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러스 관점과 마이너스 관점이 있다. 플러스 관점은 탑을 쌓는 것이다. 작은 원자가 모여 큰 세상이 이루어졌다. 마이너스 관점은 소를 해체하는 것이다. 큰 원본이 잘게 쪼개져서 널리 이루어졌다. 탑을 쌓기는 어렵고 소를 해체하기는 쉽다. 구조론은 소를 해체하는 것이다. 구조론은 쉽다. 플러스 관점 - 작은 원자가 모여 큰 세상이 이루어졌다. 마이너스 관점 - 큰 원본이 잘게 쪼개져서 세상이 널리 이루어졌다. 원자론의 플러스 우주 - 점, 선, 면, 입체로 커진다. 구조론의 마이너스 우주 - 계, 체, 각, 선, 점으로 작아진다.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원자는 점이고 점은 크기가 없다. 크기가 없는 것이 모여도 커질 수 없다. 0+0은 0이기 때문이다. 원자론은 틀렸다. 처음부터 큰게 있었다. 그게 쪼개져서 작아진 것이다. 큰 것은 완전성이다. 처음에 완전한 복제의 원본이 있었다. 그것은 방향전환이다. 세상은 변한다. 우리가 보는 것은 모두 변화다. 변화가 없다면 볼 수도 없다. 변화는 궁극적으로 방향전환이다. 그러므로 우주는 원자의 집합이 아니라 방향전환의 복제다. 태초에 완전성이 있었고 그것은 방향전환이 가능한 구조다. 원자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므로 가짜다. 태초에 무엇이 있었던가? 방향전환이 있었다. 방향전환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이 구조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형태로 방향전환이 일어난다. 질이 깨져서 입자로, 입자가 깨져서 힘으로, 힘이 깨져서 운동으로, 운동이 깨져서 양으로 바뀌는 것이 방향전환이다. 우주의 근본은 점이 아니라 선이다. 양자는 선이다. 양자는 링처럼 머리와 꼬리가 붙어 있는 폐곡선이다. 구조론으로 보면 그것은 각이다. 반지와 같다. 반지를 세워서 회전시키면 입체다. 회전하는 링은 입체다. 회전하는 링이 두 개가 붙어 8자 모양을 이루면? 소립자가 된다. 양자는 내부에 파동을 가진 8자 모양이다. 진동하는 8이 깨지면 진동하는 0이 된다. 0이 진동을 잃으면 그냥 고리 0이 된다. 0이 깨지면 선이 되고 선이 깨지면 그 접점이 점이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은 진동하는 8, 진동하는 0, 그냥 0, 선, 점이다. 이것이 가장 단순한 존재다. 세상이 단순한 것의 집합이라는 원자론의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데 원자 개념에는 변화 개념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원자를 변화시키려면 에너지, 공간, 시간, 정보가 필요하다. 즉 변화는 에너지> 원자> 공간> 시간> 정보 순으로 일어나며 원자는 그 일부인 것이다. 세상은 단순한 것의 집합이지만 그 단순함은 완전성을 반영해야 한다. 완전한 세포가 모여 생명을 이루고 완전한 벽돌이 모여 건물을 이룬다. 죽은 세포는 모여도 생명이 될 수 없고 부스러기 먼지는 모여도 집이 될 수 없다. 원자 개념에 완전성을 반영하면 그것이 구조다. 왜 원자론이 틀리고 양자역학인가? 원자가 점이면 양자는 선이다. 점은 모여도 선이 되지 않지만 선을 자르면 점이 생긴다. 선 이전에 면이 있고, 면 이전에 입체가 있고, 입체 이전에 4차원이 있다. 존재의 기본단위는 4차원이어야 한다. 왜? 그래야만 복제가 되기 때문이다. 회전하는 8, 혹은 진동하는 8, 내부에 파동을 숨긴 8, 두 개의 파동이 연결된 8은 축과 대칭의 구조를 가진다. 내부에 파동을 가지고 진동하는 두 0이 붙어서 대칭과 축을 이루면 비로소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레고블럭도 돌기가 있어야 붙는다. 요철이 있어야 분해조립된다. 원자는 붙지도 않고 떨어지지도 않으므로 우주를 건축할 수 없다. 파동을 가진 8은 축과 대칭을 갖추어 요철이 있으므로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다. 파동 둘이 극이 되어 자기장과 같다. 극이 있으면 극을 바꿀 수 있다. 파동의 결이 어긋날 때 방향전환으로 결맞음을 이룬다. 우리는 그것을 힘이라고 부른다. 우주의 근원은 힘이며 그것은 파동을 가진 두 0이 결맞음에 의해 8로 바뀌는 것이다. 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은 모두 결맞음에 의해 공간을 축소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형태로 변하며 그 효율이 비효율을 이겨서 우주는 널리 이루어진다. 우주는 다섯 차원이다. 0, 1, 2, 3, 4차원이 완전성을 이룬다. 4차원이 완전하고 나머지는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이다. 개체가 변화의 단위가 되면 입자다. 입자는 변화의 에너지를 외부에 의존한다. 집단이 에너지를 자체 조달하여 방향전환에 성공하면 4차원이다. 앞으로 가던 사람이 뒤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내부에 축과 대칭의 구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지구의 도움을 받는다. 축은 2차원, 대칭은 1차원. 대칭된 각각은 0차원이다. 앞으로 가던 무리가 뒤로 방향전환 하면 4차원이다. 움직이는 무리는 스스로 방향을 바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