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268 vote 0 2006.02.07 (23:59:08)

클래식은 진리의 완전성을 표상하는 즉 신의 질서를 인간이 재현하는 것이다. 팝은 그 방법으로 재현된 신의 질서를 각자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다. 그것은 흔히 무질서로 오인되곤 한다.

그러나 실로 무질서가 아니다. 어쩌면 인간 내부에서 신의 질서와 공명하는 접점을 끌어내는데 성공할 수도 있다.

그렇다. 그것은 하나의 접점이다. 그것은 인상주의다. 그것은 강렬한 하나의 인상이다. 신의 질서와 인간의 열정 사이에 연결고리를 찾는 것이다. 그 고리와 매듭들에서 자기만의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수 있다.

팝의 열기 그 자체가 인간이 찾고자 하는 본질은 아니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것은 연결의 링크요 끈이요 매듭이다. 참된 의미는 신과의 소통에 있다. 소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랑은 그 링크의 고리, 접촉의 지점에서 뿌리가 내리고 싹이 자라서 가지를 쳐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할 때 완성된다. 팝은 그 사랑을 완성할 때, 신의 질서와 닮아 있는 자기만의 질서를 완성할 때 새롭게 창조된다.

팝의 열정 그 자체는 하나의 링크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은 위대한 유혹이다. 유혹으로 사랑이 시작될 뿐 유혹으로 사랑이 완성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팝은 휴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그것은 충동이요 자극이다. 인간 내부에 숨은 욕망의 재발견이다. 자기 내부에 자기도 모르게 잠들어 있던 욕망을 찾아서 끌어내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사랑은 시작되는 것이며 그 사랑을 기어이 완성시킬 때 얻어진 인간의 질서는 신의 질서와 닮아 있다. 그 방법으로 인간은 신과 소통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54 정동영 김근태 장난하나 김동렬 2006-02-09 14852
» 열정과 사랑 사이 김동렬 2006-02-07 17268
1552 황까들의 무식함에 혀를 내두르며 김동렬 2006-02-07 14512
1551 한국 영화의 경쟁력 김동렬 2006-02-07 12047
1550 유시민 얼굴에 잡티가 많다고? 김동렬 2006-02-07 15169
1549 줄기파동 중간점검 김동렬 2006-02-07 14246
1548 강한 자가 최후의 증언자가 된다. 김동렬 2006-02-06 12703
1547 학문과 예술 김동렬 2006-02-04 16878
1546 학문의 역사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동렬 2006-02-03 20158
1545 이어지는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03 16105
1544 성숙한 시민사회로 가기 위하여 김동렬 2006-02-03 13627
1543 정동영은 행운아인가? 김동렬 2006-02-02 14302
1542 백남준의 유혹 1 김동렬 2006-02-01 14192
1541 두관이 형 거기서 머해? 김동렬 2006-02-01 16854
1540 예술은 유혹이다 김동렬 2006-01-31 14889
1539 스크린 쿼터 문제에 대하여 김동렬 2006-01-27 15721
1538 당신은 무엇을 믿는가? 김동렬 2006-01-26 12676
1537 학문의 역사 - 쫓겨다니는 문명, 매혹당하는 문명 김동렬 2006-01-25 20969
1536 왕의 남자 대 글래디에이터 김동렬 2006-01-25 14091
1535 황란 제 2라운드 김동렬 2006-01-25 13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