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Level:18]챠우
read 3920 vote 0 2016.06.24 (14:50:06)

제목이 이중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대략 봐도 대박일듯. 제목은 편안한 고향길(휴양길)이 지옥길이 된다는 컨셉.

오래전부터 좀비물이 흥행대박을 보장한다고 생각했는데, 좀비물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도망치는 본능을 자극하기 때문. 영화치고 쫓고쫓기지 않는거 없음. 뭐 인생도 비슷해 보이긴 하지만.

게다가 구조론에서 늘 강조하던 닫힌 공간인 기차를 잘 사용했을것 같은데, 물론 이건 잘 사용하는게 문제가 아니라 선택이 문제임. 그냥 배경으로 기차를 고르면 연출이 특별히 띨띨하지 않는이상 자연스럽게 아이디어가 샘솟는단말.


설국열차를 잇는 기차물이 될 수도.


프로필 이미지 [Level:19]id: 태현태현

2016.06.24 (16:34:15)

생각해보면 기차물 한국영화도 꽤 있군요.

'라이터를 켜라' , '튜브','설국열차'

튜브는 폼만 잡다가 폭망

라이터는 아기자기한 맛에 아기자기하게 흥행

설국은 감독,배우 이름값에 작품성은 비교대상이 아니지만

심형래의 '디워'처럼 애국심+호기심(외국물먹은 영화래) 마케팅에 의한 흥행.

부산행은 말씀데로 구조론적 요소가 여러개 접목된 블럭버스터로 영화는 봐봐야 알겠지만 천만가능할지도.



감독 필모를 보니 애니감독으로 화려한 필모의 소유자네요. 

부산행은 실질적인 첫 실사영화작품이며 그의 전작 애니'서울역'의 시퀄.

프로필 이미지 [Level:12]락에이지

2016.06.24 (19:16:21)

애니메이션으로 명성을 쌓은 감독의 첫 실사영화라.. 흥미롭군요.

애니 '서울역' 을 보진 않았고 위에 올리신 짧은 영상을 본게 다지만 애니를 통해 감독이 어떤것을 표현하고 싶었는지 감이 오네요.


첨부하는 음악은 애니 '서울역' 과 너무 잘 어울리는 노래인거 같아 올려봅니다.

물론 음악이 애니보다 훨씬 먼저 나왔죠.


넥스트(N.EX.T) 서울역 (2004)


방관의 시선들이 무심히 지나며 오고 또 가기 위해 있는 이 곳에 드러누운 사람들 날개를 다친 새들, 시간이 흐르면 상처가 모두 아문 뒤에도 나는 법을 잊는다 맑게 갠 날에조차 그 빛이 들지 않는 건 창문이 닫힌 채로 있기 때문이지 오 삶이여 이 추운 밤 이 메마른 밤끝내 동은 터오지 않으려나 고단한 한숨과 탄식조차 멈춰버리기 전에 이미 시들어 버린 희망의 꽃잎들 빈약한 뿌리는 살아있는 것인가 혹은 죽은 것인가 마지막 삶의 끈을 놓아버렸다면 저 근육과 뼈는 살아있는 것인가 혹은 죽은 것인가 맑게 갠 날에조차 그 빛이 들지 않는 건 창문이 닫힌 채로 있기 때문이지 오 삶이여 이 추운 밤 이 메마른 밤 끝내 동은 터오지 않으려나 고단한 한숨과 탄식조차 멈춰버리기 전에 이 추운 밤 이 메마른 밤 끝내 동은 터오지 않으려나 고단한 한숨과 탄식조차 멈춰버리기 전에

프로필 이미지 [Level:19]id: 태현태현

2016.06.25 (17:05:16)

bgm으로 써도 딱이겠네요. 

감독의 연령대가 신해철음악듣고 자란세대.

영향을 받고 자랐겠죠.

프로필 이미지 [Level:18]챠우

2016.06.24 (23:44:49)

방금 곡성을 보고 느낀건데,
역시 영화는 어두워야한다는 느낌.
근데 이 영화는 너무 밝네요.
프로필 이미지 [Level:19]id: 태현태현

2016.06.25 (17:06:24)

예고편만으로 보면 '해운대'삘이 나긴하네요.애니는 좀 어두워 보이는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52 진도 5.0 그리고 핵발전소 위험 논문 image 1 수원나그네 Jul 06, 2016 3480
3851 눈마님에게 12 수원나그네 Jul 05, 2016 3617
3850 구조론 아포리즘 감상하기 image 13 오리 Jul 05, 2016 3888
3849 수원대 이야기 2 수원나그네 Jul 04, 2016 7118
3848 조선일보는 언론을 가장한 범죄집단1 image 1 수원나그네 Jul 03, 2016 3599
3847 우리나라에서 최초 개발된 소금물(바닷물) 밧데리 수원나그네 Jul 03, 2016 3657
3846 깨달음 systema Jul 02, 2016 6215
3845 연상호 감독의 애니 '돼지의 왕' 락에이지 Jun 30, 2016 3880
3844 주말 보령모임 재공지 image 9 김동렬 Jun 30, 2016 3627
3843 수원대 이야기1 수원나그네 Jun 29, 2016 3083
3842 7월12일 부산에서 벌어질 일 image 수원나그네 Jun 26, 2016 3713
3841 김무성과 이인수가 만든 영웅 1 수원나그네 Jun 25, 2016 4246
» 영화 부산행 5 챠우 Jun 24, 2016 3920
3839 을지로 목요 향연 image ahmoo Jun 23, 2016 5850
3838 화장실 없는 집 1 수원나그네 Jun 21, 2016 3797
3837 7월 충남보령 구조론모임 공지 (무창포 비체팰리스) 5 이산 Jun 20, 2016 4364
3836 딥러닝으로 배우는 합리적 사고의 방법 챠우 Jun 19, 2016 4273
3835 [만화] 핵발전소 이제 그만 ! 수원나그네 Jun 17, 2016 3448
3834 균일/불균일로 본 전쟁 systema Jun 17, 2016 3359
3833 비내린 아침에 1 큰바위 Jun 16, 2016 3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