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16 vote 0 2016.09.27 (11:27:08)

     

    신의 존재에 대한 견해들


    ◎ 무신론 : 신은 없다.

    ◎ 유신론 : 신이 세계를 창조하고 직접 세계에 개입하고 있다.

    ◎ 이신론 : 신이 세계를 창조한 뒤에는 직접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
    ◎ 범신론 : 신이라는 단어를 쓰지만 신은 물리법칙과 동의이음어다. 

    ◎ 불가지론 : 저 너머에 진리가 있으며 우리는 언젠가 그것을 알 수 있겠지만 당분간은 알지 못한다.

    

    맞는 분류인지는 모르겠으나 대략 이렇게 볼 수 있다. 다신교나 애니미즘 따위 잡다한 것은 논외다.


    구조론은 의사결정원리 중심으로 사유한다. 보통은 원자론 혹은 집합론의 관점에서 사유한다. 구조론과 원자론은 애초에 관점이 맞지 않아 도무지 대화가 안 되는 것이며 따라서 구조론을 원자론적 사유에 기초한 범신론이나 이신론에 억지로 끼워맞추려고 하면 안 된다. 애초에 구분이 다른 거다.


    신이 없으면 의사결정을 못하거나 혹은 신 비슷한 것으로 대체하는데 북한이 하는 꼴을 보면 알 수 있다. 반드시 다른 것이 신의 위치에 올라간다. 그러므로 무신론자들에게도 그들의 신이 있다. 단지 산만할 뿐이다.


    구조론은 불가지론이 아니다. 답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구조론이 모르는 것도 있지만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어떤 경우에도 확실한 답을 준다. 인류는 이미 진리를 알고 있다. 전파되지 않았을 뿐이다.


    무신론은 속 편한 도피일 뿐이다. 어떻든 의사결정은 해야 한다. 무신론자의 손에 핵무기를 맡겨둘 수 있을까? 모택동은 핵전쟁이 일어나도 중국인은 살아남는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핵전쟁도 불사할 태세였다. 그것을 자랑으로 삼았다. 실제로 양차대전에서 수억 명이 죽었다.


    신이라는 개념은 인류가 대집단을 이루었을 때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도출되었으므로 집단의 의지를 거부하고 제 꼴리는대로 하겠다는 넘은 위험인물이니 제거하는게 맞다. 테러리스트와 무엇이 다른가? 인류의 결정을 따라야 한다.


    구조론이 범신론과 유사하게 여겨질 수 있으나 의사결정원리나 수학은 신도 어쩔 수 없는 더 높은 영역의 것이다. 수학이 신이라면 이상하지 않은가? 수학의 정석을 펼쳐놓고 예배를 봐야 하남? 


    범신론은 의사결정의 관점이 배제되어 있다. 소극적으로 자연법칙을 따를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핵전쟁으로 인류가 망하는 지경에 이르러도 생존경쟁은 자연법칙이니 어쩔 수 없다는 식이면 곤란하다.


    이신론의 신은 신이라고 할 수 없다. 세계를 창조할 뿐 간섭하지 않는다면 개새끼라고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인류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안 된다면 상관없는 것이다. 그런 것이 있다한들 무시하면 그만이다. 외계인의 존재와 같다. 


    외계인이 어딘가에 분명 있기는 있을 건데 신경쓰지 말자. 누가 만들었든 창조자의 손을 떠나면 별개의 독립적 존재다. 부모가 자식을 만들었다고 해서 자식의 목숨에 대해 권리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식이 부모를 존중하는 것은 개입하기 때문이다. 불개입이면 불존재와 같다.


    유신론의 창조개념과 개입개념은 구조론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세상이 구조되었다는 것은 창조될 수 없다는 말이다. 이미 구조가 있으므로 창조는 낄 자리가 없다. 구조와 창조는 양립할 수 없는 개념이다. 창조자가 개입할 수도 없다. 의사결정원리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 구조와 창조는 충돌한다.
    ◎ 의사결정원리와 신의 개입은 충돌한다.


    두 가지다. 첫째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세상은 창조된 것이 아니라 구조된 것이다. 구조는 복제다. 원본과 복제본은 연결되어 있다. 둘째 의사결정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자체 의사결정원리를 따를 뿐 외부에서의 억지 개입은 없다. 그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 신이 자의로 수학을 뜯어고칠 수 없는 것과 같다.


    우리는 원자론적 사유에 빠져 있으므로 있다/없다를 기준으로 판단하지만 원자론이 틀린 것이다. 극복해야 한다. 있다/없다는 이미 시공간의 제약을 받는다. 시공간의 제약을 받으면 그것이 어찌 신이겠는가? 임시정부처럼 영토가 없어도 국가는 있다. 임시정부에서 의사결정하면 그것은 있다. 의사결정의 주체가 있다.


    이다/아니다로 판단해야 한다. 추상적 사유를 훈련해야 한다. 우주의 근본원리는 복제원리이며 복제되었으므로 원본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인격체의 형태는 아니다. 사람이라는 것은 꽤나 이상한 동물이다. 사람에다 갖다대는건 자기소개형 언어습관이다. 이 소식을 개가 듣는다면 기분나빠 할 것이다. 개는 신이 개의 형상을 가졌다고 믿을 테니까.


    중요한 것은 인간이 중요한 지점에서 인류 전체를 대표하여 의사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며 의사결정은 상호작용 형태로 일어나는 것이며 그 상호작용 대상이 있다는 것이다. 단 과학의 한계로 물질과 에너지를 넘어선 단계에 대해서는 인간이 알 수 없을 뿐이다.


    하나의 원본이 복제되어 우주가 이룩되었다. 그것은 빅뱅으로 일어난 우리우주와 상관없는 더 넓은 영역의 존재다. 복제과정에서 맥락이 얻어져서 신이 이루어졌다. 물질에서 생명이 나오고 생명에서 마음이 이루어지듯이 신은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과 상호작용한다. 거기까지만 생각할 수 있다.


555.jpg


    맥락을 보는 눈을 얻으면 북극에 가서 북극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북극에 가서 여기에 북극이 있다더니 왜 안보이지? 이런 소리 하면 안 됩니다. 양파껍질을 계속 까면 껍질의 순서가 있는 거지 아무 것도 없는게 아닙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6.09.27 (12:46:03)

불가지론은 불교 즉 석가의 견해죠.
이도 더 발전 되었다면, 의사결정이죠.
초기불경에서 가치쳐 내고 보면, 이성불교 이거든요.
결국, 인간의 뇌의 전두엽의 활성화...
아마도 감성이 문제가 아니라, 지나치게 사람들이 삿된 것에 놀아 났기 때문이겠지요.
선불교도...그리 따지면 이성불교...
감성과 이성의 결합이 대승불교가 아니라 조화가 대승불교인데...
초기불교는 선불교보다 더 이성을 강조하고 있죠.
선불교와 대승불교는 명목상으로 합쳐진 것이지, 전혀 다르다고 여깁니다.
초기불교와 선불교는 이성을 떼놓고 말할 수 없고, 대승불교는 그 자체로 미학인 것이니,

초기불교가 몸에 대해 더 밝히고 있지만, 더 정신성에 영향을 미치고,
선불교가 깨달음을 추구하지만 오히려 더 실천성에 중점이 있는거 같아요.

그냥...불가지론 얘기가 나와서 써본것입니다. 불교는 무신론도 범신론도 아니고 그 당시에 불가지론을 주창했으니, 불교의 초기불교와 선불교는 제대로만 알면 이성이 강화됩니다. 단, 종교라는 특색이 있어서 그런지, 초기불교 쪽으로 가까이 가면, 사람들이 까칠하다는 느낌이 강해집니다. 사라지다시피한 초기불교를 보호하고자 그러한 측면도 있다 여겨지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닌듯 해요. 그때의 에너지가 사람들에게 전달 - 뇌에 영향을 주는 거겠지요.

현재 구조론도 훗날...그러하겠지요. 지금의 영향 그대로...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6.09.27 (12:51:41)

단. 사유는 언제나 현대성을 장착한 툴이 필요한데, 사고의 틀을 현대성에 맞추지 않고는 불가능하죠... 그것이 구조니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48 그것이 그것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0-06 9662
3647 물질이냐 에너지냐 image 김동렬 2016-10-06 8880
3646 참교육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10-05 9484
3645 노벨물리학상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0-05 9139
3644 구조주의 정치학 image 김동렬 2016-10-04 9413
3643 구조론의 개요 image 김동렬 2016-10-03 8507
3642 구조주의 심리학 image 김동렬 2016-10-02 9577
3641 언어에는 언어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6-10-02 8620
3640 왜 한중일미독인가? image 김동렬 2016-10-01 8802
3639 세상은 마이너스다. image 김동렬 2016-10-01 8286
3638 이것이 진짜 한국사다 image 김동렬 2016-09-29 9783
3637 모든 이야기의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6-09-29 8818
3636 구조주의 역사학 세계사 image 김동렬 2016-09-28 9125
3635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6-09-27 9110
3634 죽음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09-27 9117
» 신의 존재에 대한 견해들 image 2 김동렬 2016-09-27 8716
3632 구조론은 범신론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26 8499
3631 이중의 역설을 이해하자 image 8 김동렬 2016-09-26 8860
3630 자기소개 절대로 해라 image 김동렬 2016-09-24 10110
3629 묻지 말고 반격하라 image 김동렬 2016-09-24 8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