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752 vote 0 2017.06.07 (18:12:16)

 

a.jpg b.JPG c.jpg d.jpg

    e.jpg
    새들은 종종 한쪽 다리로 서 있다. ‘체온을 절약하기 위해서’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과학상식백과 따위에 잘 나오는 이야기다. 과학의 이름을 내건 비과학이다. 검색해보니 오마이뉴스 기사에도 그런 게 있고 한겨레 기사에도 그런 게 있다. 두 다리로 선 전봇대를 보았는가? 두 다리로 선 소나무를 본 적이 있는가? 당연히 한 쪽 다리로 서 있다.


    사람이 짝다리 짚고 서거나 혹은 다리 꼬고 앉는 것과 같다. 무게중심을 일점에 모아야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양아치가 짝다리 짚고 서는 이유는 그 자세가 적의 기습에 대응할 수 있는 자세이기 때문이다. 모든 움직임은 ‘축의 이동’이라는 절차를 거친다. 축을 이동시키려면 그 축이 있어야 한다. 투수는 한쪽 다리를 축발로 삼아서 공을 던진다.


    체중을 일점에 모아 축을 이루고 외력의 영향에 대응하여 축을 이동시키면서 동작을 구현한다. 이 절차는 반드시 거쳐야 한다. 무엇인가? 새는 지구와 대칭을 이루었다. 문제는 우리가 새와 지구의 대칭을 포착하지 못하는 점이다. 외형을 볼 뿐 중력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의사결정구조를 판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역적 사고를 배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실점을 찾는 훈련을 게을리 했기 때문이다. 모든 의사결정은 축의 이동이며 축을 A에서 B로 이동시키려면 A와 B가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에너지가 들어오는 하나의 입구를 가져야 사건의 기승전결에서 다음 단계로 전개할 수 있다. 입구가 두 개로 되면 서로 충돌한다. 축을 결정하는 방법은 각운동량을 조직하는 것이며 이때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축과 등거리가 되어 대칭형태가 된다. 모든 의사결정은 축이 대칭된 A와 B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며 축 하나에 선택지 둘을 조달하므로 대칭된다. 세상은 직선 아니면 원이다. 원은 각운동량을 조직하여 축을 조달하고 직선은 축을 이동시킨다. 몸통은 둥글고 팔다리는 직선이다. 팔꿈치를 중심으로 손목은 원을 그려 각운동량을 도출한다.


    공처럼 둥글게 대칭되는 것도 있지만 시계추처럼 움직여서 시간차를 두고 대칭되는 것도 있는 것이다. 대칭과 호응이 있다. 호응은 대칭이되 시간차 대칭이다. 우리는 그런 다양한 대칭을 포착하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다. 


   20170108_234810.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0]systema

2017.06.08 (03:38:42)

이런 글을 기다려 왔습니다. 답답한게 뚫리는 느낌입니다.

대칭이 겉모습이 아니라 에너지의 대칭인데 사진속에 에너지의 길을 따로 그리면 가장 확실하게

알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각설하고 제가 생각하는 게 맞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뱀이 앞으로 가기위해 s자로 몸을 꼬는 이유는 앞으로가려면 땅을 밀어야 하는 데 몸을 꼬아서 

몸 전체를 통제하는 축을 도출하고 그 축을 땅과의 접촉하는 일점(아마도 꼬리부분) 에 대응하기

위해서 라고 보아도 되겠습니까?

마찬가지로 인간도 중력에 대항해서 일점을 만들어야 하므로 두다리를 교대해서 걷지만 

실제로 걸을 때는 한다리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개가 딱딱한 껍질을 가지는 것은 바위에 대항하기 위해서이고, 동물이 뼈를 가지는 것은

그 바깥과의 접촉부분을 안으로 들여온 바 입자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쉬운구조론 책에 궁전이

지구중심에 대응하고 지구중심이 궁전에 대응하는 에너지의 형태를 보아야 하고 이것이 중앙 주변

대칭임을 알아야 한다는 글이 있었습니다. 이를 지구와 궁전이 대응하는 일점을 중심으로 보고 

그 일점이 궁전 전체를 통제할수 있으니 궁전 전체는 주변으로 보아도 되겠습니까?

마찬가지로 제가 벽을 밀면 벽도 저를 미는데 저와 벽이 만나는 일점이 중심이고 저 전체는 

주변으로 볼수 있고 이는 사건으로 보았을때 중앙 주변 대칭이고 입자 입니다. 일반적인 사물의 입자는 

이러한 바깥과의 대응점을 자기자신안으로 복제해서 안의 일점으로 전체를 통제할수 있는것이라 보여집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7.06.08 (10:26:20)

제목 음.jpg


시스테마님은 뱀이 가는 원리를 모르는듯 한데 

뱀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보통은 비늘을 세워서 땅을 밀어서 갑니다. 

그래서 뱀이 시멘트 바닥에서는 움직이지 못합니다.

사막뱀은 기묘하게 점프를 하는데 그건 모래가 뜨거워서 그렇구요. 

비늘을 세워서 몸을 지지하고 활처럼 굴신하여 전진합니다.

더 자세한 것은 뱀한테 물어봐야 합니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0]systema

2017.06.09 (10:34:54)

깊게 생각안해보고 뱀이 점프하는 것만 생각해보고 질문을 드렸내요. 답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48 확률은 이용할 수 있다 image 2 김동렬 2017-06-18 14784
3847 확률을 알아야 구조를 안다 image 1 김동렬 2017-06-17 14319
3846 남자는 다 늑대다 image 김동렬 2017-06-16 14825
3845 일치와 불일치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7-06-16 12990
3844 엔트로피의 비가역성 image 김동렬 2017-06-14 13819
3843 반대쪽을 보는 훈련 image 3 김동렬 2017-06-14 13175
3842 구조론의 이해 image 1 김동렬 2017-06-12 13184
3841 입자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6-12 13176
3840 의사결정은 비용을 유발한다 image 김동렬 2017-06-10 13258
3839 세상은 수학이다 image 1 김동렬 2017-06-09 14005
3838 양자역학의 해석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7-06-08 13861
» 축과 대칭을 발견하라 image 3 김동렬 2017-06-07 13752
3836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김동렬 2017-06-06 13258
3835 우주는 디지털이다. image 4 김동렬 2017-06-03 15191
3834 구조론의 우주관 image 김동렬 2017-06-01 13235
3833 우주의 근본문제 image 김동렬 2017-05-31 13281
3832 구조로 본 상대성 image 8 김동렬 2017-05-31 13494
3831 상대성이론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7-05-30 13745
3830 ( ) 하는 그것이 ( )다. image 김동렬 2017-05-30 13029
3829 사물이 먼저냐 사건이 먼저냐? image 4 김동렬 2017-05-29 14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