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58 vote 0 2015.12.14 (16:41:20)

98.jpg

 


   
    수평으로 벌린 다음 수직으로 제압하라. 이것이 구조론의 출발점이다. 처음 모를 때는 이것저것 수단을 가리지 않고 다 시도해 보므로 다원론이다. 둘을 대칭시켜 수평으로 벌리면 급소가 드러나므로 통제가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노출된다. 이에 다원론에서 2원론으로 발전한다. 수직으로 발전해야 완벽하다. 다시 일원론으로 돌아가야 한다. 대칭된 둘이 따로 놀면 안 되고 한 줄에 꿰어져야 한다. 수평구조는 수직구조로 재편되어야 한다. 2층으로 층수가 올라가야 한다. 에너지를 태우면 된다. 


99.jpg  


    하나는 통제할 수 없다. 사춘기 청소년처럼 말을 안 듣는다. 짝이 필요하다. 대칭을 만들어 둘을 경쟁시키면 말을 듣기 시작한다. 그러나 역시 불완전하다. 둘이 싸운다. 혹은 헤어진다. 둘을 수직적 일의 구조에 태우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외부에서 들어가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계는 완벽하게 제어된다. 수평적 대칭구조를 수직적 대칭구조로 바꾼 것이 모래시계다. 중력이라는 에너지가 투입되어 일하고 있다. 일의 결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말을 듣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12.14 (22:01:29)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아무리 말안듣는 후임이라도 자신의 후임이 들어오면 고참 말을 잘 듣더군요. 사회도 마찬가지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12.15 (17:51:46)

일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막내일 때는 자기 밑으로 일이 이어지지 않고 자기 선에서 끝나지요.

무슨 일이든 끝단에 위치해 있으면 축제 다음 날의 청소부처럼 졸라 짜증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4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918
3290 지가 덕을 이기고 덕이 체를 이긴다 image 1 김동렬 2015-12-21 5244
3289 인생승부는 3라운드다 image 김동렬 2015-12-19 5446
3288 사랑의 정석 15회 1 김동렬 2015-12-18 4794
3287 사랑의 정석 14회 2 김동렬 2015-12-17 4817
3286 깨달음 스무고개 image 1 김동렬 2015-12-16 5034
3285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16 5857
3284 사랑의 정석 13회 image 1 김동렬 2015-12-16 4663
3283 사랑의 정석 12회 5 김동렬 2015-12-15 4991
3282 깨달음은 패턴복제다 image 김동렬 2015-12-15 5267
3281 사랑의 정석 11회 image 1 김동렬 2015-12-14 4681
» 구조론의 제 1의 image 2 김동렬 2015-12-14 5058
3279 사유의 여러가지 모형들 image 김동렬 2015-12-12 4943
3278 사랑의 정석 10회 image 1 김동렬 2015-12-11 4653
3277 사랑의 정석 9회 image 4 김동렬 2015-12-10 4918
3276 좌표와 순서도 image 김동렬 2015-12-10 7579
3275 사랑의 정석 8회 image 1 김동렬 2015-12-09 4916
3274 가장자리가 중심이다 image 1 김동렬 2015-12-09 5302
3273 양자화 단계 image 김동렬 2015-12-08 4957
3272 대칭과 토대 image 김동렬 2015-12-08 4635
3271 구조냐 창조냐 그것이 문제로다. image 김동렬 2015-12-08 4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