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다상담 네 번째 꼭지는 강의편 끝나고 상담편인데, 첫번째 질문은 내용이 찌질하기 짝이 없고 답변도 시시하기 짝이 없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의 표지처럼 통속하거늘.’ 이런 시구가 떠오른다. 이런 시시한 연애상담이 계속된다면 필자의 연재도 여기서 그만 때려치워야 하나? 하여간 가보자. 또 어떤 객쩍은 소리를 씨부려 놨을꼬? 어이쿠!


    연애를 한 번도 못해본 여자인가 본데, 상처받을까 두려워 지레 겁을 먹고 상대가 다가오기도 전에 마음을 정리해 버린다고. 이에 대한 강신주의 답변은 사랑의 고통을 감내하라는 거다. 흔한 이야기다. 결혼해도 후회하고 안해도 후회할 양이면 해보고 후회하는게 낫다는 식의 시시한 이야기. 사랑은 뜨거운 군고구마 먹기와 같다고. 비유도 유치하다.


    인생의 주인공이 되고 싶으면 군고구마가 뜨거워도 손을 호호 불어가며 껍질을 벗겨야 먹을 수 있다는 거다. 넘어지고 자빠지며 자전거를 배우듯이 과감하게 사랑해보라는 권유다. 참 이걸 상담이라고 하고 나자빠졌나? 환자가 의사에게 ‘배가 아파요.’ 하니까 의사가 ‘그게 인생이랍니다. 견뎌보세요.’ 이런 돌팔이 수작이 아닌가? 이래서야 의사 맞나?


    철학은 의사결정의 과학이다. 의사결정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연애할 에너지가 없는 이유는 환경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립을 타개해야 한다. 상담을 의뢰한 내담자는 인격적으로 미성숙하다. 인격이 성숙하려면 공부를 더 해야 한다. 혹은 집단 속으로 쳐들어가야 한다. 배가 고파야 밥을 먹듯이 사랑이 고파야 사랑을 받아들인다.


    과거라면 부모의 핍박 때문에 견딜수 없어서 시집으로 도망치는 것이다. 환경이 인간을 괴롭히므로 사랑이라는 탈출구로 내몰리게 된다. 현대사회라면 학교로 내몰리고 또 직장으로 내몰린다. 그 와중에 붕 떠버리는 사람도 있다. 나이가 들었는데도 계속 엄마곁에 붙어 있는 사람 말이다. 딸을 계속 붙잡아놓는 엄마도 있다. 자식을 마마보이로 만든다.


    그 경우는 환경과의 관계설정에 실패한 것이다. 반대로 사랑으로 내몰리기도 한다. 공부를 안했다면 부모의 핍박을 피해서 남자라도 사귀어야 한다. 명문대에 입학하면 엄마가 품에 끼고 딸을 놓아주려 하지 않겠지만 워낙 부모 속을 썩여대니, 에구 이 웬수야 얼른 시집이나 가버렷. 이렇게 되는 거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철학의 답은 하나이다.


    그것은 세상의 중심으로 쳐들어가라는 것이다. 남자를 사랑할 이유는 없다. 세상을 사랑하고, 천하를 받아들이고, 그 중심에 서면 자신이 갑이 되고, 자신이 리더가 되고, 자신이 의사결정권자가 된다. 그럴 때 전략과 전술이 나와주는 것이며 남자를 지배하려는 야심을 가지게 된다. 내담자는 일단 자신이 없다. 전략전술이 없다. 세상을 지배할 힘이 없다.


    여전히 세상을 모르고, 여전히 세상이 무섭고, 여전히 천하를 받아들이지 못했다면 공부를 안했다는 반증인데 그런 사람은 상담을 구할 자격도 없다. 쫓아버려야 한다. 철학을 물으려면 철학을 받아들일 마음이 있어야 한다. 공자의 제자에 들어야 한다. 스승의 가르침을 받아들여야 한다. 스승 말을 듣지 않으면서 남의 스승 될 수 없다. 철학할 자격 없다.


    상처받을까 두렵다는건 거짓말이다. 기본적으로 공자의 제자가 아닌 것이다. 철학에 관심없다. 그런 사람은 아무리 좋은 말 해줘봤자 절대 받아들이지 않는다. 껍질은 스스로 깨고 나와야 한다. 공자의 제자가 된 사람, 그러므로 철학을 받아들인 사람만 철학을 물을 자격이 있다. 남의 스승노릇을 할 생각이 있는 사람만 진지한 질문을 던질 자격이 있다.



20170108_234810.jpg


    사랑이 고프지 않은 사람에게 사랑을 가르쳐줄 이유는 없습니다. 사랑이 매우 고파야 합니다. 그러려면 자신이 권력자여야 합니다. 지식권력을 가진 사람만이 야심을 가지고 정부를 타도하고 혁명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권력자가 아니면 사랑하지 않습니다. 정치권력까지 가지 않아도 됩니다. 주변환경 모든 것에 대한 지배권 말입니다. 화단을 예쁘게 가꾸거나 인테리어를 해보려는 것도 권력의지입니다. 권력의지가 있는 사람이 철학을 배우는 것입니다. 험한 곳에 던져 두면 권력의지가 생깁니다. 옛날에는 환경이 험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랑을 구했습니다. 지금은 무언가 지배하려는 욕망이 있는 사람이 사랑을 구합니다. 총이 없으면 싸우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먼저 총을 가져야 합니다. 먼저 세상에 대한 권력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철학입니다. 인지의신예라는 권력을 가져야 합니다.


[레벨:12]지아

2017.04.24 (23:11:07)

어쩌다가 인간과 상종하는 사이가 되었소?
[레벨:1]호롱

2017.04.24 (23:14:17)

권력의지가 없는 자는 발언할 자격이 없는 거군요.

요즘 상담에서 다루는 주제인데 매우 인상 깊게 들었습니다.

[레벨:1]호롱

2017.04.25 (00:29:53)

천방지축인 저 같은 사람은 말을 들어야 하는 거군요.

남의 스승은 할 생각이 없었지만 이젠 길이 그곳 뿐이니까요.


하여간 스스로 포지션을 그렇게 놓는 것도 문제이고,

나머지는 댓글이 아니라 직접 고민해서 글로 풀어내야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7.04.25 (01:42:35)

미쳤습니까? 남의 말을 듣게.

말 들으라고 한다고, 말 들으면 안되죠.


남의 말을 듣는게 아니라, 그 말 뒤에 숨겨진 이치를 듣는 겁니다.

그리고 그 이치는 진리와 부합하니깐 그것도 듣는 겁니다. 


내가 못 보던걸 알려주니깐,

한단계 높은 관점에서 봐주니깐, 맞는 말이니깐 듣는 겁니다. 


철수는 아마 집에 가면 처한테 눈 흘길 겁니다. 

철수 : "니 말대로 했다가 망했자나", 미경 : "그러게 왜 말을 곧이 곧대로 듣는거야?"


공자의 제자가 되라고 하니깐, 어느 도장 들어가서 검은띠 매고 수제자라도 되라는거 같습니까?

글쓴이는 자신의 제자가 되라는게 아니라, 공자의 제자가 되라는 거에요. 


굳이 공자의 이름을 사용하는 건, 그가 진리를 추구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누구의 제자가 되려하면, 절대로 그를 배신합니다. 


애당초 잿밥에 관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누구의 제자가 아니라, 진리의 제자가 되어야 합니다. 


말한다고 곧이 곧대로 들으면 초딩인거죠. 

상처받는다는 것은 흔들린다는 겁니다. 


초딩이 욕한다고 상처받는 어른은 없습니다. 

그 말에 상처받으면 자신이 초딩인거죠. 


배신할까봐 두려운 사람은, 상대를 함부로 자기편으로 두기 때문입니다. 

같은 편인줄 알았는데 튀니깐 짜증나는 겁니다.

인간에게 상처받지 않으려면? 혹은 그 세상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각주구검 하는게 인간입니다. 움직이는 배 위에 표시를 해두면 그게 가만히 있을리가 없잖아요.

시민세력에 몸담다가 새누리에 들어간 사람 중에 개독이 많은 이유는 

새누리를 숭상해서 거길 들어간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인간들 믿는 구석이 있는 거에요. 다른 맘,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으니깐 

손학규가 박쥐짓을 하는 겁니다. 다 배신해도 신이 챙겨준다고, 다른 주머니를 챙겼던 겁니다.

인간은 저마다의 나침반을 축으로 흔들리는게 정상인 겁니다. 왜 함부로 그가 나와 같은 방향에 있다고 여깁니까?


기준이 정해지면 그 하위 범주에서는 흔들려도 상관없습니다. 

변수는 베이시스 안에서 변하라고 변수인 겁니다.


영점은 세발 쏴야 잡히는 겁니다. 

각 발은 상대적이지만, 세발은 절대적입니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합니다. 변하는 세상에서 유일한 것은 진리뿐입니다. 

상처받을까봐 숨어서 하는, 어설픈 자기 위안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상처받는 이유는 기준을 잘못 정했기 때문입니다. 

상대의 시선 즉, 집단을 기준으로 정하니깐 남의 눈치 보는 겁니다.

그 시선에 내가 흔들리니깐 짜증나는 겁니다.


이것은 어느 바닥에서 노느냐의 문제입니다. 할 수 없이 어느 바닥이건 골라야 하는게 인간입니다. 

이왕 고르려면 덜 흔들리는 걸 찾아야, 잘 고르는 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08 양반, 상놈의 몸이 따로 있다고? image 1 김동렬 2017-05-09 13734
3807 내 몸에 딱 맞는 정신을 남기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7-05-08 14425
3806 주어진 몸을 긍정하는 법 image 김동렬 2017-05-05 14091
3805 말하기의 방법 image 1 김동렬 2017-05-05 13995
3804 성기에만 집중하는 건 비극과 다름 없다. image 3 김동렬 2017-05-04 14778
3803 소승적 명상은 효과없다. image 김동렬 2017-05-04 14088
3802 양자역학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7-05-03 14208
3801 사랑이 우리를 구원하리라. image 김동렬 2017-05-03 13773
3800 외모 콤플렉스 1 김동렬 2017-05-02 15653
3799 섹스 후에 남는 것들 14 김동렬 2017-05-01 19858
3798 산은 가볍다. image 2 김동렬 2017-04-30 13341
3797 15년 연애 후에 찾아온 것들과 조우하는 법 김동렬 2017-04-30 13605
3796 결혼을 위해 필요한 것들? image 1 김동렬 2017-04-29 14137
3795 이별한 연인의 연락을 거절하지 못한다면 image 김동렬 2017-04-28 14509
3794 당신의 과거를 참을 수 없는 애인 image 4 김동렬 2017-04-27 15038
3793 괜찮은 사람은 다 애인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7-04-26 14135
3792 사랑의 징조 image 김동렬 2017-04-25 14294
3791 그 사람 앞에 서면 작아지고 마는 당신 image 김동렬 2017-04-25 14230
» 상처받을까 두려워 시작하지 못하는 당신 image 4 김동렬 2017-04-24 14583
3789 이타심은 이기심이다. image 1 김동렬 2017-04-23 15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