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42 vote 0 2019.08.06 (14:20:41)


    엔트로피의 결론


    우리가 엔트로피를 배워야 하는 이유는 지루한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왜 논쟁은 일어나는가? 왜 논쟁은 끝나지 않는가? 대칭의 상대성 때문이다. 세상은 온통 대칭이다. 대칭은 이원론으로 보인다. 앞이 있으면 뒤가 있고, 좌가 있으면 우가 있다.


    항상 반대편이 있다. 각자의 입장에서는 각자의 주장이 맞다. 대칭은 이쪽에서 저쪽으로 갈 수 있으면 저쪽에서 이쪽으로 올 수도 있다는 거다. 균일하다. 그러므로 결론을 내리지 못한다. 진보와 보수 사이에, 한국과 일본 사이에, 부자와 빈자 사이에 의견이 팽팽해져 버린다.


    우리는 도처에서 이런 식의 교착상태를 목도한다. 대칭은 바보들에게 희망을 준다. 누가 아무리 타당한 주장을 하더라도 나는 어깃장을 놓고 반대논거를 끌어대서 상대를 엿먹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대칭원리로 보면 말도 안 되는 지구평면설도 정당한 학설처럼 된다.


    환빠들이 어깨에 힘을 주는 것이 당연하다. 창조과학회가 학자 행세를 한다. 라면교가 종교로 인정받아 양심적 병역거부를 선언한다. 대칭에 의해 전방위로 교착되어 세상은 개판으로 된다. 이 사태를 어이할까? 노자의 무리는 희희낙락하고 공자의 제자들은 치명상을 입는다.


    모든 음모론과 사이비와 이단 종교가 권력을 획득한다. 이쯤 되면 세상은 멸망으로 치닫는 특급열차에 올라탄 셈이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왜? 아무리 타당한 주장이라도 반대주장으로 어깃장을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보루인 수학도 끝내 두 손 두 발을 들어버렸다.


    이론적으로 무모순이며 완전한 공리계는 없다. 근원적인 허점을 들켜버린 것이다. 그러나 걱정 붙들어 매시라. 엔트로피가 정리한다. 사물로 보면 세상은 허점투성이지만 사건으로 보면 대칭 2는 토대 1로 환원된다. 대칭된 둘은 사라지고 그사이를 잇는 라인 1이 부각된다.


    라인을 끊어버리면 대칭은 소멸된다. 피아구분이 탄생하고 사건의 주도권이 성립하고 방향과 순서가 정립되며 기관차와 객차가 구분되고 머리와 꼬리가 분별된다. 왼발과 오른발은 대칭이지만 머리와 꼬리는 비대칭이다. 이에 정의가 승리하고 선이 악을 제압하게 되는 것이다.


    정통이 이단을 물리치고 공자가 노자를 제압하고 족보와 정통성과 계통이 강조되며 곁가지는 처리된다. 매커니즘이 강조된다. 대칭은 둘이지만 그사이를 잇는 메커니즘은 하나다. 좌우 둘은 횡대 1로 축소되고, 전후 2는 종대 1로 축소되며 동서남북 넷은 종횡으로 압축된다.


    모든 벌여 세워진 2는 소굴 1로 후퇴한다. 거기에 닫힌계를 씌워버리면 깔끔하다. 군더더기는 청소된다. 세상은 깊은 어둠 속에서 건져진다. 죄 많은 인간이 순수한 어린이로 거듭나니 기쁜 소식이다. 세상은 대칭이지만 동시에 비대칭이다. 시작은 상대적이나 끝은 절대적이다.


    망치와 모루 전술이다. 1법칙으로 받쳐놓고 2법칙으로 때린다. 1법칙은 자리를 지키고 2법칙은 한 방향으로 몰아간다. 모든 난삽한 것을 엔트로피의 빗자루로 쓸어 담는다. 세상이라는 집은 1법칙으로 간격을 벌리고 2법칙으로 일으켜 세운다. 모습을 바꾸고 제자리를 정한다.


    바퀴가 축을 얻어야 일할 수 있다. 바퀴는 대칭이지만 축은 비대칭이다. 사물은 대칭이지만 사건은 비대칭이다. 머무르는 것은 대칭이지만 움직이는 것은 비대칭이다. 핸들은 대칭이지만 가속페달은 비대칭이다. 귀는 좌우를 각각 담당하지만 인간의 눈은 한 방향만 바라본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10 (15:25:52)

"사물은 대칭이지만 사건은 비대칭이다. 머무르는 것은 대칭이지만 움직이는 것은 비대칭이다."

http://gujoron.com/xe/111241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47 존재가 있다 1 김동렬 2019-08-25 4518
4546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4 김동렬 2019-08-24 3945
4545 사건의 얼개 1 김동렬 2019-08-22 4266
4544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5640
4543 연역이 좋다 3 김동렬 2019-08-21 3954
4542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637
4541 진리와의 대화 2 김동렬 2019-08-19 3921
4540 용맹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김동렬 2019-08-18 3913
4539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799
4538 구조론의 개요 1 김동렬 2019-08-16 5812
4537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765
4536 몬티홀의 좋은 소식 1 김동렬 2019-08-15 4562
4535 목적이 아니라 방향이다 1 김동렬 2019-08-13 4004
4534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3358
4533 에너지의 수렴원리 1 김동렬 2019-08-11 5054
4532 최소작용의 원리 1 김동렬 2019-08-09 4517
4531 양자중력이론 1 김동렬 2019-08-08 4309
4530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9-08-07 7114
4529 문학의 구조 1 김동렬 2019-08-06 4595
» 엔트로피의 결론 1 김동렬 2019-08-06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