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미는 객관적인 실체라고 믿고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왜 자신이 느낀 아름다음을
설명하기 위해 그토록 발버둥을 치겠습니까
내가 느낀 아름다움을 옆에 있는 내 마누라도 느낄 수있다는 믿음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믿으니까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아름다움이 객관적이라는걸 우리가 본능적으로 느끼고 있으니까
남들에게 아름다움을 이해시킬라고 그렇게 노력하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럼 여기서 동렬님에게 질문 하나 드립니다
예전에 신문에서 봤는데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원시시대의 습관(본능?)때문이라고 하던데
그러니까 초원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인간이 초원의 탁트인 경치에서
맹수로 부터 급작스럽게 습격을 당하지 않는다는 안심을 하게 되고
거기서 펴안함을 느끼는 거라고요
숲속에선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아름답지 못하고 추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답니다
그 기사에선 이외에도 인간이 느끼는 대부분의 아름다움은 원시시대의 본능과 연관지어서
설명할수 있다고 했습니다
동렬님의 미학론이 이 기사도 끌어안을 수 있는건지요
아니면 이 학자가 뭔가에 착각을 한것인지....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왜 자신이 느낀 아름다음을
설명하기 위해 그토록 발버둥을 치겠습니까
내가 느낀 아름다움을 옆에 있는 내 마누라도 느낄 수있다는 믿음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믿으니까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아름다움이 객관적이라는걸 우리가 본능적으로 느끼고 있으니까
남들에게 아름다움을 이해시킬라고 그렇게 노력하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럼 여기서 동렬님에게 질문 하나 드립니다
예전에 신문에서 봤는데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원시시대의 습관(본능?)때문이라고 하던데
그러니까 초원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인간이 초원의 탁트인 경치에서
맹수로 부터 급작스럽게 습격을 당하지 않는다는 안심을 하게 되고
거기서 펴안함을 느끼는 거라고요
숲속에선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아름답지 못하고 추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답니다
그 기사에선 이외에도 인간이 느끼는 대부분의 아름다움은 원시시대의 본능과 연관지어서
설명할수 있다고 했습니다
동렬님의 미학론이 이 기사도 끌어안을 수 있는건지요
아니면 이 학자가 뭔가에 착각을 한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