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287 vote 0 2016.05.29 (19:15:25)

     

    완전성의 이해


    기본적으로 한국어가 되어야 한다. 문장이 호응이 안 되는 데도 의사소통이 되고 있다면 치명적이다. ‘몸에 좋다.’ <- 이런 소리 하는데 태연하게 그렇구나 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과는 대화할 수 없다. 그런건 말이 아니고 헛소리다. 헛소리로 의사소통하지 말자.


    헛소리로도 낮은 수준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그게 굳어져서 망하는 거다. 언어의 층위가 있다. ‘숨은 전제’가 방해하므로 사유가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지 못한다. 완전한 문장으로 말하고 생각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완전한 문장은 말하자면 ‘工’ 꼴이다.


    A의 변화가 B의 변화를 낳는다. A와 B 사이를 통일하는 C가 있으니 사건의 계를 이룬다. 언어가 이 구조라면 완전하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졌다. 까마귀는 A, 날자는 A의 변화, 배는 B, 떨어졌다는 B의 변화다. ‘까마귀 날자’와 ‘배 떨어졌다’는 통일하는 C는?


    이게 없으면 가짜다. 방정식과 비슷하다. X축과 Y축의 선이 길게 연장되었다. 두 선은 A와 B, 두 선의 연장은 A와 B의 변화다. 둘이 축으로 엮여 있다. 축이 주어이고 X가 목적어이면 Y가 동사다. 언어 안에 이 구조가 있어야 한다. 방정식도 되고 좌표도 된다.


    모든 공식이 그러하다. 좌표에서 X와 Y는 비례가 보통이지만 반비례도 있고 다양한 형태가 있다. 주어는 변하지 않지만 때로는 주어가 변한다. 계는 변하지 않으나 새로 생성된다. 계를 세팅한다. 배가 고프면 밥을 먹는다. 배가 고픈게 A라면 밥을 먹는 것은 B다.


    이 둘을 통일하는 C는 소화체계다. 그 소화체계라는 단어는 보통 없다. 필자가 방금 지어낸 말이다. ‘섭생’이든 ‘식이’든 ‘먹이활동’이든 적당한 개념을 찾아 본인이 명명해야 한다. 배가 고프다, 밥을 먹는다는 말은 일상적으로 쓰이지만 그 둘을 통일하는 말은 없다.


    깨달음이란 이렇듯 A와 B를 통일하는 C를 찾아내거나 명명하는 것이다. 보통은 그 C의 이름이 없으므로 우리는 그 C의 존재를 깨닫지 못한다. 그러므로 창의하지 못한다. 복제하지 못한다. 남자가 A고 여자가 B라면 결혼은 C다. C는 부부 거나 혹은 가정이다.


    그런데 부족민은 부부나 가정이라는 단어가 없다. 그런 개념이 없다. 국가라거나 문명이라거나 이런 단어는 부족민에게 없는 것이다. C를 나타내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오늘날 인간이 이 모양 이꼴이다. 더구나 인간의 언어가 이런 구조를 가진다는 사실을 모른다.


    필자는 개소리인지 아닌지 3초 안에 판단한다. 내용은 보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설명하려면 피곤하다. 언어의 구조만 보면 그 사람 말이 맞는지 틀렸는지 알 수 있다. 언어의 층위만 보고 판단한다. 주어를 건드리는지 목적어를 건드리는지만 본다. 주어는 절대주의다.


    합리주의, 진보주의는 주어를 건드리고 상대주의, 실용주의, 보수주의는 목적어를 건드린다. 다문화를 거론한다면 주어는 한국인, 목적어는 외국인이다. 외국인이 변해야 한다고 말하면 보수꼴통이다. 더 들어볼 필요가 없다. 3초 안에 ‘너 아웃. 꺼져.’ 이렇게 된다.


    구조의 갖춤이 아니면 일단 개소리다. 언어 안에 완전성이 있다. C는 보통 장場의 형태로 되어 있다. 기압이라든가 수압이라든가 자기장이라든가 분위기라든가 이런 거다. 남녀 사이에 중요한 것은 무드다. 무드는 바깥에 있다. A와 B를 통일하는 C는 바깥에 있다.


    과자의 맛을 결정하는 것은 과자를 입으로 깨물었을 때 과자가 부서지면서 내는 바스락거리는 소리다. 제과회사들이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이라고 한다. 데이트를 한다면 조명이나 향기가 중요하다. 조명이 너무 밝으면 화장이 떡져보이므로 여자가 짜증을 낸다.


    남자는 여자가 짜증난 원인이 여자 내부에 있다고 착각하므로 답을 찾지 못한다. 무드라는 단어가 없거나 혹은 있어도 뉘앙스가 전달되지 않으면 C를 표현할 수 없다. 조영남을 옹호하는 진중권의 견해를 3초 이상 읽을 이유가 없다. 내용을 볼 필요는 당연히 없다.


    그의 언어에 C가 있는지만 본다. 조영남이 목적어 A라면 송기창의 대작은 동사 B다. 둘을 통일하는 C는? 그것은 미술계 전체의 입장이다. C는 나무처럼 자란다. C와 C의 전개방향을 알아야 어른들의 대화에 낄 수 있다. 이발소 그림이 왜 문제인지 알게 된다.


    이발소그림은 적이다. 미술계의 적이다. 이발소 그림이 잘 팔리면 화가들은 굶어죽는다. 미국 소비자들이 이발소그림이나 사들이므로 미국 여대생은 추리링이나 입고 잔디밭을 뒹굴고 있는 거고 그만큼 미국 문화산업의 경쟁력은 떨어진다. 우리의 관심은 B에 있다.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만 보는 것이다. 그러나 진짜는 C다. 주체가 확장되었는지가 중요하다. 학생이 공부를 한다면 성적이 중요하다. 왜 공부를 하지? 이건 목적어의 변화다. 공부 대신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왜 학생이지? 이건 주어의 변화다. 숨은 전제를 캐야 한다.


    학생이 공부하는 것은 학생 신분에서 벗어나려는 거다. 그게 중요하다. 인류의 에너지난이 해결되면 학생이 공부를 안해도 된다. 취직걱정 안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송기창의 대작이나 조영남의 협잡보다 미술계의 변화, 대한민국의 변화, 인류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


    C를 몰라도 대화가 되는게 더 문제다. 닭고기 먹으면 피부가 닭살이 된다고 진지하게 믿는 사람이 있다. 유추해석이다. 코가 큰 남자는 고추도 크다고 믿거나 그런거 있다. 그냥 비슷한걸 가져다 붙인다. 무당이 인형에 바늘을 꽂아 저주를 부리는게 유추의 논리다.


    언어가 이 수준에서 놀게 된다. 틀린 언어로도 대화가 가능하나 그래서 망한다. 오목에 재미들리면 바둑을 못 배운다. 동사의 변화는 개도 알아챈다. 목적어의 변화는 사람이 알아챈다. 주어의 변화는 깨달은 사람이 안다. 조금 아는 정도로 곤란하고 잘 알아야 한다.       



aDSC01523.JPG


    이것만 백번 훈련하면 뭐가 될 것도 같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5.29 (19:46:49)

찰떡같이 알아먹는 센스!

[레벨:5]vandil

2016.05.30 (15:01:46)

문장에서는 목적어(A) 동사(B) 이를 통일하는(C)는 주어가 된다는 것.


즉, 이렇게 말이 안되게 얘기하는자는 수준이 낮은자, 수준을 올려서 위와 같이 얘기하는 연습이 필요한것이라는 말씀이군요.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5.30 (15:47:04)

C는 자신 or 사회 or 우주가 인정하는 가설 or 진리여야 하겠네요. 그래야 A, B...로 옳고 그름을 따지거나 의견을 일관성있게 펼쳐나갈 수 있겠군요. 각각의 A,B,C 는 구조론 속에서 완전성 있게... 그래서 헛소리가 되지 않는군요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5.30 (15:52:50)

speech의 관점에서 이해를 해보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5.30 (15:58:15)

계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사건은 반드시 그 범위가 있는데 c라는 것은 그 범위 안에서만 성립 합니다. 보편성이라는 말도 그 안에서만 가능한 거고요.
a,b를 논하려면 그 안에서 할 수 있는거죠.

이때 a, b의관점은 특수성, c의 관점은 보편성이라고 해도 대충은 맞습니다.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5.30 (16:02:25)

와 그렇네요!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5.30 (16:24:13)

계를 이해하고 설명해내는 것이 포인트네요.. 근데 참.. 어렵네요 ㅠ
[레벨:2]하룬강아지2

2016.05.30 (16:01:17)

기독교는 하나님을 대체할 수가 없으니 목적어만 대체하다가 보수주의가 된건가... 그러다 최근에는 하나님을 제외하고 이야기를 하는 기독교 진보주의가 그나마 대중에게 먹히는 거고..

프로필 이미지 [레벨:5]백공팔

2016.05.30 (17:04:48)

>> 과자의 맛을 결정하는 것은 과자를 입으로 깨물었을 때 과자가 부서지면서 내는 바스락거리는 소리다. 제과회사들이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이라고 한다.

 

한번 더 째려봅시다. 정말 소리였을까요?


TV에서 과자광고가 나오기 전, TV가 나오기 전에 옛 인류가 맛있다고 느꼈던 음식들이 그렇게 바스락거리던가요?

 

사실은 과자회사들이 [맛있다]라는 개념을 TV로는 전달할 수 없으니
광고에 집어넣은 유난히 크게 들리는 바스락거리는 소리와
과자 한입 씹으면서 마치 오르가즘이라도 느끼듯 행복에 겨워 어쩔줄 모르는 광고모델의 얼굴

그 공감각적 이미지가 우리 뇌 속에 주입되었던 건 아닌가요?
이제 우리는 그 바스락거리는 소리만 들어도 [학습된 행복감]을 느끼도록 훈련되었던 것은 아닌가요?

 

이 공감각이 발생했던 원리도 모두 A와 B를 이어왔던 C였던 것입니다.
두뇌는 계속 A와 B를 미세조정해 가면서 C의 입체감을 완성해 왔던 것입니다.

 

두뇌가 행하는 연역도, 귀납도 결국 A와 B 사이에서 C를 찾는 과정에 불과한 것이었습니다.

두뇌 피질의 계층구조는 A-B 사이에서 발견된 C의 연결관계를 뉴런과 뉴런 사이의 시냅스로 표시해둔 것일 뿐입니다.

주어를 흔들었을 때 비로소 발견되는 상부구조에서 연역된 C가 바른 C일 뿐입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백공팔

2016.05.30 (17:54:20)

연역이 A와 B 사이에서 C를 찾는 것이라는 위의 제 생각은 잘못된 생각인 것 같습니다.

상부구조의 C에다가 다른 A를 대입해서 다른 B를 찾아내는 것이 연역인 듯 합니다.

 

A와 B를 놓고, C가 뭔지 알수가 없어서

아무거나 일단 C 자리에 놓고

다른 추상모델과 패턴매칭을 해서 C를 맞게 놓은 것인지 검증하는 것이 귀납인 듯 합니다.

 

눈이보이지 않는 헬렌켈러가 어떻게 색깔이나 소리를 이해했는지 궁금했었습니다.

그녀는 촉감과 온도감각으로부터 어떤 추상성을 귀납적으로 발견해 내고,

[빨간색]이라는 단어가 이 귀납적으로 발견해 낸 추상성에 잘 들어맞는다는 것을

다른 사건(문장)을 통해 연역적으로 유추하여 알아내었던 모양입니다.

 

이 모두가 A-B-C의 관계였을 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백공팔

2016.05.30 (17:32:42)

>> 완전한 문장은 工꼴을 하고 있다.

 

工을 종이(평면)위에 그려놓고는 절대 이해 못할 말씀이겠지요?

 

工의 위쪽 가로선과 아래쪽 가로선이 수직방향으로 그려진
사실은 입체라는 걸 알아야 ,
그리고 둘을 잇는 세로선이 있어야 이 세 선이 하나의 사건을 기술하는 뼈대가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겠지요?

 

이 세로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1개의 사건으로서의 완전성은 붕괴되고,
수직방향으로 달리는 아래/위 두 선은 서로 무관한 두개의 사건의 부분에 불과할 뿐이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6.05.31 (01:06:01)

인간은 추상화라는 것을 통해 만물의 법칙을 발견합니다.

근데 대부분 인간은 그 추상화를 할만큼 충분한 사고를 하지 않습니다.

하부구조에서 상부구조로 시선을 돌리고 자주 반복되는 사건의 패턴을 발견하여

이에 상부구조를 발견해야 하는데,

잘못된 모델을 사용하는게 아니라, 해당 스케일의 모델 자체가 없습니다.

그리고 세상이 하나의 법칙으로 작동한다는 것도 모르죠. 

잘못된 인과관계라는 것도 사실은 그냥 주위에서 주어들은 겁니다.


어린아이가 이미 완전성의 모델을 알고 있다는 것은,

세상의 모든 현상이 이미 그 모델로 구현된다는 것을 안다는 것인데,

이때 어린이가 아는 것은 이 세상에 추상화의 모듈이 100만가지가 있다면 

그 중에 기초적인 작은 단위의 완전성을 몇가지만 아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의가 있는 것은 그 기초적인 몇 가지조차도 반드시 구조적이기 때문에

인간은 새로운 구조론의 모델을 인지하더라도 그게 구조적이라는 것을 감으로 아는 거죠.


두뇌 안에서의 이른바 "감"이라는 것은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어떤 완전한 모델에 빗대어보고 이와 유사한 패턴이라면

그에 반응하여 결과값을 산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감을 느끼려면 그만큼 데이터 수집이 충분히 이루어진 상황에서만 가능합니다. 데이터 없으면 감도 없습니다. 그냥 어리둥절만 있습니다.


패턴 인식이라는 것은 사건이 비례식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비례식이 성립함을 인지하려면 어떤 한가지를 발견하고 

그에 반대되는 것을 또 발견했을 때 이를 통일하는 새로운 사건을 발견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인간이 반대되는 것을 발견할만큼 충분한 경험을 하지 않으며,


그 이전에 사건에는 단위라는게 있다는 것을 모릅니다. 

구조론에서 자주 쓰이는 계라는 개념도 사실은 사건의 단위를 말합니다.


모든 사건의 패턴은 사건이 아닌 것을 빼고 뼈만 추려보면 패턴이 동일합니다. 다만

비례가 다를 뿐이죠.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지 원리는 같다는 말입니다.


이렇게 인간은 작은 사건에서는 자신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지만 

더 쉬운 방법인 집단호출이라는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남이 말해주는 잘못된 인과관계를 그냥 믿어버리는 거죠.

그게 개인의 입장에선 오류지만 

집단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사례가 되어 

집단이 정답으로 향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두뇌에도 집단과 같은 메커니즘이 있고 작동하지만, 

그건 자신이 완전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작은 분야에서 성립할 뿐이고,

새로운 사건 즉 자신이 추상화하지 못하는 건 집단사고를 통해 해결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깨달은 사람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하부구조인 데이터로 기능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인

방랑을 해본 겁니다. 집단을 벗어나면 인간의 두뇌는 환경을 인식하고 거기에 맞는 사고를 하도록

세팅돼있기 때문입니다.


또 그래서 역사적으로 인간이 종교를 만들고 인류의 지능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과정에도

인류의 방황이 필연적으로 끼어있습니다. 

돌아다닐 때 인간은 새로운 정보를 통해 차이를 발견하고 이를 통합할 수 있는

더 높은 모듈의 상부구조를 발견하게 되는 겁니다.


그러므로 안철수가 자신이 전공인 분야에서는 꽤 합리적으로 사고를 하나,

정치권으로 오자 추상화가 안되어 츤데레에 대칭행동을 하는 것은 

그가 집단에 기대는 사고를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37 공자의 최종결론 image 1 김동렬 2016-06-08 6409
3536 한국인에게만 있는 것 image 김동렬 2016-06-08 6493
3535 한국이 강한 이유 image 김동렬 2016-06-07 6697
3534 사랑 115, 나를 키우는 것이 정답이다 2 김동렬 2016-06-07 6390
3533 율곡의 천도책 image 3 김동렬 2016-06-06 6529
3532 진중권의 수구꼴통 논리 image 3 김동렬 2016-06-05 6688
3531 브라질 땅콩 법칙 image 김동렬 2016-06-03 6472
3530 정유재란의 주범 노자 image 3 김동렬 2016-06-03 6250
3529 공자 율곡 퇴계 노자 image 1 김동렬 2016-06-02 6173
3528 사랑 114, 두려움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6-02 5835
3527 노자가 중국을 죽였다 image 김동렬 2016-06-01 6185
3526 식민사관은 인종주의다 image 3 김동렬 2016-05-31 6343
3525 깨달음은 언어다 image 1 김동렬 2016-05-31 6311
3524 중국을 망친 노자 image 김동렬 2016-05-30 6025
3523 사랑 113, 노자는 공자의 실무자다. image 2 김동렬 2016-05-30 5804
» 완전성의 이해(추가) image 12 김동렬 2016-05-29 6287
3521 사랑 112, 종교의 출현 image 2 김동렬 2016-05-26 6055
3520 사랑 111, 밀당의 기술 image 1 김동렬 2016-05-25 6475
3519 사랑 110, 예수의 부름 image 1 김동렬 2016-05-23 6135
3518 사랑 109, 중심은 어디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5-19 6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