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4]추론이 철학이다
read 252 vote 0 2025.03.27 (14:39:03)

양자역학에서 오해가 발생하는 이유는 관측이란 단어를 사용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본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의 발생 요인으로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한몫합니다

고양이와 독극물이 상자 안에 있고 상자를 열어본 순간 상태가 결정된다고 하니

관측이란 단어를 일상적 의미로 받아들이게 합니다


오해가 없으려면 상자를 열어보는 행위를 없애야 하고

상자 안에 고양이와 독극물이 같이 놓여있는 상태에서 

이미 관측이 시작되었다고 봐야 합니다

여기서 관측이란 상자를 열어서 본다는 게 아니며

상자 안에 고양이만 있는 게 아니라 독극물이란

상호작용 매개가 같이 있는 상태를 관측이라고 하는 겁니다

상호작용 매개가 없이 상자 안에 고양이만 있다면

아무런 변화가 일어날 수 없고 관측이 없는 상태인 겁니다


상호작용 매개가 없으면 입자는 고립 혹은 단절 상태가 되는데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열과 단절 : 주변 환경과 에너지를 교환하지 않음

고립된 입자 : 외부와 물리적 상호작용이 거의 없음

극저온 상태: 환경이 매우 낮은 온도로 유지되며 입자 운동이 극도로 줄어든 상태

진공 상태: 공기 분자 등과의 충돌 자체를 극도로 낮춘 상태



상호작용 가능 여부이유
입자 1개만 완전히 고립\❌ 불가능\상호작용하려면 ‘상대’가 있어야 함
입자 2개 이상 존재\✅ 가능\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음
입자 1개 + 환경(공기, 열 등)\✅ 가능\환경과 에너지/정보 주고받음
입자 내부 자유도들 간 상호작용\✅ 조건부 가능\내부 시스템 구조에 따라 다름


상호작용 없음 (고립 상태)파동 상태 (중첩, 간섭 가능)여러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
상호작용 있음 (관측/측정)입자 상태 (하나의 결과로 확정됨)상태가 결정됨


여기서 상호작용 매개를 형성하는 방법은 빛만 있는 게 아니고 이런 방법들도 있습니다

전자 (전자기적 상호작용)다른 입자와 전자가 충돌하거나 궤도 변화 시전자현미경, 전자 간 충돌 실험
중성자 (핵력 기반 상호작용)중성자는 전하가 없어 물질 깊숙이 침투 가능중성자 산란 실험 (결정 구조 분석 등)
원자 또는 이온냉각된 원자들끼리 충돌 → 상호작용 발생초냉각 원자간 간섭 실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환경 (소리, 온도, 진동, 열 등)입자가 주변 환경과 열적 상호작용하며 정보가 퍼짐탈코히런스 (decoherence) 현상
포논 (격자 진동의 양자)고체 내 원자 진동(=소리의 양자화)이 입자 상태에 간섭고체 내 양자 비트 측정 시 간섭 요인
중력장 (이론적으로)중력장을 통한 관측은 미세하나, 최근 논의됨양자 중력 이론, 중력 유도 붕괴 모델(GRW) 등
초전도 회로 / 전류전기 흐름이나 회로의 위상 차이로 양자 상태를 읽음초전도 큐비트(quantum bit) 측정
화학 반응특정 분자나 입자가 반응하면 상태 변화가 남음

양자 화학 시뮬레이션, 분자 분광법 등


그러면 입자가 상호작용하지 않으면 왜 파동 상태인가?

일상에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파동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런데 소나기가 오는 상태에서 돌을 던지면 파동이 오래가지 못합니다

주변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란 상호작용 매개를 통해 긴 파동이 짧은 파동으로 깨지는 것입니다

냄비에 물을 넣고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파동을 형성하겠지만

팔팔 끓는 냄비에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파동이 금방 없어지는 것도 같습니다

그러므로 자연에 입자란 없고 짧은 파장과 긴 파장만 있을 뿐입니다

기타줄을 때리면 파동 현상이 나타나는데

그 말은 상대적일 뿐이지 어떤 고체를 때리든 짧은 파동 현상은 나타나는 겁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5.03.27 (17:18:36)

쉽게 모형을 만들면 되는데 

절대로 모형을 만들지 않으므로 멸망.


빛이 전자에서 튀어나오는 것은 

자기력선의 한 마디가 잘라져서 튀어나오는 것입니다.


전자가 에너지를 얻으면 자기력선이 흔들려서 늘어지다가 

못견디면 잘라져서 튀어나오는 것을 우리가 빛이라고 합니다.


돌팔매를 돌리다가 놓쳐버리면 튕겨나가는 거지요.

돌팔매는 날아가기 전부터 광속으로 돌고 있었던 겁니다. 혹은 진동하고 있었던 거. 


문제는 그게 점이 아니라 선이라는 거지요.

선이기 때문에 이중슬릿의 두 구멍으로 동시에 들어갑니다. 


관측되는 순간 밸런스가 깨져서 점으로 수축됩니다. 

존나 쉽네. 존나 좋아. 


선이라는 말은 움직여야 밸런스가 유지되며 

멈추면(간섭되면, 관측되면) 밸런스가 작살난다는 의미.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154152
2299 마누스는 별 거 없다 new chow 2025-03-30 121
2298 프로그래밍의 본질 update 8 chow 2025-03-30 261
2297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의미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9 202
2296 이재명에게서 힘이 느껴진다 3 신웅 2025-03-28 539
2295 [질문]지능의 환원 구조 2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8 162
» 양자역학의 오해 1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7 252
2293 코끼리의 쇠사슬 image 7 신웅 2025-03-26 322
2292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2 오리 2025-03-26 144
2291 IQ에 대한 오해 image 3 추론이 철학이다 2025-03-26 306
2290 구조론 사이트 검색 기능 개선 image 9 오리 2025-03-26 348
2289 심리치료는 마이너스다 11 신웅 2025-03-23 526
2288 이이윤윤방방민민 chow 2025-03-22 329
2287 글쓰기는 주제 싸움이다 14 신웅 2025-03-20 561
2286 배려 소통 공감은 잡다한 나열에 불과하다 2 이상우 2025-03-20 412
2285 칼럼 쓰는 방법 11 김동렬 2025-03-20 623
2284 이강인이 되는 이유 3 - 천재성 11 신웅 2025-03-20 547
2283 글쓰기는 나를 드러내는 방법 11 신웅 2025-03-20 403
2282 빈곤지능의 문제 (AGI는 언제) chow 2025-03-18 325
2281 마누스의 정체와 AI 업계 상황 image 1 chow 2025-03-17 441
2280 구조론은 잘하는 것입니까? image 8 신웅 2025-03-17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