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2031 vote 0 2016.07.16 (22:23:15)

★★★★
<빅쇼트>가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거시 경제학이라면, <라스트 홈>은 미시 경제학

- 김성훈


★★★★
희생자의 자리에서 체감하는 금융 위기. <빅 쇼트>의 리버스 숏
김혜리

★★★★
숫자 뒤에 실존하는 세계의 무게
- 이예지

★★★☆
약한 것이 악한 것이 되는 사악한 연쇄
- 정지혜

★★★★
뺏는 자, 뺏기는 자, 모두 패배하는 제로섬 게임. 당신은 어디에 설 것인가?
- 허남웅


감독이 연출을 잘했다. 대출 연체로 인해 쫓겨난 사람들의 감정을 잘 표현했다. 특히 남자주인공의 연기가 아주 뛰어났다. 아카데미에서 수상을 할 수도 있겠다. 


근데, 그래서, 영화는 망했다.


미시는 언제나 사람의 가슴을 울린다. 눈에 잘 보이기 때문이다. 당신의 곁에 가까이 있어서 아주 잘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언제나 실패한다. 


당신이 망한 진짜 이유는 국가단위에서 행하는 거시의 실패지, 보동산 업자의 미시가 아니다. "당신의 실패"라는 눈에 보이는 증거로 확인할 뿐이지, 릭 카버라는 악덕 부동산 업자가 진짜 원인은 아닌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미시가 원인이라고 한다. 감독은 보통사람들의 감정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그런데 그게 악덕한거다. 감독은 영화를 팔아먹고 싶었을뿐 진실을 말하지 않았다.


이 감독이야 말로 개같은 의도를 가지고 있는거다.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척하면서 바로 그 사람들에게 삥뜯고 있다. 영화속의 악덕 부동산 업자는 몰락 직전에 있는 집주인에게 삥을 뜯는다. 근데 감독이 그 짓을 하는거. 


그래서 눈 앞에 보이는 건 거짓인거다. 언제나 배후에 진짜 의도 두개가 더 있다. 


첫번째 나쁜놈 : 악덕 부동산 업자

두번째 나쁜놈 : 악덕 국가

진짜 나쁜 놈 : 남자 주인공


주인공은 모른척하고 피해자인척 하지만, 사실은 묵인하고 있었다. 자신은 약자라고, 성실하게 돈버는 노동자일뿐이라고, 알면서 눈감고 있었다. 거짓말 마라 당신은 나중에 좆되는거 다 알고 있었다. 약자인척 할 때 당신은 회피한거다. 국가가 멍청한 짓을 하는 걸 보고 있었으면서도, 남에게 보이기 위해 무리해서 집을 샀으면서도 당신은 애써 눈감았었다. 의사결정을 남에게 미루는 당신이 죄인이었다.


성주군 인간들이 하는 짓이 딱 그런거. 그러므로 깨달음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72 무고적 입장 image 아란도 2016-07-28 1894
3871 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 시작 비율이 가장 높은 학년은? 1 이상우 2016-07-27 2129
3870 동강시스타리조트 번개 image 12 ahmoo 2016-07-24 4475
3869 을지로 목요 향연(새사무실 이전기념) image 16 ahmoo 2016-07-21 3070
3868 for의 의미와 언어의 본질(추가) 13 챠우 2016-07-20 3917
3867 동렬옹이 좋아할만한 구절 image 1 수원나그네 2016-07-20 2469
3866 캐릭터의 힘, 수어사이드 스쿼드 할리퀸 image 챠우 2016-07-20 3922
3865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생 차이 1 챠우 2016-07-17 2973
3864 진짜 이야기를 읽고. 1 systema 2016-07-17 1807
3863 국회에 핵발전소 감시기구 설치를 수원나그네 2016-07-17 1669
» 영화 99 Homes(라스트 홈)(수정) 챠우 2016-07-16 2031
3861 구조론 광주 모임 1 탈춤 2016-07-16 1680
3860 밀정 배태현 2016-07-16 1815
3859 언어의 계층 다원이 2016-07-15 1811
3858 야구관련 자동차 광고 상무공단의아침 2016-07-15 1932
3857 구조론 서울 모임 연기 image 1 ahmoo 2016-07-14 1803
3856 [보도기사] 핵발전소, 국민동의 받아야 수원나그네 2016-07-13 1739
3855 애들 축구 이야기 5 이상우 2016-07-12 2070
3854 이명박을 생각한다 8 - 롯데관련 1 수원나그네 2016-07-12 1858
3853 수원대 이야기 3 - 등록금 환불소송 승소 수원나그네 2016-07-08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