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네이버 2004년 10대 뉴스에 최다덧글 1위로 뽑힌 기사는 ‘문희준, 록 자격증이라도 따고 싶어요’다. 무려 30만개의 댓글이 붙어있다. 일단 클릭해 보시길.
 
이곳에 댓글 남기는 일을 DC폐인들은 ‘성지순례’라고 하는 모양인데 이런 성지가 몇 곳이 더 있는지는 모르겠다.
 
이 현상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방학을 맞은 초딩들의 재치가 아니겠는가 하고 웃어넘길 수 있겠지만 혜안이 있다면 이런 작은 조짐들에서 시대의 큰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그 초딩들이 자라서 어른이 되었을 때 세상이 얼만큼 바뀌겠는가 말이다.
 
우리는 87년 6월항쟁으로 세상을 바꾸어본 경험이 있다. 그러한 체험의 공유가 정권창출의 원동력이 된다. 신세대들은 또 그들 방식의 체험의 공유를 이루어낼 것이며 그것이 20년 후 세상을 바꾸는 원동력이 된다.
 
인터넷과 휴대폰시대
새롭게 떠오르는 현상이 있다면 반드시 배경이 있고 토대가 있다. 2002년 월드컵의 길거리응원을 가능케 한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또 2004년 탄핵반대 촛불시위를 가능케 한 배경은 무엇일까?
 
인터넷과 휴대폰의 쾌거다. 과거에는 모여도 5~6명씩 모였다. 친구를 만나려면 약속장소가 되는 교보문고나 종로서적 앞에서 적어도 30분은 기다려야 했다. 그렇게 만나기가 힘드니 어쩌다 한번 뭉치면 본전을 뽑기 위해서 반드시 술집이나 노래방으로 이동해서 뒷풀이를 해야했다.
 
지금은 달라졌다. 인터넷과 휴대폰 덕분에 아무데서나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도착한 사람이 적당한 카페를 찾아 자리를 잡고 휴대폰으로 위치를 가르쳐 주면 된다. 추운 날씨에 떨며 길거리에서 한시간씩 기다리는 일은 없어졌다.
 
만남의 규모가 작아졌다. 날 잡아서 7~8명이 만나던 것이 이제는 2~3명이 수시로 만나게 되었다. 언제든 모일 수 있고 또 금방 헤어질 수 있다. 그러니 부담이 없다. 부담이 없으니 100만명 단위로 쉽게 모인다.
 
(예컨대 플래시몹에 뒷풀이가 있고 자기소개가 있고 각자 노래한곡이 있고 2차, 3차로 이어진다면 아무도 안온다.)
 
최근에 뜨는 일인매체 싸이월드의 폭발력과 같다. 휴대폰과 인터넷과 같은 개인미디어의 등장이 부르는 개인화경향과 맥락을 같이한다. 산업화시대에 왕≫귀족≫기사≫평민≫농노의 봉건피라미드 구조가 해체되면서 피플파워의 폭발력이 등장한 것과 같다.
 
일인매체와 열린사회
봉건시대에는 계급이 층층시하로 갈라져 있어서 중간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민심의 빅뱅이 원초적으로 불가능했다. 이 원리는 정치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예컨대 과거 운동권 내부에서의 주도권 경쟁을 예로 들 수 있다.
 
점조직 위주로 피라밋 구조를 가진 여러개의 운동단체가 경쟁하고 있었다. 이때는 외부세계와의 연결고리를 가진 팀이 조직 전반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수직적 봉건질서와 비슷하다.
 
중세유럽이라면 어떨까? 예컨대 밑에서 아무리 떠들어도 위에서 부르봉왕조와 합스부르크 왕가의 결혼식 발표 한방으로 진압할 수 있었다. 데모도, 시위도, 상소문도, 성명서도, 파업도 소용없다.
 
왕가의 혼사는 그 모든 아우성치는 부르조아의 입들을 침묵시키는 약효만점의 수단이었다. 백성들은 일제히 ‘국왕만세’를 외치며 축제분위기로 빠져버린다. 모든 정치문제가 일거에 해소된다.
 
구한말에는 또 어떠했든가? 당시만 해도 그러한 봉건구조가 남아있었기 때문에 친러파, 친일파, 친청파 등으로 나눠져서 각자의 외부세계와의 연결고리를 자랑하며 경쟁하였던 것이다.
 
닫힌사회의 폐쇄적 봉건질서 하에서 바깥 세계와 통하는 연줄을 잡은 정치인이 득세했던 것이다. 결국은 가장 강력한 배경을 가진 친일파가 먹었다.
 
해방 후 김일성은 러시아와 잡았고 이승만은 미국을 끌어들였다. 또 박정희는 미국을 업는 한편 일본과 수교하는 방법으로 권력을 창출했다. 백범과 여운형, 박헌영 등 국내파, 자주파가 파워게임에서 밀렸다.
 
당장 북한이 민주화 된다면 어떤 양상으로 진행이 될까? 북한 내부에서 자가발전으로 권력이 창출되지 않는다. 일단 친한파와 친중파의 대결구도로 갈 것이며 친한파의 승리로 종결된다. 그렇게 되게 되어 있다.
 
자주파의 시대가 온다
정리하자. 닫힌사회는 조직이 층층시하의 폐쇄형 피라밋구조를 가지고 서로 견제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 내부에 절묘한 균형이 성립한다. 그 경우 외부세계와의 연결고리를 가진 자가 그 균형을 깨는 방법으로 대세를 장악한다.
 
역사의 진보는 새로운 미디어를 등장시키며 그러한 폐쇄형 피라밋구조를 해체하고 개방형 구조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곧 열린사회이다. 그 결과 피플파워의 빅뱅이 일어난다.
 
이때 반드시 내부에 강력한 구심점을 가진, 빅뱅의 도화선 역할을 하는 정치적, 이념적 핵이 존재해야 한다. 그 경우 국내파, 자주파, 토착세력이 득세한다. 이는 세계사에서 두루 관찰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네티즌 토착세력의 등장
인터넷은 점조직이 아니다. 닫힌사회가 아니다. 피라밋구조가 없다. 내부에 구심점이 있어서 자체 동원능력을 가진 세력이 장악한다. 외부의 명망가를 끌어들여 어떻게 해보려는 세력은 반드시 패퇴하게 된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북한과 고리를 가졌던 주사파든, 서구사민주의를 추종하는 친서파든, 미국과 고리를 가진 친미파든, 친일 찌거기 조동세력이든 그 구조적 취약성 때문에 반드시 패퇴하게 되어 있다.
 
정당 안에서도 마찬가지다. 내부 구심점이 없이 정치적 상속을 꾀하거나 아니면 정몽준 식으로 바깥에서 보수표를 가져온다는둥 하며 합종연횡을 주장하는 자는 정치대결에서 100프로 깨진다.
 
※※※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개인화 경향≫정보의 빠른 소통≫내부 구심점의 형성≫토착세력의 득세라는 이 새롭고 거대한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몇 가지 더 들어보기로 하면
 
무기재료공학과의 소극
요즘 남도지방에는 꽃 피는 겨울이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한겨울에 때 아닌 진달래도 피고 개나리고 핀다고 한다. 착각이다. 필자가 어렸을 때도 초겨울에 개나리는 피었고 진달래도 피었다.
 
원래 일정한 비율로 초겨울에도 개나리와 진달래가 핀다. 다만 그때는 디카가 없어서 그런 보도가 잘 안나왔을 뿐이다. 3천년에 한번 핀다던 우담바라가 갑자기 도처에서 피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은 그냥 디카가 보급된 것이다.
 
모 대학교에서 행정직원 몇을 뽑는데 전례없이 경쟁률이 수백대 일로 치솟았다고 한다. 그 직전 인터넷에서 ‘세상에서 제일 편한 직업은?’ ‘하는 일 없이 방학은 알뜰히 찾아먹는 대학교 행정직원이다’는 정보(?)가 유포되었던 탓이다.
 
요즘은 ‘의치한돌풍’이라고 한다. 의사, 치과, 한의대에 수의학과가 가세하고 있다. 건국대 수의학과와 서울대 물리학과가 합격점수가 비슷해졌다고 한다. 덩달아서 학벌도 없어지고 있다. 학교 보다는 전공이 더 확실하다는 정보가 빠르게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강남의 대치동 엄마들만 모르는 특급정보다.
 
최근의 취업난은 정보의 과잉소통 때문에 생겨난 이직율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인터넷을 통해 직장잡기가 쉬워졌다. 구직정보가 만연해서 이중지원이 넘쳐난다. 취직을 해놓고도 금방 사표내고 나가버린다.
 
회사가 직원을 면접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직원이 회사를 면접한다고도 한다. (어제와 오늘 일간스포츠 만화 강주배화백의 용하다 용해를 참고)
 
90년대 쯤이다. 한양대 무기재료공학과가 유명했다. 전쟁무기를 만드는 학과로 잘못 알고 지원이 쇄도했던 것이다. 실은 인기없는 요업학과가 이름을 바꾼 터였다.
 
그때는 정말이지 정보가 소통되지 않았다. 틀린 정보가 고쳐지지 않아서 해마다 신입생들이 ‘어? 무기는 안만드는구나’ 하고 벙찌는 일이 계속되었다고 한다. 요즘은 찾아볼 수 없는 일이다.
 
옛날에는 대학교 3학년 쯤은 되어야 ‘전공에 문제가 있구나’ 하고 고민하곤 했는데 요즘은 고딩들도 다 알고 있을 정도로 정보의 회전이 빠르다.
 
원내정당화가 옳은가?
네티즌들이 당원가입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는 우리당의 원내정당화 방침과 배치된다. 원내정당이란 것이 무엇인가? 중앙당도 지구당도 없애고 당원의 권한은 최소화 하고 후보는 국민경선으로 뽑는 것이다. 그렇다면 네티즌이 우리당에 입당할 이유가 없다.  
 
그런데 달라지고 있다. 과거엔 미국식 원내정당화가 본받을만한 새로운 경향이었지만 지금은 다르다. 인터넷 때문이다. 지금은 오히려 기간당원을 늘리고 당원의 권한과 역할을 확대하는 것이 정당개혁일 수 있다.
 
어쩌면 우리당은 완전히 180도로 오판하고 있다.(물론 우리당 안에 다양한 견해가 있으므로 우리당의 오판이라고 말하기엔 적합하지 않을수도.)
 
문제는 돈이다. 지구당 조직을 두고 당원을 관리하면 돈이 든다. 부패의 온상이 된다. 청산되어야 할 구태정치다. 그러나 인터넷으로 당원을 관리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인터넷시대에는 오히려 지구당을 강화하고 기간당원을 양성하는 것이 정당개혁일 수 있다.  
 
앨빈 토플러는 틀렸다
앨빈 토플러는 표준화, 규격화를 통한 대량생산 대량소비시대가 끝나고 소량 다품종시대가 올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러나 틀렸다. 다시 대량생산시대가 오고 있다. 삼성의 시장제패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굴뚝없는 신굴뚝시대가 온다. 역사는 반복되지 않으면서도 또한 반복된다.
 
누가 알 것인가? 예상만 늘어놓으며 뒤에서 말로만 떠드는 자는 뒤처질 것이며 오직 시행착오를 겁내지 않고 현장에서 앞서가는 자가 승리할 것이다.
 
또 어떤 것이 있는가? 네티즌의 힘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번호판의 교체가 있다. 요즘 세대들은 이렇게 으샤으샤 하고 힘으로 밀어붙여서 성공해본 경험과 그 경험의 축적에 따른 코드를 공유하고 있다.  
 
우리때는 그렇지 않았다. ‘니들이 백날 데모해도 이 나라 조금도 안변한데이.’ 이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자랐다. 만연한 패배주의 속에서 자랐다. 그것이 40대의 보수화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 디알북의 성공사례가 있다. 왜 디알북인가? 시대의 트렌드를 함의하고 있다. 본받아야 할 새로운 성공사례이자 우리들만의 소통코드이다. 앞으로는 디알북을 이해하는 세대와 이해하지 못하는 세대로 완전히 갈라질 것이다.
 
조선의 상투 디알북이 자른다
300년 전에는.. “백성들이 떠든다구? 기다려봐. 최대 명문가인 합스부르크 왕가와 혼사만 잘 되면 다들 조용해질껴.”
 
100년 전에는.. “독립운동가들이 떠든다구? 기다려봐. 경부선 철도만 완공되면 다들 눈이 휘둥그래져서 침묵할껴.”
 
지금 조선일보 김대중 주필은.. “네티즌들이 떠든다구? 부시형님만 재선되면..” 이렇게 변하지 않는다. 외부세력을 끌어들여 어찌 해보려는 집단 말이다.
 
조중동은 발악하고 있지만 그들의 저항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저항과 같다. 상투를 자르느니 목을 자르겠다고 말했지만 결국은 모두가 목 대신으로 상투를 잘랐다. 무엇이 조중동의 상투를 자를 것인가? 디알북이 자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설의 어원 update 김동렬 2024-12-25 1724
1269 강준만의 잔소리 김동렬 2005-01-07 14784
1268 중도하면 반드시 망한다 image 김동렬 2005-01-05 14065
1267 유시민이 나서야 한다 김동렬 2005-01-05 14262
1266 이계진은 까불지 마라 김동렬 2005-01-04 14591
1265 이부영 천정배는 1회용 소모품이다 image 김동렬 2005-01-03 13786
1264 “인간쓰레기 박근혜” image 김동렬 2004-12-30 20953
1263 이해찬의 미소 image 김동렬 2004-12-28 14358
1262 위기의 우리당 image 김동렬 2004-12-27 14702
1261 보안법, 최후의 승부가 임박했다 image 김동렬 2004-12-23 14302
1260 "뭘하고 있어 싸움을 걸지 않고." image 김동렬 2004-12-22 14567
» 누가 조선일보의 상투를 자를 것인가? 김동렬 2004-12-21 13228
1258 중앙은 변할 것인가? 김동렬 2004-12-18 13271
1257 홍석현의 출세신공 김동렬 2004-12-17 15923
1256 강의석군의 서울대 법대 진학을 축하하며 김동렬 2004-12-16 15783
1255 박근혜간첩은 안녕하신가? 김동렬 2004-12-15 14554
1254 박근혜 깡패의 화끈한 신고식 김동렬 2004-12-14 13953
1253 나가 죽어라, 열우당. 스피릿 2004-12-13 15793
1252 짐승의 이름들 김동렬 2004-12-11 14485
1251 자이툰은 씁쓸하지 않다 김동렬 2004-12-09 14197
1250 대통령의 아르빌방문 김동렬 2004-12-08 16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