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read 4396 vote 0 2005.04.11 (19:31:52)

우리말에 ‘당신’이란 말이 있다. ①마주 앉아 말하고 있는 사람 아닌 다른 어른을 높여 부를 때 “당신께서 살아 계실 때 아끼시던 책이다.” ②아주 높여 말할 자리의 그 대상을 부를 때 “하느님이시여, 당신의 은혜를 베푸소서.” ③예사로 높여 말할 자리의 그 사람을 부를 때 “당신이 해 보구려.” ④남편과 아내가 서로 부를 때 “여보, 당신” 들처럼 쓰인다.

이 깨끗한 ‘당신’이란 우리말도 우리 사전장이들은 그대로 두지 않고 어김없이 한자로 더럽혀 놓았다. ‘當身’ 이라는 한자말을 어거지로 갖다 붙인 것이다.

중국에서는 우리말 ‘당신’ 대신 ‘니나’(니納), ‘니라오’(니老), ‘닌’(닌), ‘닌라오’(닌老)라고 한다.

중국에서만 쓰고 우리는 쓴 일이 없는 ‘당선’(當身)이라는 중국말에는 “몸, 제 몸, 이 몸, (바로)그 몸, 알맞은 몸, 몸뚱이” 따위 ‘몸’이나 ‘당사자’라는 뜻밖에 없다. 우리말 ‘당신’이라는 그런 뜻은 없는 것이다.

어쨌거나 우리말 ‘당신’과 한자말 ‘當身’은 통하는 데가 없다. ‘當身’을 쓴 것은 ‘당신’의 취음으로서뿐이다.

한자 없이도 우리는 ‘당-’을 “당골, 당내(살아 있는 동안), 당달봉사, 당닭, 당맞이굿, 당의엥이(버마재비:제주), 당조짐(단단히 다잡음), 당차다, 당헤(‘뱀’의 심마니말)” 들, 아무데나 쓴다. 사람에 관한 ‘-신’도 “갱신(몸을 움직임), 등신, 대신, 삭신, 어르신, 왕신(올곧지 않은 사람)
” 들에 쓰인다.

<우리말큰사전>(1992)에 이미 ‘당신’은 우리말이고, ‘當身’은 ‘당사자’라는 뜻이라고 했음에도, <표준국어대사전>(1999)에까지 ‘당신’(當身)으로 한 것은 너무한 것이다.

------------------------------------------------------------------------------------

이와 유사하게 순 우리말인데도 한자말로 오해된 경우는 매우 많다. 한겨레에서 이를 집중 연재한 적도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 당신의 문제 김동렬 2005-04-11 4396
71 외국인에게 한국어가 들리지 않는 이유 2005-04-04 5386
70 항하사 2005-03-24 3734
69 어원관련 자료 김동렬 2004-09-07 3696
68 사람은 말 배우기전 생각의 틀부터 갖춰 2004-07-26 3644
67 인류 최초의 언어는? 김동렬 2004-07-22 10038
66 라후족이 고구려의 후손? 김동렬 2004-07-09 6854
65 우리말과 일본어 김동렬 2004-06-30 3927
64 마씸과 마쓰 김동렬 2004-05-18 9488
63 "한민족 대다수 조상은 중국 중북부 농경민족" 김동렬 2004-05-13 4606
62 남녀의 생식기 김동렬 2004-05-08 4774
61 [신동아] 우리말은 우랄알타이어가 아니다. 김동렬 2003-12-31 17511
60 구릉과 구렁 김동렬 2003-12-26 3580
59 벌bee+벼룩flea 김동렬 2003-12-04 3988
58 내일은 모레 김동렬 2003-11-11 4677
57 아빠와 파파, 피플과 퍼플 김동렬 2003-10-23 3530
56 닭&gt;달&gt;달구 김동렬 2003-09-30 4180
55 언어가 만들어진 이유 김동렬 2003-09-23 3419
54 빈대떡의 어원은 빙져? 김동렬 2003-09-23 4915
53 so와 서, 소 김동렬 2003-09-18 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