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274 vote 0 2011.10.03 (23:33:51)

 

 

 


구조론은 하나 안에 둘 넣기다.

 

 

 65.JPG

 

두 당구공이 맞닿아 있을 때, 두 당구공이 맞물리는 부분은 하나의 점이지만 두 당구공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진다. 하나 안에 둘이 들어간 셈이다. 이렇듯 하나의 포지션에 최대 다섯개의 정보를 집어넣을 수 있다. 하나의 포지션에 동시에 다섯 개의 에너지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66.jpg

 

구조는 에너지가 가는 길이다. 에너지는 일(work)을 한다. 일은 처음 다섯 개의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에서 하나씩 포지션을 버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음 힘을 모으는 데는 다섯 포지션이 필요하며, 그 힘을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데는 네 포지션이 필요하고, 그 힘의 공간적 방향을 정하는데는 세 포지션, 시간적 전달에는 두 포지션, 표적을 맞히는 데는 하나의 포지션이 필요하다.

 

◎ 5 포지션은 계에 힘을 모을 수 있다.
◎ 4 포지션은 센터에서 힘을 보낼 수 있다.
◎ 3 포지션은 공간에서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 2 포지션은 시간에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 1 포지션은 표적을 맞힐 수 있다.

  

세상은 대칭구조의 집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는 대칭원리를 사용하여 일을 한다. 하나의 대칭구조를 세팅하려면 다섯 개의 포지션 지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실은 수학계의 난제 중의 하나인 사색문제의 증명원리로 해명된다.

 

 

 67.JPG

 

다섯 포지션이 모여 대칭을 이룸으로써 세상을 조직하는 하나의 기본 모듈이 된다. 모듈은 작동은 다섯 포지션에서 네 포지션, 세 포지션, 두 포지션, 한 포지션으로 포지션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세상은 마이너스다.

 

세상이 어렵다지만 몰라서 어려울 뿐 알고 보면 쉽다. 어린이가 한글을 익혀야 책을 읽을 수 있고, 구구셈을 외어야 셈을 할 수 있듯이 반드시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다. 그 관문을 넘으면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린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하나의 모듈을 공유하고 있다. 이 하나의 모형을 정복함므로서 모든 문제를 근원에서부터 해소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머리 속에 담아두고 개별적인 사실에 적용하여 응용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68.jpg

69.jpg

 

 7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일의 원리 image 김동렬 2011-10-03 21274
2316 예술 완전성 데미지 김동렬 2011-10-02 16426
2315 차원의 정의 image 김동렬 2011-09-28 21142
2314 빛보다 빠른 것이 있다? 5 김동렬 2011-09-27 13792
2313 위상의 균일 image 5 김동렬 2011-09-25 11806
2312 바닥의 메커니즘 image 1 김동렬 2011-09-22 15014
2311 세상의 근본은 대칭이다. image 김동렬 2011-09-21 18853
2310 사색문제 image 김동렬 2011-09-12 20006
2309 5분만에 끝내는 철학강의 image 2 김동렬 2011-09-11 16181
2308 지식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1-09-05 28219
2307 집합론과 구조론 김동렬 2011-09-05 18036
2306 태극과 물레방아 image 1 김동렬 2011-09-01 25743
2305 인생의 성공 11 김동렬 2011-08-30 21444
2304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19808
2303 마이너스의 세계 image 7 김동렬 2011-08-24 13575
2302 공간은 플러스 시간은 마이너스다. image 1 김동렬 2011-08-23 14984
2301 세상은 상호작용이다 1 김동렬 2011-08-19 16804
2300 김성근과 김응룡 2 김동렬 2011-08-18 16932
2299 사건은 동적공간에서 일어난다. image 김동렬 2011-08-16 17719
2298 주사위 모형 image 1 김동렬 2011-08-15 17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