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에서 대족장을 의미하는
고추가의 가加가 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자로 가한, 칸이라는 말은 북방 유목민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쓰였다.
박혁거세 거서간은 거서 + 칸이다. 거서간은 고추가의 다른 표기로 봐야 한다.
신라 거서간居西干
백제 길사칸吉師
고구려 고추칸古雛加
한자표기가 다를 뿐 모두 같은 것을 지칭하고 있다.
즉 고구려 신라 백제 세 나라의 발음은 같거나 비슷했을 가능성이 높다.
징기스칸을 몽골어로는 칭기스항이라고 하는데
아랍어로는 진키즈 한, 페르시아어로는 창기즈 한,
중국어로는 청지쓰 한(성길사한)이라고 한다.
삼한의 한도 같은 맥락으로 봐야 한다.
한반도는 칸의 나라였다.
결론은 우리 민족은 농경민이 아니라 유목민의 문화로 출발했다는 거.
박혁거세의 박혁은 바야토르, 거세는 거서간.
즉 박혁거세는 바야토르 거서간으로 보는게 맞다.
바야토르는 흉노선우 묵특의 몽고식 발음이라고 한다.
상당히 높은 확률로 추정하고 있다.
혁거세라는 이름은 수백년 후
김씨 정권에서 시조의 성을 박씨로 결정하면서 헷갈린 것이다.
즉 박혁거세의 본명은 기록되지 않은 것이다.
김알지도 마찬가지인데 이름이 아니다.
김은 성이고 알은 김의 흉노식 발음이고 지는 존칭이다.
김알지를 현대식으로 발음하면 김씨다.
묵특, 바야토르, 박의 기원은
박트리아 지방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