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118 vote 1 2009.05.27 (00:14:10)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동영상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런 물음에는 신비주의로 나가는 것이 좋다. 코엘료 마냥 ‘우림과 툼밈’ 어쩌구 하면 다들 좋아한다. ‘어머! 멋져. 멋져! 우림좋아 툼밈좋아.너무 좋아!’ 왜? 우림과 툼밈이 무엇인지 모르니까.

사람들은 모르는걸 좋아하고 아는걸 싫어한다. 다 아는 언어로 하면 실망한다. 이성이 어떻고, 깨달음이 어떻고, 진리가 어떻고 하면 ‘뭐야! 신통한거 없잖아!’하고 벌써 채널 돌린다.

등반가로부터 들은 이야기다. 암벽에 리벳이 박혀 있다. 리벳 A와 리벳 B. 둘 사이의 거리 수 미터를 지름으로 해서 동그라미 하나 그려진다. 어떻게든 그 동그라미 안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동그라미는 선등자가 리벳을 박고 올라간 자취다. 초심자는 그 동그라미 밖에서 어떻게 해보려 한다. 작은 틈새를 찾아보기도 하며 손쉽게 조금 전진한다. 그러나 막혀버린다. 리벳 B로 옮겨가지 못한다.

정해진 루트가 있다. 절대적으로 그 공식 안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쉬운 코스라면 융통성을 발휘해도 되겠지만 난코스에서는 절대로 그러하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물음 역시 그러하다.

정해진 루트를 벗어나 신비주의로 가면 조금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근본 막힘을 넘어가지 못한다. 용기있게 그 난관을 돌파하려면 어렵더라도 정도를 따라야 한다. 형이상학과 맞서기.

###

인간은 사회적 존재다. 발달된 사회가 그 자체로서 개인이 그러하듯이 하나의 독립적인 인격성을 가진다. 개인이 인격을 가지듯이 그 개인의 집합이라 할 사회에도 역시 ‘격’이 있다.

격은 소통의 레벨이다. 어느 수준에서 소통할 것인가? 인간 수준에서 소통하면 곧 인간. 짐승 수준에서 소통하면 짐승. 님이 거론한 인간의 근본속성, 곧 본성이란 그 인간의 소통 수준이어야 한다.

곰이 인간이 아닌 이유는 사람처럼 말을 못하기 때문. 말하는 곰이 있어서 인간사회의 진보에 영향을 끼친다면 웅인이라 할만하다. 말한다는 것이 곧 소통한다는 거. 소통하여 개인의 집합인 사회의 격을 만들어가는 거.

그 격은 역사와 전통과 관습과 문화들의 진보로 만들어진다. 진보가 없는 사회는 죽은 사회이며 격이 없는 사회다. 동물사회는 진보가 없으므로 격을 논하지 않는다. 개체나 군집이 있을 뿐 사회가 없다.

인간의 사회성은 자연의 완전성에서 유도된다.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이니까. 우물에 빠진 아기를 건져주려는 이유는 불쌍하기 때문이 아니다. 인간은 본래 선하다 악하다는 말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선악은 상대적이므로 동전의 양면. 본성이 선하다는 말이 악하다는 말. 그게 그거. 물론 우물에 빠진 아기가 불쌍하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겠지만, 사람이 죽어가는 것을 보고 재밌어 하는 꼬마도 있다.

어느 면에서 인간은 난폭하고 야만하다. 이 사나운 진실을 정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자신을 속이기 없기. 불편한 진실 앞에서 눈감기 없기. 인간이 심심풀이로 사람을 죽이지 않는 이유는 교양되어 왔기 때문.

원시부족사회는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으로 끔찍하다. 평화를 사랑하는 부족도 물론 있지만, 이웃부족사람 목 하나를 따오지 못하면 장가를 가지 못하는 풍조가 대부분이다.

우물에 빠진 아기를 건져주는 이유는 한번 외면하면 계속 외면하게 되고, 결국 사람이 살 수 없는 사회가 된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할 때 그 끝을 생각한다. 이것이 인간의 본성.

나는 아기 때 첫 걸음을 떼면서 많이 고민했다. 형들의 부추김에 의해 바닥을 기는 놀이를 즐겼는데. 마당을 기어서 빠르게 대문까지 갈 자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계획을 전부 취소하고 걸으라고?

기어가기는 자신있는데. 걷기는 자신없는데. 걸어야 하나 기어야 하나? 처음 시작하면서 끝을 고려하기. 첫 등교하는 날 마지막 날 책거리 하는 모습을 상상하기. 그 안에 논리가 있다.

‘내가 이렇게 하면 네가 이렇게 한다’는 것이 논리. 그 논리가 계속 연결되어 거대한 체계를 가지는 것이 자연의 완전성. 사단칠정론에서 언급했듯이 자연의 완전성이 리(理)면, 리가 인간에게 반영된 것이 인간의 사회성.

그리고 인격성, 이성, 본성. 근본속성. 선하다 악하다거나 혹은 우월하거나 열등하다거나 혹은 남자답고 여자답다거나 혹은 희노애락애오욕을 추구한다거나 이런 것은 안쳐주는 마이너리그 헛소리.

근본은 논리. 그 논리의 연결이 자신의 삶 전체를 관통하고 나아가 공동체나 국가와 같은 사회 전체를 관통하고 인류의 역사까지 관통하여 가는는 정도가 그 인간의 인격이다. 그 인격이 본성이다.

한 인간의 인격이 높은가 낮은가는 그 일관성의 연결이 과연 인류의 역사까지냐, 혹은 국가나 이웃, 종교집단, 동아리, 패거리, 가족 수준에 머무르느냐, 아니면 개인의 욕망 수준에 머무르느냐다.

개인의 욕망을 충족하는건 저급. 이웃과 공동체와 동아리와 종교공동체와 국가의 완성을 추구하는건 중급, 이상주의를 품고 인류의 역사의 문명의 진보를 의식하는 것은 고급. 처음 눈을 떴을 때 최후의 경지를 바라보기.

등산을 한다면 첫 걸음을 뗄때 눈은 이미 산 정상에 가 있어야 한다. 그 정상에서 신의 완전성과 만나야 한다. 마주쳐야 한다. 울림과 떨림이 전해져야 한다. 그본성은 내 안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신의 완전성에서 유도된 것.

삶은 공간과 시간의 로직. 공간은 자기를 위한 것이고 시간은 친구를 위한 것이다. 몸은 자기를 위한 것이고 마음은 친구를 위한 것이다. 그렇게 인간은 사회적이다. 그 사회의 완성을 추구하기다.

나의 배고픔을 느껴 그 결핍을 충족시키려고 밥을 먹듯이, 그 사회의 배고픔을, 그 사회의 결핍을 충족시키려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 첫 걸음을 뗄 때 마지막 걸음을 의식할 수 있다면 그러하다.

왜 내 배고픔은 알면서 그 본성은 잘도 자각하여 느끼면서 왜 사회의 고픔은 모르고, 인류의 고픔은 모르고, 진리의 고픔은 모르고, 역사의 고픔은 모르고, 진보의 고픔은 모르고, 신의 고픔은 모르는가?

정녕 느끼지 못한다는 말인가? 내 안 깊숙한 곳에서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말인가? 아기때 첫 한 걸음을 떼었을 때 그때 시선을 어디에 두었는지는 잊어먹었다는 말인가?

삶의 일관성과 완결성을 고파하는 이성의 꼬르륵 외침이 들리지 않는가? 완전한 인간, 완전한 인격, 완전한 삶으로 신의 완전성과 대면하려는 본성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말인가?

그 본성의 목소리가 씨줄날줄을 이루어 운명의 베를 짜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말인가? 자연과 감응하고 진리와 감응하고 더불어 소통하며 전율할 때의 그 느낌 잊었다는 말인가? 그 예민한 촉각.

http://gujoron.com


[레벨:0]매력

2009.05.27 (05:09:33)

좋은 글입니다. 그런데 본질적인 말씀을 드리면 저급 중급 고급으로 나누는 기준은 어떤것 때문인가요? 그것도 어찌보면 인간이 정한거 아닌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5.27 (08:00:55)

말씀드렸을텐데요. 아침, 점심, 저녁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시작, 중간, 끝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동,서,남,북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봄,여름,가을, 겨울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그렇죠? 앞,뒤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위,아래도 인간이 정한 것이고 그런가요? 네 계절이 아니라 여덟계절로 나눠도 되고, 두 계절로 나눠도 되고, 한 계절로 합쳐도 되겠지요. 인간들 정하기 나름이겠지요. 그런다고 겨울에 꽃이 피고 여름에 눈이 오나요? 결 자체는 그대로 존재하는 겁니다.
[레벨:0]매력

2009.05.27 (08:24:04)

잘이해가 안가지만 그렇다면 저급 중급 고급으로 나눈것도 자연의 섭리  뭐 그런걸 바탕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되는건지....,.
[레벨:15]르페

2009.05.27 (09:23:33)

어디에서 배가 고픈가..에 대한 이야기요.
나 한 몸의 배고픔을 지나 멀리멀리 저 지구끝, 인류, 문명, 신의 배고픔으로 나아가기.
거대한 위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느낄 수 없는 포만감이오.

하나의 희망이라면 타고난 위장도 후천적으로 늘어난다는거요.
방구석에 앉아서 머리속으로 노력한다고 저절로 늘어나지는 않소.
나는 관계의 확장, 세상과 부단히 맞서기로써 키워지는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5.27 (09:59:50)

나는 나누지 않았는데 왜 나누었다고 멋대로 결론내지요? 문장을 다시 보세요. 저급 뒤에 없습니다. 저급하다는 말이지요. 제가 누군가에게 '넌 하는 짓이 저급해' 그러면 그 사람은 '아 나는 바둑 18급 밑에 저급이구나' 하고 알아먹습니까?

표현을 그렇게 한 것이고 자기 몸 하나 챙기는건 울동네 강아지도 한다는 말입니다. 인간은 강아지보다 좀 낫기 때문에 이웃을 챙기고 사회를 챙기고 국가를 챙기고, 드물게 좀 아는 사람이 진리를 챙기고 신을 챙기는 거지요.

그 사람이 어느 선까지 챙기느냐에 따라 그 사람과 소통의 레벨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자기 몸 하나 챙기는 짓은 강아지도 하니까 강아지 취급을 해주고, 이웃 정도 챙기는 사람은 이웃정도 취급해주고, 역사와 진리와 신을 챙기는 사람이어야 진짜 이야기를 할만한거지요.

우리는 짐승을 짐승취급할 뿐 인간취급 안합니다. 인간과 짐승 사이에 분명히 차별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말할 사람과 말하지 않을 사람과는 말하지 않습니다. 소통에 있어서는 명백히 주파수가 다르고 채널이 다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4]꼬치가리

2009.05.27 (11:13:06)

"코엘료 마냥 ‘우림과 툼밈’ 어쩌구 하면 다들 좋아한다. ‘어머! 멋져. 멋져! 우림좋아 툼밈좋아.너무 좋아!’ 왜? 우림과 툼밈이 무엇인지 모르니까."

어쩌면 이렇게 투명할까.

'코엘료'.. 하는 순간에 이미 '모르니까' 가 읽혀졌답니다.
어깨 넘어 눈팅 수삼년에 거의 풍월하는 수준에 달했다는 생각에 한 번 웃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09 그림으로 본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09-07-22 15443
2008 7월 14일 동영상 풀이 2 김동렬 2009-07-13 14616
2007 지적 암살정국 4 김동렬 2009-07-07 15623
2006 합리적인 조직이란? 10 김동렬 2009-06-26 15583
2005 유승준 문제 6 김동렬 2009-06-16 16080
2004 아줌마옷 수수께끼 image 8 김동렬 2009-06-11 27060
2003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4314
2002 6월 7일 구조론 강의 5 김동렬 2009-06-05 12853
2001 월요일 동영상 해설 김동렬 2009-06-02 16714
2000 동영상 강의 2 김동렬 2009-06-01 16460
» 인간의 본성 6 김동렬 2009-05-27 16118
1998 인간 노무현의 운명 10 김동렬 2009-05-25 17416
1997 아래 글에 부연하여.. 김동렬 2009-05-20 16540
1996 퇴계와 구조론 11 김동렬 2009-05-18 14159
1995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9-05-16 17435
1994 구조론에서 현대성으로 김동렬 2009-05-13 14630
1993 구조체의 판정 그림 image 김동렬 2009-05-08 16342
1992 구조체의 판정 1 김동렬 2009-05-08 13577
1991 5월 2일 강의주제 김동렬 2009-05-01 15967
1990 28일 강의 요지 image 김동렬 2009-04-28 1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