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physicalscience&no=161498&_rk=urT&page=1
한번 보시길
2020.11.23 (04:15:52)
----
일단 이해하기 쉽게 3차방정식의 3개의 근을 a, b, c라 해봅시다.
또 저 근이 하나의 삼각형의 세 꼭지점이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런데 이 세개의 근을 이리저리 순서를 바꿀수가 있겠죠?
abc>bca>cab>abc 이렇게 말이죠? 그리고 3번의 변형으로 처음과 순서가 같아 졌습니다.
마찬가지로 삼각형도 360도를 회전시키면 처음과 같아지죠. 처음과 대칭이된 것입니다.
대칭이란 것은 쉽게 말해서 이렇게 어떤 변화해도 변화하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처음과 대칭을 이루게 하는 변환은 많으니 나중에 혼자 알아보세요.
이 대목을 읽고 게임이론이 떠오르는데
게임이론의 캐치프라이즈(?)가 네가 생각하는 것을 내가 생각하고 있다고 네가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는 생각한다.[1]인데 뭔가 뇌를 간지럽히는 부분이 있네요.
방정식의 발전된 형태가 게임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쨌든 저는 이걸로 모든 철학적 문제를 수학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는 느낌을 얻었습니다.
----
일단 이해하기 쉽게 3차방정식의 3개의 근을 a, b, c라 해봅시다.
또 저 근이 하나의 삼각형의 세 꼭지점이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런데 이 세개의 근을 이리저리 순서를 바꿀수가 있겠죠?
abc>bca>cab>abc 이렇게 말이죠? 그리고 3번의 변형으로 처음과 순서가 같아 졌습니다.
마찬가지로 삼각형도 360도를 회전시키면 처음과 같아지죠. 처음과 대칭이된 것입니다.
대칭이란 것은 쉽게 말해서 이렇게 어떤 변화해도 변화하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처음과 대칭을 이루게 하는 변환은 많으니 나중에 혼자 알아보세요.
----
이 대목을 읽고 게임이론이 떠오르는데
게임이론의 캐치프라이즈(?)가 네가 생각하는 것을 내가 생각하고 있다고 네가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는 생각한다.[1]인데 뭔가 뇌를 간지럽히는 부분이 있네요.
방정식의 발전된 형태가 게임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쨌든 저는 이걸로 모든 철학적 문제를 수학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는 느낌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