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3095 vote 0 2014.02.24 (12:19:13)

제가 전 우주적 스케일로 소설을 하나 써볼까... 하는 생각을 해봤는데요...

문제가 뭐냐 하면, 아무리 가까운 별이라도 4 광년, 가장 가까운 은하만 해도 1000만 광년...!

이렇게 되니까, 다른 별에 존재하는 지성체와 메시지 하나 주고 받는데만도 10 년...

안드로메다는 아예 꿈도 못 꿀 지경...

이래가지고선 사건을 풀어 나가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다고 무슨 텔레파시를 들고 나오긴 우습고, 스타워즈처럼 광속비행기를 만든다 해도, 여전히 무지막지한 거리(=시간)를 극복할 방안이 없는 거죠.

 

이런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결국 소설의 스케일은 의사소통이 가능한 범위로 줄어들고, 기껏 해야 태양계 정도로 국한되겠죠.

이미 침략은 시작되었고, 우리는 당하는 입장에서, 전쟁터는 지구 내지 태양계 정도로 줄어들겠지요. 이건 제가 원하는 바가 아닌데... 일단 온 우주를 한 번 들었다 놔야 하는데 말이죠.

아예 먼 미래를 가정하고, 이동 수단이나 의사소통 문제가 해겨뢰었다는 걸 전제로 깔고 소설을 구상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거저 날로 먹는 것 같아서 맘에 안들구요.

 

그밖에 몇 가지 선결 문제를 들자면,

우선 외계지성이 지구에 관심을 가질 만한 동기가 있어야 하고, 외계지성이 우호적이냐 적대적이냐를 결정해야 합니다.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외계지성의 수준이 지구를 훌쩍 뛰어 넘는다면 그 지성체는 우호적이라고 봅니다. 그들이 항성간 여행을 이루어 낸 수준이라면, 지금의 지구인이 겪는 갈등을 이미 해결했다고 보는 편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우선 소설에서는 외계지성이 지구인에게 적대적이라는(실은 오해임) 가정 하에 세운 지구인의 전략이 나중에 가서 확 틀려버리는 줄거리를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지구 수준모다 못한 존재들은 아예 논외.

외계지성이 적대적이라면, 지구에 관심을 가질 동기가 무엇이냐... 뭐, 흔히 보듯 자기네 별이 오염되어 깨끗한 지구를 탐낸다... 이딴 건 도저히 맘에 안들어요. 유치하기도 하구요.

SF의 거장 아서 클라크나 아이작 아시모프 이래로 뭔가 엄청 큰 스케일이 한 번 터져 줘야 하는데 말이죠...

 

좋은 의견들 주십시요... 꼭 소설이 아니라도, 생각의 지평을 확~ 넓혀 보자 하는 뜻으로 말씀 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4.02.24 (13:30:25)

1.오히려 반대로 문명이 발달한 지구가 그보다 못한 별을 발견하고 공격하는 것은 어떨까요? 

2.외계지성의 수준이 지구를 훌쩍 뛰어넘는다고 해서 우호적일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아프리카나 아메리카 원주민을 대했던 서구인들처럼, 지구인을 미개한 문명이라 생각하고 함부로 대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3.매우 고차원의 우주인이 낮은 문명의 별들을 찾아내고 우호적으로 지켜보는 세계관은 "어슐러 르귄"의 헤인시리즈가 있는데 참고해보실만 하다 생각이 듭니다. 
4.거리를 극복하는 것은 결국 블랙홀 같은걸 들이미는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매우 작은 크기의 블랙홀을 임의적으로 생성이 가능해서, 혹은 지구단위로 블랙홀을 만드는 기구나 관리체가 그걸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이동하게 한다는 식으로? 이건 웹툰 "덴마"에서 평행우주간 이동 통로개념에서 가져와 봤네요.

[레벨:10]다원이

2014.02.24 (14:31:53)

오맹달님께 감사~~~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탈춤

2014.02.24 (14:33:45)

재미는 있겠네요

 

그러나 구조와는 별 관계가 없어보입니다.

이야기의 완결성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요?

그러러면 오히려 공간이 심리적 물리적으로 더 좁아져야되지 않나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4.02.24 (16:08:59)

진지하게 가면 꼬투리 잡힐 일이 백만가지는 될 것이기 때문에

우주적 농담으로 스케일을 키우는 편이 어떨지요.

더글라스 아담스처럼 일단 지구를 일거에 날려버리고 소설을 시작하는 기개를 보여줘야 흥미가 좀 붙을 듯...

[레벨:10]다원이

2014.02.24 (16:17:27)

ahamoo 님 스케일에 두손 들었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4.02.27 (13:53:46)

우주 스케일이 크다고 생각이 들면 작다고 생각하면 됨 소설이니까~


우주는 바다위에 떠 있는 하나의 섬 정도로 생각하고


그 바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서 풀어간다거나 해서


우주보다 더 큰 이야기를 하면 자연스럽게 우주 문제 따윈 해결될듯


창의력 수준에 따른 문제겠지만 ㅇ ㅡ ㅇ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우주적 스케일의 소설 구상 6 다원이 2014-02-24 3095
2591 도덕성 image 무진 2014-02-24 2471
2590 방금 정오 뉴스 보니 2 다원이 2014-02-23 2404
2589 5만원권이 지하로 가면 어찌될까? 6 까뮈 2014-02-22 2679
2588 소치 올림픽 인상적인 장면들 image sus4 2014-02-22 2423
2587 21일(금) 구조론 광주모임안내 탈춤 2014-02-21 1898
2586 김연아 프리 무슨 수로 보나 14 까뮈 2014-02-20 3145
2585 페북에서 본 이상한 뉴스 image 김동렬 2014-02-20 3116
2584 김연아 - 당신은 김연아입니다 3 락에이지 2014-02-19 3334
2583 히말라야 염소 2 무진 2014-02-19 2672
2582 이번주 구조론연구소 모임 취소 4 냥모 2014-02-19 2988
2581 어제 카사블랑카(1942년)를 오랜만에 다시 보니 까뮈 2014-02-19 2079
2580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꼴신 2014-02-18 1991
2579 올해 한화 이글스 우승? image 3 냥모 2014-02-18 8344
2578 유럽엔 구조론 식구 없으신가요? 3 차우 2014-02-18 2191
2577 프랑스와 독일 그리고 사과 다원이 2014-02-18 2400
2576 홍차의 거의 모든것 image 24 곱슬이 2014-02-16 4267
2575 14일 구조론 광주모임안내 탈춤 2014-02-14 2001
2574 쇼트랙 보기가 민망하다. 4 까뮈 2014-02-13 3414
2573 귀차니즘에 관한 질문입니다. 3 하루 2014-02-13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