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1002
유화
182x126.7Cm
2010
소나무 밑둥 그림입니다.
그리느라 힘이 많이 들었지요!

![포인트:27183point (37%), 레벨:17/30 [레벨:17]](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7.gif)

![포인트:44451point (22%),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질문한가지...
나무 밑둥을 저리도 사실적으로 그리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나무 밑둥이 너무 좋으셔서 그런건지, 나무 밑둥을 이렇게 실감나게 그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신 것인지
아울러 밑둥을 그리시면서 무슨 생각을 하셨는지 그리고 난뒤에는 무슨 생각을 하시는지
그림에 대해서 사람들은 어떤 느낌을 주로 말하는지
저의 우문에 대한 그린 분의 현답을 기대합니다.

![포인트:314point (82%), 레벨:1/30 [레벨: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gif)
기본적으로 예술은 잘란척 하려고 하는 것 입니다.
그림의 주제는 생명 입니다. 저는 생명의 모습이 나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생명 이구요..
밑둥을 그린것은 사진을 찍으러 돌아 다닐때 그 모습이 제 안으로 들어 온것 이고요.
그리면서는 참 힘들다는 생각으로 그렸고요. 끝내고 나서는 잘했다 생각을 합니다.

![포인트:21046point (28%),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일단... 그림을 비평할 처지는 아니지만.
혹시 이런 건가 하고 드는 생각이...
-----
의식을 뛰어넘는 실존.
그 실존의 존재를 더욱 극명하게 사실적으로 보여주려는 의도
주관을 최대한 배제하려 하면서 '생명' 그 자체를 말하고 싶은 욕구?
그 추구함과 노력과 능력을 '잘난척'(작가님의 말씀인용)
사진보다 더 실제같이 그려낸 실존을 보면서
너의 주관을 훌쩍 넘어서 존재하는 저 유유한 생명력을 클로즈업해서 보라.(?)
어쨌든 예술은 대화하고 소통하려는 욕구.
자신을 확장시키고 공동체의 중심에 다다르려는 추구.
자기느낌과 방식에서 출발할 수 밖에 없고,
그건 한가지 방법만은 아닐테고
얼마나 공동체의 내면을 파고들어 합일할 수 있는지는 작가와 관객의 몫
---------
극사실주의.
음매 기죽이는 능력이십니다.^^
무심코 지나치던 생명력
단단하고 거대하게 대지를 움퀴어 쥔 발톱.

![포인트:44451point (22%), 레벨:22/30 [레벨:2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2.gif)
두분 답글에 힘을 얻습니다.
나무가 금방이라도 걸을 태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