털어서 샀슴)보니 할 일이 막 생김.
-어떤 복장을 해야 폼이 날까?악세사리는 어디서 살까?그런 사이트는 어디?
-스쿠터로 전국 여행을 하면 어디를 먼저 갈까?
-지금 산 스쿠터는 싸구려 50cc인데 다음 번엔 중고겠지만 좀 더 좋은 모델은 뭘까? 등등.
오늘은 길거리 다니는 스쿠터만 눈에 보입디다
하여간 제 삶의 행태가 스쿠터로 인해 바뀔 것 같습니다.물론 연역적으로 생각하고 무리해서
스쿠터를 샀습니다.구조론에 의해서 확 질러 버린거죠.
내일 아니 오늘 번호판을 받고 라이더의 길을 갑니다.터벅터벅 걷던 인생에서 휙 달리는 삶으로
변화가 생깁니다.어떤 변화가 올 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포인트:760870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포인트:37255point (3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어쩌면 운이 좋게도) 적당한 시기에 하늘나라로 갔음.

![포인트:72333point (34%), 레벨:28/30 [레벨:28]](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8.gif)

![포인트:12422point (74%),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아침부터 지금까지 시내를 돌아다녔는데 겁나서 땀만 삐질삐질 흘렸습니다.에구구~~~팔아파 죽겠네요-.-

![포인트:12422point (74%),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오늘 자동차 등록 사업소에 가서 번호판 받기 전 인증으로 찍은 제 첫번째 스쿠터 애마 2004년 식 대림 ATS.

![포인트:14303point (59%),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내구성이 좋은 대림 9년차 스쿠터인가 보군요!
![포인트:10816point (96%),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이 스쿠터로 전국여행을 하시면 몸살 삼일은 앓아야할것임. 삼십분이상은 항속하기 쉽지않음. 투어링 모터가 괜히 크고 무겁고 고배기량인게아님. 투스트로크라면 엔진관리 잘해야하심.
![포인트:14991point (90%), 레벨:12/30 [레벨:1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2.gif)
요즘 전동자전거 많이 타고다니던데, 그걸로 구입하시지...
한번 충전하면 50킬로미터까지 간다고 하더군요...

![포인트:12422point (74%), 레벨:11/30 [레벨:1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1.gif)
휘발유 1L로 30~40Km를 가는 게 스쿠터인데 전동 자전거의 속도가 얼마나 나오는 지는
모르지만 스피드 감이나 비용면에서 아직은 아닌 듯 합니다.
그리고 스쿠터(오토바이 임)는 2륜 자동차로 법적 적용을 받는데 전동 자전거는 어떤 지
모르겠네요.
반복되지 않는 틀이 반복되는 내용에 앞섭니다.
반복되는 틀은 틀이 아닌 거죠.
보통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하다고 말하는데 이들이 말하는 형식은 반복되는 형식입니다.
늘 반복되는 마을의 결혼식과 같은 거죠.
스티브 잡스는 질(학술용 컴퓨터)+입자(퍼스날 컴퓨터)+힘(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손댔습니다.
빌 게이츠는 IBM이 만든 입자에 힘만 제작했죠.
형식은 일회용이고 내용은 반복되므로
스티브 잡스는 한 번만 벌고, 빌 게이츠는 반복하여 벌었죠.
그래서 빌 게이츠가 성공하고 잡스는 실패한 것처럼 보였죠.
그러나 잡스는 질 - 입자 - 힘의 전과정을 두루 경험했기에
아이팟과 아이폰, 아이패드를 만들 수 있었지요.
빌 게이츠는 아직도 30년전에 훔쳐서 만든 윈도즈를 팔고.
그러나 한 번 더 역설.
잡스는 새로운 형식의 애플, 새로운 형식의 아이맥, 새로운 형식의 맥북,
새로운 형식의 아이팟, 새로운 형식의 아이폰, 새로운 형식의 아이패드를 만들었으므로
역시 새로운 무언가 형식을 만드는 방향으로 세팅해놔서리
더 이상의 새로운 형식을 만들 수 없는 한계에 직면했지요.
다음 새로운 형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