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360 vote 0 2009.02.12 (16:40:39)

4DD2.jpg

이 사진은 생동감이 있다.
좌우의 대칭성에 의해 둘은 하나가 된다.

그 이전에 갈색계통의 깔아주는 배경효과에 의해 통일성을 얻는다.
모든 둘로 분리되는 것은 그 이전에 둘을 통일시킬 수단의 확보를 전제로 해야 한다.

podborka_206_116.jpg

이 사진은 그윽한 깊이감이 있다.
조명의 대비가 너무 심하면 깊이감을 잃어 평면적인 느낌이 난다.

많은 사진가들은 새벽이나 아침의 광선을 좋아하지만
지나친 밝음과 어둠의 대비는 사진을 평면적으로 보이게 한다.

e3fa3d192b39.jpg

이 사진은 그윽한 깊이감이 있다.
원본 사진을 약간 밝게 처리한 것이다.

c4d17a331c66.jpg

이 사진은 미묘함이 있다.
분리된 둘이 돌벽의 깔아주는 효과에 의해 통일되고 있다.

863a95c7a32a.jpg

흔하지만 느낌이 좋다.
안개와 낙엽과 단풍의 깔아주는 효과가 있다.

관객의 마음을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
절제된 느낌도 좋다.

f902b1558742.jpg


이 사진에는 과학이 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 중에서 입자개념은

하나가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 사진에서 경찰 한 명을 집으로 돌려보낸다 해도 달라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모두의 시선을 받고 있는 여인을 돌려보낸다면?
그에 연동되어서 경찰들의 시선이 전부 바뀐다.

하나가 바뀌면 모두가 바뀐다.
그 과학의 원리가 반영되어 데서 긴장감이 있다.

심과 날, 주와 종의 상하관계가 숨어 있는 것이다.
이 원리에 의해 사진은 통일성을 가진다.


0a48513d2922.jpg

좋은 사진이지만 너무 사진같아서 안쳐준다.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돌벽의 원근감은 사진에서만 볼 수 있는 급박한 기울기다.
 
사진의 특징이 드러나면 좋지 않은 것이다.
사진은 사진을 극복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Title Name Date Read
  • 57

    김동렬
    2009-02-17         Read 4802


  • 56

    김동렬
    2009-02-16         Read 5319


  • 55

    김동렬
    2009-02-15         Read 4612


  • 54

    초록 image 2
    김동렬
    2009-02-13         Read 3752


  • »

    김동렬
    2009-02-12         Read 5360


  • 52

    정신 image 1
    김동렬
    2009-02-11         Read 3875


  • 51

    김동렬
    2009-02-10         Read 3743


  • 50

    김동렬
    2009-02-09         Read 5570


  • 49

    김동렬
    2009-02-06         Read 4070


  • 48

    김동렬
    2009-02-05         Read 3915


  • 47

    밀도 image 6
    김동렬
    2009-02-04         Read 4783


  • 46

    김동렬
    2009-02-03         Read 8882


  • 45

    김동렬
    2009-02-02         Read 3902


  • 44

    사진 image 2
    김동렬
    2009-02-02         Read 4218


  • 43

    김동렬
    2009-01-30         Read 3811


  • 42

    김동렬
    2009-01-30         Read 7931


  • 41

    김동렬
    2009-01-29         Read 3672


  • 40

    김동렬
    2009-01-29         Read 6110


  • 39

    김동렬
    2009-01-28         Read 5179


  • 38

    김동렬
    2009-01-27         Read 6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