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14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607 잘난 한국인들아. 1 김동렬 2021-11-29 2940
5606 사색정리 image 1 김동렬 2021-11-28 2561
5605 무신의 난 윤석열 김동렬 2021-11-27 2723
5604 전두환의 추종자들 김동렬 2021-11-27 2428
5603 의리 권력 동원 사회 1 김동렬 2021-11-27 2042
5602 자궁과 도구 1 김동렬 2021-11-26 2182
5601 구조론의 차원 image 김동렬 2021-11-24 2302
5600 전두환은 대통령 된 적이 없다 김동렬 2021-11-24 2591
5599 전두환 죽고 윤석열 어쩌나? 2 김동렬 2021-11-23 3828
5598 노무현 이재명 1 김동렬 2021-11-22 3468
5597 창조보다 구조 김동렬 2021-11-21 2569
5596 전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1-11-21 2808
5595 게임에의 초대 김동렬 2021-11-21 2337
5594 차원 김동렬 2021-11-20 2593
5593 존재론 인식론 김동렬 2021-11-20 2347
» 구조론 김동렬 2021-11-18 2514
5591 왜?는 과학인가? 김동렬 2021-11-18 2451
5590 에서으로의 법칙 김동렬 2021-11-17 2546
5589 대칭은 비대칭이다 김동렬 2021-11-17 2361
5588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1-11-17 2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