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77 vote 0 2019.05.09 (16:38:45)

             

   있음과 없음


    구조는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어떤 것의 존재보다 부재에 더 많은 정보를 실을 수 있다.
    이것이 구조론의 요지다.
    승객들은 만원버스보다 빈 버스가 도착하기 바란다.
    밭의 이랑보다 고랑을 더 많이 이용한다.
    산길을 가더라도 뾰족한 마루보다 오목한 골로 이동한다.
    존재는 독점되지만 부재는 공유된다는 점이 각별하다.
    실체보다 관계가 낫다.
    실체는 독점되고 관계는 공유된다.
    보석이나 현물은 실체다.
    신용이나 인맥은 관계다.
    보석은 내게 있으면 네게 없다.
    신용은 내게 있으면 네게도 있다.
    돈은 관계를 실체화한 것이다.
    아버지에게 돈이 있으면 자식에게도 돈이 있다.
    현물은 시간이 갈수록 감가상각되지만 관계는 더 발달된다.
    머릿속에 지식을 넣고 다니기보다 필요할 때 지식과 연결하는 기반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
    관악기의 관은 비워져 있다.
    소리를 토해내는 것은 울림통의 비어있음이다.
    마루에서 골로 바뀔 때 각운동량은 가속된다.
    그 가속되는 과정에서 힘의 방향과 운동의 속도가 조절된다.
    그 조절을 통해 만유는 자연스러움과 떳떳함을 얻는다.
    레코드판이라도 마루가 아닌 골에 정보가 기록된다.
    버스 정거장처럼 비워져 있으면서 공유되는 것에 가치가 있다.
    막연히 비움을 주장하면 곤란하다.
    골은 그냥 있는 게 아니라 두 마루의 만남에 있다.
    만날 때 배를 채우고 가면 실수한다.
    트림하는 수가 있다.
    비우고 가야 한다.
    만남의 현장에서 쓸데없이 허세부리지 말라는 말이다.
    만남은 균일해야 한다.
    결맞음이다.
    서로 채워서 결을 맞추기는 어렵지만 비워서 맞추기는 쉽다.
    1억원 가진 사람이 너도 채워서 1억을 맞추면 되잖아.
    안 된다.
    너도 비워서 0원으로 만들면 균일해진다.
    비로소 만날 수 있다.
    우리는 비워서 출발선에서 만날 수 있다.
    채워서 결승선에서 만나기 어렵다.
    지구를 움직이려면 지구 하나가 필요하다.
    균일한 만남을 통해 우리는 비울 수 있다.
    우리는 채움을 원한다.
    사랑을 채우고, 행복을 채우고, 성공을 채우고, 평화를 채우고, 정의를 채우고, 도덕을 채우려 한다.
    평화를 채우려 하므로 도리어 트러블이 일어난다.
    정의를 채우려 하므로 도리어 엄격해진다.
    도덕을 채우려 하므로 도리어 권위주의가 된다.
    서로 간격을 두어야 한다.
    매너로 침범을 막고, 에티켓으로 간격을 띄우고, 교양으로 서로 간에 긴장을 유지해야 한다.
    사랑이나 행복이나 평화나 도덕이 침범의 구실이 된다면 배반이다.
    이익의 이利는 뾰족한 이다.
    뾰족한 것은 모다.
    모는 쓸모가 있다고 말한다.
    칼날처럼 날카로운 것을 이롭게 여긴다.
    그러다가 다친다.
    진정한 이로움은 만남이다.
    만남은 뾰족하지 않다.
    칼은 칼집을 만나야 이롭다.
    쏠로는 파트너를 만나야 이롭다.
    젓가락은 두 짝이 만나야 이롭다.
    북은 북채를 만나야 이롭고, 악기는 연주자를 만나야 이롭고, 무대는 배우를 만나야 이롭고, 상품은 소비자를 만나야 이롭다.
    진정한 것은 부름과 응답으로 만나는 것이다.
    서로를 불러내는 것이다.
    불러서 마루에 세운다.
    그리고 대칭을 이룬다.
    그럴 때 호응해야 한다.
    응답해야 한다.
    완전성이 거기에 있다.
    마루에서 만나 골을 이룬다.
    마루는 독점하고 골은 공유한다.
    에너지는 만나서 골을 이루고 공유하는 데 있다.
    거기에 찾아야 할 방향성이 있다.
    증폭되기 때문이다.
    무대는 하나라도 배우는 여럿이다.
    공연은 1회라도 커플은 손에 손잡고 모여든다.
    방송국은 하나라도 라디오는 여럿이다.
    태양은 하나라도 만인이 공유하므로 가치는 증폭된다.
    소유인가 존재인가?
    소유도 부질없고 존재라도 망부석이다.
    있어도 부질없고 없어도 허무하다.
    채워도 숨이 막히고 비워도 가난하다.
    마루에서 만나 골을 공유하는 것이 진실하다.
    만나서 이겨야 한다.
    말은 기수를 이기고, 운전자는 자동차를 이기고, 무사는 칼을 이기고, 배우는 무대를 이기고, 스포츠맨은 게임을 이긴다.
    서로 이겨서 윈윈이다.
    그럴 때 아름답다.

    시스템은 쌍으로 일어선다는 뜻이다.

    서로 마주보고 우뚝할 때 그 사이는 비워져 있어야 하고 그 빈 공간은 공유된다.

    멋진 일들은 모두 그 빈 공간에서 일어난다.

    막연히 비운다면 거지의 깡통이다.

    덕유산과 지리산이 우뚝할 때 그 가운데는 비어있다.

    그런 비움이라야 한다.


[레벨:8]열수

2019.05.09 (22:22:03)

글 잘 읽었습니다.

밭의 이랑보다   ㅡ>  밭의 두둑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0 (00:18:02)

'이랑이 고랑 되고 고랑이 이랑 된다'는 속담에서 보듯이

이랑과 고랑은 배의 이물과 고물처럼 대칭적인 말입니다.


이랑은 이처럼 뾰족한 부분이고 고랑은 골이 패인 부분인데

한선은 배의 앞머리가 이처럼 뾰족하므로 이물입니다.


33375381_178346116198863_8720385453292781568_n.jpg


옛날 한선은 뒷부분 양쪽 끝이 배의 키를 보호하기 위해 

돌출되었으므로 고랑을 이루고 있어 고물입니다.


두둑은 흙을 돋운 부분인데 두둑과 고랑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이랑과 고랑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이랑과 고랑이 자연스럽다고 봅니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인생해커

2019.05.10 (13:29:46)

열수님 말에 공감되는 그림하나 투척합니다. 아 이물에 대한 딴지는 아닙니다.다른거죠 ^^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챠우

2019.05.10 (13:47:27)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이랑=두둑+고랑"이라는 것도 있고, "이랑과 고랑"이라고 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동렬님이 왜 이랑과 고랑을 선택했는지 댓글로 써두셨네요. 다시 한 번 더 동렬님의 댓글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두둑은 흙을 돋운 부분인데 두둑과 고랑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이랑과 고랑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이랑과 고랑이 자연스럽다고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0 (13:49:11)

이랑 도랑 고랑은 같이 연결되는 대칭적인 말이지만

두둑은 밭을 매면서 흙을 돋운 부분이므로 여기서는 맥락이 다릅니다.


이랑= 곡식을 심는 라인

고랑 = 배수목적 혹은 북주기를 하며 흙을 파낸 부분

두둑 = 배수개념이 없는 전통 농법에서 밭매기를 하며 북을 돋운 부분

도랑 = 배수로 


전통적인 농법에는 두둑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두둑은 조선후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농법인데 우리나라는 밭이 산에 있지만


중국은 밭이 평지에 있어서 배수기능이 필요했던 거지요.

요즘은 배수기능이 강조되어 두둑을 높이는데 옛날에는 그렇게 안했습니다.


두둑을 만들어주는 관리기도 없고.

밀이나 보리는 북을 주지 않고 고랑에 파종하므로 고랑이 이랑입니다.


고랑이 이랑된다는 말은 거기서 나온 거지요.

때로는 고랑에도 곡식을 심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이랑과 고랑으로 보는게 자연스럽습니다.

이랑은 곡식을 심는 부분, 고랑은 비워두는 부분으로 대칭시킨 것입니다.

[레벨:4]JD

2019.05.10 (15:32:48)

네이버사전에도 '이랑=두둑'이라고 나오네요.

이랑이 곡식을 심는 라인이군요.
그 이랑에 흙을 높이 돋우면 두둑이 되는군요.

이랑과 고랑이 서로 대칭되는 개념,

덕분에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레벨:4]JD

2019.05.10 (15:48:15)

[말뜻말맛] 이랑과 고랑 / 김수업


농사짓는 솜씨가 달라지고 농사마저 사라질 지경이 되니까 농사에 딸린 말도 더불어 달라지고 사라진다. 경운기·이앙기·트랙터·콤바인이 나오니까 극젱이(훌칭이)·쟁기·써레·곰배 …가 모두 꼬리를 감추고, 따라서 따비와 보습도 사라진 지 오래다. 아무리 그렇대도 사람 목숨의 바탕인 농사가 사라질 수 없는 노릇이라면 ‘이랑’과 ‘고랑’은 끝까지 남을 말이다. 하지만 이들마저 뜻이 헷갈려 국어사전까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밭농사는 반드시 고랑과 이랑을 만들어야 한다. 흙을 깊이 갈아엎어서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고른 다음 고랑에서 파 올린 흙으로 이랑을 만들어 씨앗을 넣거나 모종을 옮겨서 가꾼다. 이랑은 높아서 물기가 차이지 않아 남새나 곡식을 키우는 터전이 되지만, 고랑은 제 흙을 이랑에 넘겨주고 스스로 낮아져 이랑의 남새와 곡식을 돌보는 사람의 발에 밟히기나 한다. 그러나 세상 이치는 “이랑이 고랑 되고, 고랑이 이랑 된다”는 속담처럼 때가 차면 뒤집혀 공평해지기 마련이고, 이랑과 고랑은 언제나 정답게 짝을 이루어 ‘사래’라 불리며 살아남았다. 그런데 왕조가 무너지고 일제 침략으로 농사까지 바뀌면서 ‘두둑’이 판을 치며 이랑을 밀어냈다. 두둑은 고랑과 가지런히 짝하지 않고 제 홀로 몸집을 불려 자리를 널찍이 차지하고 남새나 곡식을 여러 줄씩 키우도록 탈바꿈한 이랑이다. 이렇게 두둑이 이랑을 밀어내고 고랑과 짝을 지으니까 국어사전들이 두둑과 고랑을 싸잡은 것이 이랑이라면서 어처구니없는 망발까지 하기에 이르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레벨:4]JD

2019.05.10 (16:22:28)

별 거 아닌 거 가지고 댓글 꼬리를 자꾸 늘려서 좀 죄송하긴 합니다만,

덕분에 검색도 해보고 공부도 하게 되네요.

고랑과 이랑이 서로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은 확실해 보이네요. 자연스럽기도 하구요.

...............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농사짓는 솜씨가 달라지고 농사마저 사라질 지경이 되니까 농사에 딸린 말도 더불어 달라지거나 사라지고 있다. 경운기, 이앙기, 트랙터, 콤바인이 나오니까 극젱이(훌칭이), 쟁기, 써리, 고무래(곰배), 홀케, 도리깨가 모두 꼬리를 감추고, 따라서 따비와 보습도 사라진 지 오래다. 아무리 그렇다 해도 사람 목숨의 바탕인 농사가 사라질 수 없는 노릇이라면, ‘이랑’과 ‘고랑’은 끝까지 살아남을 낱말이다. 하지만 이들마저 뜻을 가리지 못하게 되었고, 국어사전까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밭농사는 반드시 고랑과 이랑을 만들어야 한다. 밭의 흙을 갈아엎어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고른 다음에 괭이로 흙을 파 올려 높아진 데와 낮아진 데가 나란하도록 만든다. 흙을 파 올려 높아진 데는 비가 와도 물에 잠기지 않고, 낮아진 데는 비가 오면 물에 잠기게 마련이다. 이렇게 위로 높아진 데를 ‘이랑’이라 하고, 여기에 종자를 넣거나 모종을 옮겨서 남새(채소)나 곡식을 가꾼다.

한편 아래로 낮아진 데를 ‘고랑’이라 하는데, 고랑은 낮아서 이랑의 곡식을 돌보는 사람의 발에 밟히기나 하는 신세다. 그러나 세상 이치는 “이랑이 고랑 되고, 고랑이 이랑 된다.” 하는 속담처럼 때가 되면 신세가 뒤집히게 마련이므로, 이랑과 고랑은 단짝이 되어 잘 지내 왔다.
그런데 왕조가 무너지고 일제 침략으로 농사마저 바뀌면서 ‘두둑’이 판을 치며 이랑을 밀어냈다. ‘두둑’은 본디 흙을 끌어올려 논이나 밭의 가장자리를 둑처럼 쌓아 놓은 것이었다. 두둑은 논밭을 갈라놓는 구실을 하고, 사람이나 마소가 걸어 다니는 길 노릇도 했다. 그런데 이랑이 고랑과 가지런히 짝하지 않고 제 홀로 몸집을 불려서 자리를 널찍이 차지하여 남새나 곡식을 여러 줄씩 키우도록 탈바꿈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되니까 그것의 이름을 ‘두둑’이라고 불렀다. 논밭 가장자리를 둑처럼 갈라놓던 본디의 두둑과 몸집이나 생김새가 비슷했기 때문이다. 두둑이 이랑을 밀어내고 고랑과 짝을 하니까, 국어사전도 이랑을 “두둑과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고 아주 어처구니없이 풀이를 하기에 이르렀다.

고랑은 ‘골’에서 왔을 터이다. ‘골’은 산골이니 골짜기니 하는 바로 그 골이다. 논밭에 농사를 지으려면 흙에서 물기를 빼야 하므로 바닥에다 골을 타야 한다. 골을 타면 골에 있던 흙이 이랑이 되고, 이랑에 흙을 빼앗긴 골은 물기로 눅눅한 고랑이 된다. 고랑이 ‘골’에서 왔다면 이랑은 ‘일’에서 왔다.

이랑의 바탕이 될 만한 ‘일’은 이름씨에서는 찾기 어렵고, 움직씨 ‘일다’가 그럴듯하다. ‘일다’는 “없던 것에서 생기다. 여리고 흐리던 것이 튼튼하고 뚜렷해지다. 겉으로 부풀거나 위로 솟아오르다.”라는 뜻을 지금도 지니고 있으며, ‘일어나다’나 ‘일으키다’ 같은 말의 뿌리이기도 하다. 골을 타서 흙을 끌어 올려 쌓으면 땅이 솟아오르니 그게 바로 ‘일앙’, 곧 ‘이랑’이다.

그런데 물에 다니는 배에는 ‘이물’과 ‘고물’이 있고, 고려 노래 <동동>에는 ‘님배’와 ‘곰배’가 있어 눈길을 끈다. 이들 모두 ‘이랑’과 ‘고랑’처럼 서로 짝을 이루고, ‘이’와 ‘고’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배의 이물은 위로 추켜든 앞머리고 고물은 아래로 내려앉은 뒤축이라, 이랑이 위로 오르고 고랑이 아래로 내린 것과도 닮아 있다. 그렇다면 고려 노래 <동동>에 있는 ‘님배’와 ‘곰배’도 그런 뜻으로 풀이해야 옳은 것인가 생각해 볼만 한 일이다.
[레벨:8]열수

2019.05.11 (23:48:46)

정확히 알지도 못하면 함부로 댓글달아 미안합니다. 동렬샘 덕분에 이랑과 고랑 개념을 정확하게 알게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2 (12:36:01)

알고 모르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글을 쓰다보면 결을 따라가는데 물러설 수 없는 지점이 있습니다.

제가 어원을 연구했기 때문에 괜히 민감해서 그런 점도 있습니다.

두둑은 옛날에 없던 현대의 농법으로 계속 폭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랑과 대칭된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옛날 말들은 뜻이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설의 어원 update 김동렬 2024-12-25 5130
4431 신은 전지전능하지 않다 1 김동렬 2019-05-21 4631
4430 천국은 없다 4 김동렬 2019-05-20 4691
4429 돈은 찍어내고 봐야 한다 5 김동렬 2019-05-19 4577
4428 제프 쿤스 그리고 4 김동렬 2019-05-18 4893
4427 천재도 유행을 탄다 2 김동렬 2019-05-17 4826
4426 만남이 천재를 결정한다 6 김동렬 2019-05-15 8772
4425 아인슈타인의 직관과 보어의 입장 image 5 김동렬 2019-05-14 4807
4424 최단경로가 이긴다 1 김동렬 2019-05-13 4608
4423 구조론은 순서다 1 김동렬 2019-05-12 4417
4422 위하여는 배척된다 17 김동렬 2019-05-11 4547
4421 수학적 직관이 답이다 3 김동렬 2019-05-10 4630
» 있음과 없음[수정] 10 김동렬 2019-05-09 4877
4419 장이 정답이다 5 김동렬 2019-05-07 4682
4418 질문은 성의있게 해야 한다 4 김동렬 2019-05-07 4361
4417 실체냐 관계냐? 1 김동렬 2019-05-07 3875
4416 있음과 없음 7 김동렬 2019-05-06 4269
4415 구조론 다음은 없다 1 김동렬 2019-05-06 3946
4414 허무는 없다 1 김동렬 2019-05-03 4823
4413 악의는 없다. 1 김동렬 2019-05-02 4444
4412 답은 에너지다 3 김동렬 2019-05-01 5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