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12 vote 0 2019.08.16 (23:33:35)

      

    구조론의 개요


    세상은 에너지로 되어 있고, 에너지는 사건을 일으키고, 사건은 구조로 나타난다. 에너지는 본래의 확산방향을 일정한 조건에서 수렴방향으로 틀면서 계를 이루고 사건을 일으킨다. 사건은 균일한 계 내부에서 성립하는 대칭의 형태로 구조를 작동시켜 단계적인 의사결정의 방법으로 외력의 작용에 따른 계 내부의 모순을 처리한다. 


    하나의 사건은 일련의 연속적인 의사결정으로 일어난다.  내부에서 처리된 에너지는 또 다른 모순을 야기하므로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일련의 연속적인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건단위 안에서 구조는 세부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계 내부의 모순을 처리하여 마침내 사건을 완전히 종결시킨다. 


    사건은 계 내부의 에너지의 모순을 처리하면서 연속적인 의사결정이라는 생명력을 갖고 외력에 맞서 자기를 유지한다. 우리는 그것을 존재라 부른다. 우리는 사물을 보고 존재를 인식하지만 양자역학으로 깊이 파고들자면 사물의 집합으로 파악되는 존재는 인간의 착각이고 실제로는 에너지 활동에 따른 사건의 연결이 존재할 뿐이다.


    우리가 자연에서 목격하는 모든 것이 실제로는 에너지의 작용에 따른 사건의 부단한 연결이다. 가만히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은 없고 한곳에서 격렬하게 맴도는 것과 자리를 바꾸는 것만 있다. 존재는 언제나 변화하며 겉으로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과 속에서 은밀히 변화하는 것이 있을 뿐이다. 보이는 운동과 감추어진 운동이다.


    우리는 구조에 의해 처리된 사건의 결과를 보고 원인을 추론할 수 있고, 대칭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사건 내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사건의 각 단계에 개입하여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으로 특정한 결과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일련의 연속적인 의사결정으로 일어나는 사건의 연결과정을 관찰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알아낼 수 있다.


    문제는 우리가 사건의 드러난 결과에 주목할 뿐 감추어진 원인을 모르고 내부의 구조를 모르며 의심하지도 않는다는 점이다. 대개 사건을 포착했을 때는 이미 사건이 끝난 시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너지의 방향성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알 수 있다. 우리는 비가 오는 것을 보고 그 전에 구름이 모여들었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다. 


    원인에서 촉발된 사건이 결과까지 진행하기 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구름이 모이는 것을 보고 비를 맞기 전에 우산을 준비할 수 있다. 그러려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의 전모를 파악해야 한다.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알고, 머리와 꼬리를 알고 시작과 종결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연속적인 의사결정의 어느 단계인지 알아야 한다.


    원인과 결과의 중간 단계에서 작동하는 축과 대칭의 구조를 알면 적절히 개입하여 사건의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건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 그러려면 이미 끝난 사건의 결과에 대응하려는 뒷북치기 태도를 버리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의 원인에 대응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선제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자연에 실제로 있는 것은 다만 변화이며, 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오직 운동이며,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은 그 운동의 방향뿐이다. 우리는 에너지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으로만 자연에 개입할 수 있고 사건을 통제할 수 있고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의 중간단계에 개입하여 사건의 진행방향을 틀 수 있다.


    에너지는 오로지 확산방향과 수렴방향이 있을 뿐이다. 확산하면 흩어지고 수렴하면 모인다. 에너지는 이 두 가지 모습이 있을 뿐이다. 에너지가 수렴방향으로 모이면 균일한 계가 만들어지고 사건은 균일한 계에서 일어나며, 균일하면 대칭되고, 대칭은 둘이 하나의 토대를 공유하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그 효율성이 자연의 엔진이 된다.


    효율은 최소작용의 원리를 따르며 엔트로피의 원리로 나타난다. 우리는 최소작용의 원리와 엔트로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의 가는 길을 추적할 수 있다. 자연에서 그것은 결이다. 에너지는 결따라 간다. 에너지는 단지 갈 수 있는 길을 가는 것이며 그 길은 효율성에 따른 최소작용, 최단거리, 최소저항, 최소시간, 최적화의 길이다. 


    문제는 단기적으로는 최소시간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최대시간이 되는 수가 있다는 점이다. 사건은 중첩된다. 큰 사건 속에 작은 사건이 포개져 있다. 부분으로는 최소작용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최대작용이 된다. 그 경우 망한다. 사건은 중간에 엎어진다. 자동차는 가다가 퍼지고 빛은 가다가 흡수되고 영화는 제작하다가 엎어진다. 


    우리는 닫힌계를 살펴보는 방법으로 이 부분을 잘 구분하여 사건이 진행하는 경로를 명석하게 알아낼 수 있다. 사건이 중간에 엎어지지 않게 유도할 수 있다. 빛이 흡수되지 않고 최소시간을 가도록, 물질이 쪼개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도록, 과실이 떨어지지 않고 열매를 맺도록 관리할 수 있다. 에너지 효율성으로 통제할 수 있다.


    세상은 원자의 집합이 아니고, 사물의 존재도 아니고, 사건의 연결이다. 사건은 일련의 연속적인 의사결정이다. 구조론은 사건의 과학이다. 사건은 균일한 계 안에서 에너지의 방향전환에 따른 5단계의 연쇄적인 의사결정으로 일어난다. 사건을 진행시키는 힘은 대칭된 둘이 하나의 축을 공유하는 데 따른 구조의 효율성에서 얻어진다. 


    구조는 대칭의 축을 틀어쥐고 1로 2를 결정하는 데 따른 효율성을 가지므로 힘이 있어 만유의 근본이 된다. 역사이래 인류의 학문하는 자세는 이미 종결된 사건의 결과측에 서서 원인측을 되짚어보는 것이었다. 사건 내부에 뛰어들지는 못한다. 과녁에 꽂힌 화살을 보고 그 화살을 쏜 범인을 잡으려 하지만 범인은 이미 달아나고 없다. 


    선제대응하여 날아가는 화살을 붙잡아 올라타고 화살의 진행방향을 바꾸려고 한 사람은 일찍이 없었다. 잘못된 방향으로 가는 버스의 핸들을 잡고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 이에 거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구조가 아니면 안 된다. 구조가 만유의 엔진이다. 엔진을 획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건 내부를 통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17 (02:40:16)

"우리는 오직 에너지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으로만 자연에 개입할 수 있고 사건을 통제할 수 있고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http://gujoron.com/xe/111518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47 존재가 있다 1 김동렬 2019-08-25 4518
4546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4 김동렬 2019-08-24 3945
4545 사건의 얼개 1 김동렬 2019-08-22 4266
4544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5640
4543 연역이 좋다 3 김동렬 2019-08-21 3954
4542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637
4541 진리와의 대화 2 김동렬 2019-08-19 3922
4540 용맹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김동렬 2019-08-18 3913
4539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799
» 구조론의 개요 1 김동렬 2019-08-16 5812
4537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765
4536 몬티홀의 좋은 소식 1 김동렬 2019-08-15 4562
4535 목적이 아니라 방향이다 1 김동렬 2019-08-13 4004
4534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3358
4533 에너지의 수렴원리 1 김동렬 2019-08-11 5055
4532 최소작용의 원리 1 김동렬 2019-08-09 4517
4531 양자중력이론 1 김동렬 2019-08-08 4310
4530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9-08-07 7114
4529 문학의 구조 1 김동렬 2019-08-06 4596
4528 엔트로피의 결론 1 김동렬 2019-08-06 3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