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영웅본색1.png 영웅본색2.png 영웅본색3.png 영웅본색4.png

 

그런데 여기에서의 말한 것은 신이라기 보다는

니체식의 초인(超人)인 것 같은데

 

이것만 보더라도 한자문화권에서는

니체 처럼 "신은 죽었다"라고 말할 필요조차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공자가 "괴력난신"을 언급하지 않았던 시절부터

신은 이미 뒷방 늙은이 신세였기 때문이었겠지요.

 

삼국연의의 등장인물인 관우는 초인에 가까운 완벽한 인간으로 묘사되는데

그는 후세사람들에게 단순히 영웅으로 대접받는게 아니라

복과 재물을 가져다 주는 신으로 모셔지고 있는 걸 보면

뭔가 아이러니 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니체는 신에게 얽매이지 않는 '초인'이라는 것을 제시했지만

정작 신에 얽매이지 않았던 중국 문명에서

관우 부터 모택동에 이르기까지 역사 상 무수히 실존했던

비범한 인물들을 신으로 승격시키고 숭배하는 관습이 있는 것을 보면

 

역시 인간에게는

스스로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초인'이 되고 싶기 보다는

'신'에 정신적으로 의지하고 싶어하는 구석이

확실이 강한 것 같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김동렬 선생이 말한

인간의 두 가지 본성

'세계의 중심에 뛰어들어 의미를 찾고 싶어하는 의지'와

'노숙자가 되고 싶어하는 본능'

에서 후자가 더 강하다는 증거가 아닐 까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3.13 (10:54:02)

중요한건 의사결정입니다.

인류가 하나의 단일체라는 관점에서의 의사결정이 바른 것입니다.


니체의 초인은 강자와 약자로 나누는 

이분법적 상대론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상대성에 기초한 의사결정은 언제나 실패라는 거죠. 

신이 있느냐, 누가 신이냐, 이런 말이라면 바보같은 소리고


인류가 단일체라는 전제 하에서 

절대성에 근거한 의사결정이 진실한 것입니다. 


절대성에 근거한다 함은 

누가 결정하든 그것은 나의 결정이 아니라 인류의 결정이라는 거죠. 


인용한 영화에서는 결정권이 있느냐만 다룰 뿐

그것이 나의 결정이 아니라 인류의 결정이라는 시야는 없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32 직관과 논리의 차이 달빛 2014-03-22 3025
2631 직관이란 말 그대로 직접 보는 거죠 8 달빛 2014-03-22 2417
2630 직관과 논리의 차이점을 알려드리죠-댓글이 넘 길어져서 3 달빛 2014-03-22 7959
2629 관능의 법칙 보다는 눈내리는 마을 2014-03-22 1946
2628 2014 여름 날씨가 더울거라는데.. image 2 표준 2014-03-22 3264
2627 구조론은 의사결정이론이다. 7 파란하늘 2014-03-21 2414
2626 오늘 구조론 역삼 모임(신간파티) image 3 ahmoo 2014-03-20 2266
2625 못생긴 한국인 5 차우 2014-03-20 4650
2624 구조론 연구소가 답답해 보이는가? 차우 2014-03-20 2640
2623 빅뱅후 급팽창이 아니라 그 반대다... image 1 시원 2014-03-19 3554
2622 영어 무조건 외워라? 15 표준 2014-03-19 4236
2621 연역이란 이런 느낌? 風骨 2014-03-16 2248
2620 해인사 모임 재공지 image 2 김동렬 2014-03-14 2411
2619 국내기업->서구권 해외시장 진입경로 정 천재님 2014-03-14 2104
2618 14일(금) 구조론 광주모임안내 탈춤 2014-03-14 1820
2617 신의 의지로 살아가는 사람이 신이다. image 1 삼백 2014-03-14 3987
2616 오늘 구조론 역삼 모임 image ahmoo 2014-03-13 1955
» "인간이 곧 神"(영화 영웅본색의 한 장면에서) image 1 風骨 2014-03-13 5182
2614 신 vs 인간 9 큰바위 2014-03-12 2470
2613 조선시대의 운석들. 김동렬 2014-03-12 3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