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사과를 해도 뭐라고 하고, 안해도 뭐라고 하지요. 사실 사과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수많은 사례를 보니, 그래도 사과의 마음이 있는 학생과 부모가 낫더라구요. 사과 조차 안하는 사람들 보면 끝까지 버티거나 맞폭으로 피해학생을 더 힘들게 하는 경우도 종종보거든요. 징벌을 면해보려고 사과하든, 조치로서 사과하든 그래도 사과하는게 학교폭력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심이든 아니든 적어도 잘못을 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행위임은 분명하니까요.
진정한 대면사과가 있으면 좋겠지만, 누구말대로 진정한 대면사과를 할 정도면, 그런 행동을 하지 않을 겁니다. 진정한 사과는 어떤 형태로든 쉽지 않습니다. 잘못에 대한 인정부터 쉽지 않은데, 이는 펙트체크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자녀가 여러 번 학폭피해를 당해서 학폭신고에 화해중재모임, 가해학생과 가해학생의 아버지와 2차 대화의 자리를 가졌던 저는 그저 재발방지를 바랄 뿐이었습니다. 아이의 폭력적인 성향을 부모가 조금이라도 알아서 적절히 교육하기만 바랬습니다. 물론 이것도 기대에 불과하고, 여기까지 제가 하고 나서 할 수 있는 건 나의 가족과 좋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었지요. 학폭피해가 도움이 된 측면도 있었는데, 이제는 아들의 마음이 단단해져서 웬만한 폭력적인 시도에는 데미지도 잘 안입고 더 당당하게 말하고, 공론화도 적절히 해서 저도 별 걱정을 안하고 삽니다. 그러고보면 정말 밉고 혼내주고 싶었던 녀석들이 우리 아이들이 성장하도록 도와준 성공 미션 제공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 당시는 괴롭지만, 지나고 나니 폭력을 행하고 두둔하는 부모에게 오히려 연민이 느껴졌으니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3]chow

2025.05.13 (11:56:05)

학폭을 했다 > 전교생이 보는 앞에서 피해자에게 삼궤구고두례를 한다.

이 정도 한다면, 보복없이 피해자가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습니다.(농담)


가해자가 잘못을 인정하고 말고는 별로 상관이 없고,

팩트체크도 별로 상관은 없고


가해자건 피해자건 교사한테 완전히 통제되는 게 유의미합니다.

공권력의 힘을 보여주는 게 유의미하다는 말입니다.


한가정 한자식도 안 되는 한국에선 될 리가 없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5.05.13 (14:09:14)

법정에서 재소자에게 반성문을 쓰게 

하는 것과 같은데 진짜 반성하고 반성문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독방도 아니고 여러 재소자가 함께 생활하므로 

진짜 반성하는 죄수는 교도소 세계의 반역자이자 이단입니다.


판사 앞으로 반성문 폭탄 던지는 놈도 있고 대필시키는 놈도 있는데 다 효과가 있습니다.

반성문을 쓰게 하는 것은 범죄자를 심리적으로 제압해서 굴복시키는 것입니다.


쫄게 만드는 거지요. 범죄자는 힘의 논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내가 더 힘이 세다. 힘도 없으면서 덤빈 피해자가 잘못했다. 내게 참교육을 받은 것이다.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내가 맹수이므로 

약한 사슴은 내 밥이 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시스템이 더 세걸랑요.


피해자는 약하지만 피해자 아버지가 국회의원인데? 이렇게 되면 조폭도 납작 엎드립니다. 

조폭도 여대생은 잘 안 건드립니다. 뒤에 대학이라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조폭의 논리.. 피해자는 약하므로 가해자에게 쳐맞아야 한다.

사회의 논리.. 피해자 뒤에는 경찰과 사법제도가 있으므로 가해자가 쳐맞아야 한다.


진정한 사죄와 반성은 없지만 진정한 굴복과 학습은 있습니다. 

사회는 가해자를 제압하고 굴복시키고 학습시켜야 합니다. 호르몬을 바꿔놔야 합니다.


조폭 형님이 가해자를 찾아가서 몇 마디 해주면 금방 알아듣고 착해집니다.

힘의 논리로 덤비는 놈은 힘의 논리로 받아쳐야 합니다. 


중요한건 이게 말이 씨가 먹히지 않는 동물적 본능의 영역이라는 겁니다. 

동물은 원래 영역싸움 서열싸움 합니다. 푸닥거리 한판 해야 가족이 됩니다.


폭력배는 사실 자신이 의지할 자신보다 더 강한 상대를 찾으려고 하는데 

조폭 형님을 만나면 반가워서 오줌 쌉니다.


자신보다 강한 것을 보면 정신적으로 의지하므로 착해진다는 말씀.

반성하라고 말로 윽박지르는건 쓸모없고 시스템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일종의 역할극인데 가해자에게 알맞은 역할을 주는 것입니다.

집단 속에서 역할을 획득하고 대본을 따른다. 다르마를 따르는 삶이라는 거.


틀린 판단 - 가해자가 진심으로 사죄하고 반성한다. 사죄와 반성을 들이붓는 플러스 사고. 플러스는 다 가짜.


구조 진실 - 가해자가 집단으로부터 올바른 대본을 받고 충실히 연기한다. 집단에서 개인으로 명령이 내려오는 마이너스 사고. 마이너스가 진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211462
» 학폭에서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는 없으므로 사과는 무쓸모인가? new 2 이상우 2025-05-13 132
2326 우주는 끝이 있을까? 1 chow 2025-05-11 281
2325 빛의 반사각 문제 2 나나난나 2025-05-11 212
2324 배우지 말고 초월하라 (영화 승부) 2 chow 2025-05-11 269
2323 사주 + 구조론 AI 1 임종필 2025-05-09 397
232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5-05-07 210
2321 한국의 판란티어 구조론 AI 6 임종필 2025-05-07 474
2320 AI 프롬프팅의 구조론적 혁명 2 ahmoo 2025-05-05 730
2319 알파고는 되고 언어모델은 안 되는 이유 4 chow 2025-05-04 900
2318 구조론의 메타이론적 잠재력 ahmoo 2025-05-04 552
2317 인공지능이 인간의 직업을 삭제할까? 4 chow 2025-05-04 850
2316 구조론연구실_노트북LM 4 ahmoo 2025-05-02 696
2315 사회문제 해결에 관한 메타이론적 탐구 5 ahmoo 2025-04-30 1277
2314 구조론에서 깨달음과 이상주의의 의미 1 ahmoo 2025-04-29 1127
2313 AI가 아첨하는 이유 chow 2025-04-28 948
2312 인공지능 토론실 개설 15 ahmoo 2025-04-26 1165
2311 구조론과 소통지능 연구 가이드 11 ahmoo 2025-04-23 1749
231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오리 2025-04-23 1132
2309 한국 경쟁과 일본 경쟁의 구조적 차이 image 추론이 철학이다 2025-04-23 1269
2308 글 복구 [추론이 철학이다님] 2 김동렬 2025-04-23 1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