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내손님
read 3654 vote 0 2011.12.24 (17:15:28)

구조론 부흥회에서 변리사분이 한분이 계셨습니다. (아이디가 기억이 나지 않네요..)

모인 분들 모두 발표 기회를 갖게 되었고 변리사님도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한 가지 질문을 하셧는데 이 곳에 생각을 정리해 올려 보려고 합니다. 


먼저 질문입니다. 

한 발명자가 의자를 만들었습니다. 이 의자는 통풍을 위해 (엉덩이)받침대가 망사로 되어있고,  

의자 다리 끝 부분은 바닥을 파고 들지 않게 신발형태를 갖도록 하였습니다. 


변리사는 이 발명의 특허 문건을 작성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의 청구항 이라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청구1항    받침대 틀 + 망사 + 다리 

청구2항   1항 + 신발형태의 다리

청구3항   ....


여기서 질문입니다. 이 부분은 제 기억이라 왜곡되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청구1항이 최선의 선택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이 보다 낳은 것(보다 넒은 범위를 갖는)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요? 

         청구 1항을 질로 본다면 어떻게 최선의 질을 찾을 수 있죠?


제가 생각한 위 질문의 의도입니다. 

구조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변리사의 일은 특허에 대한 청구항을 권리 범위를 최대한 갖도록 작성하는 데 있다. 

그렇다면 청구항 작성시 이를 구조론 적으로 접근한다면 명쾌하게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예컨대 구조론을 이용한 글쓰기 처럼요.

토의 중에 이에 맞는 결론은 제대로 내리지 못한 걸로 저는 인지 했습니다.


이제 부터는 제가 생각한 부분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발명자 :  불편 -> (내부 처리) = 의자 발명

                                                 ↓

변리사 :                                  특허작성 -> (내부 처리) = 청구항1, 청구항2, 청구항3


내가 생각하는 구조론은 원입니다. 시작 - 끝, 끝이 시작 - 끝, ....

여기서 청구항들은 같은 포지션(양)에 존재합니다.  청구항들 사이에 어떠한 에너지 흐름이 없습니다. 

따라서 청구1항, 청구항 들을 질로 볼 수 없습니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계로 볼수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청구1항이 최선의 권리 범위 일까요? 

청구항 작성시 말씀하신 그 과정(내부처리)이 정답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과정들이 경험이고, 나쁜길로 간 것이 될 수도 있고, 하지 않을까요?


만약 구조론을 통해서 최선의 청구항을 알 수 있다면

그말은 구조론을 알면 사회 현상에 대해서 최선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 말은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구조론을 알면 방향을 안다는 것이 아닐까요? 

변리사님은 지금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족한 부분 지적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신현균

2011.12.26 (11:02:12)

당시의 문제는 질문이 잘못된데서부터 시작 되었는데,

질문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준 사람은 있었으나
질문을 이렇게 바꿔서 하면 제대로 된 답변을 해주겠다고 한 사람은 없었던거죠.

 

변리사분의 질문을 수정하자면,

'현재의 포지션이 하위 레벨이란 것을 어떻게 알고 탑레벨로 올라갈 수 있는가'  또는

'현재의 포지션이 최상위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내가 틀렸다는걸 알 수 있는가'

정도가 되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72 우리나라 사람들이 산수를 잘 하는 이유? image 3 ahmoo 2011-12-26 2873
1371 당신이 뭘하든 마이너스다. 정청와 2011-12-26 2411
1370 감사 정청와 2011-12-26 2128
1369 구조론 모임- 정다방 프로젝트에서... image 22 아란도 2011-12-25 3705
1368 미학적이상주의-한 꽃이 피었겠네 1 정청와 2011-12-25 2248
1367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성능 비교 7 신현균 2011-12-25 2567
1366 부흥대성회 완전 부흥 3 양을 쫓는 모험 2011-12-25 2343
1365 반가웠습니다. 11 sunbee7 2011-12-24 2418
» 특허 청구항에 대한 구조적 접근 1 내손님 2011-12-24 3654
1363 누구? 2 일반이론 2011-12-24 2143
1362 밑에 양자이야기가 나와서 양자 컴퓨터..? image 카르마 2011-12-24 2594
1361 동렬님의 양자구조론 관련 질문입니다. 1 water 2011-12-24 2517
1360 정부는 조문을 전면 허용하라. 1 노매드 2011-12-24 2355
1359 동렬님 뿌리깊은 나무에서 1 불휘 2011-12-23 2384
1358 세상에서... 정청와 2011-12-23 2106
1357 왜 무언가가 있을까? 정청와 2011-12-23 2293
1356 '김광수 경제연구소'의 방향성은 어떤지요? 5 딱선생 2011-12-23 2961
1355 깨달음의 용도 2 정청와 2011-12-22 2110
1354 우리 같이 놀아요 정청와 2011-12-22 2614
1353 바람이 분다 3 정청와 2011-12-22 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