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사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120 vote 0 2008.12.30 (12:37:37)

 

안다는 것의 출발점


세상이 어수선한 이유는 안다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왜 그러한가? 체계(體系)를 모르기 때문이다.


세상이 혼돈스런 이유는 안다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조리(條理)있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왜 그러한가? 조리(條理)를 모르기 때문이다.


조리(條理)란 무엇인가? ‘앞뒤가 들어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다. 조리가 있어야 비로소 체계가 선다. 조리와 체계는 안팎으로 짝을 이룬다.


체계는 계(系) 내부에 요소들을 품어안고 있다.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상호간에 결합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것이 조리(條理)다.


체계 내 요소들 간의 결합관계가 구조(構造)다. 구조가 들어맞는 것이 조리다. 구조를 모르기 때문에 조리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바른 지식은 구조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 구조를 알아야 비로소 안다는 사람들이 아는 것을 체계적이고 조리있게 설명할 수 있다.


구조는 체계를 구성하는 갈피들 간의 구조다. 갈피는 사물의 갈래가 구별되는 어름이다. 체계는 계통을 이루는 바 그 계통이 갈라지는 부분이 갈피다.


그것은 신체나 사물의 관절과도 같다. 하나의 체계가 있다면 반드시 내부에 머리와 가슴과 배와 팔다리가 있다. 이들의 결합관계가 구조다.


하나의 체계 안에는 반드시 다섯 개의 갈피들이 숨어 있다. 그것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 그리고 원소다.


이 갈피들 사이의 질서를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갈피들 사이에는 어떤 질서가 숨어 있는가?


나침반의 N극과 S극이 갈피다. N극과 S극을 구분하지 못하면 나침반이 있다해도 갈피를 잡을 수 없으니 길을 찾아갈 수 없다.


갈피를 잡아야 한다.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요소들 상호간의 결합관계를 알아야 한다. 조리를 알아야 한다. 비로소 체계를 알 수 있다. 


존재는 구조(structure)와 체계(system)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와 체계 사이에는 평형(equilibrium)이 있다. 평형은 밸런스(balance)로도 설명할 수 있다.


체계(體系)는 체(體)를 품은 계(系)다. 체(體)가 곧 평형이다. 계는 체(평형)를 품고, 체는 구조를 품고, 구조는 전개를 품고, 전개는 원소를 품는다.


체계-평형-구조-전개-원소로 이어지는 흐름이 계(系)다. 계(系)는 이을 계다. 어떻게 잇는가?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로 잇는다.


이러한 이음새가 곧 갈피다. 오늘날 지식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혼미에 빠진 이유는 체계 내의 결합관계에 따른 정합성과 긴밀성을 모르기 때문이다.


체계와 평형과 구조와 전개와 원소 사이에 숨은 질서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접근경로를 모르기 때문이다.


그 순서와 방향을 아는 것이 조리를 아는 것이다. 조리를 알아야 조리있게 인식할 수 있다. 먼저 갈피부터 잡아야 한다. 

● 존재는 체계(體系)를 가진다.

● 체계는 체계-평형-구조-전개-원소의 다섯 갈피를 품고 있다.

● 갈피들 사이에 결합관계의 긴밀성과 정합성이라는 조리(條理)가 존재한다.

● 그것은 순서와 방향 곧 우선순위와 접근경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 닫힌계 김동렬 2008-12-30 8281
11 차원(次元) 김동렬 2008-12-30 6689
» 안다는 것의 출발점 김동렬 2008-12-30 6120
9 주의..주의는 가치에 대한 문제다 김동렬 2008-12-30 5909
8 욕망을 혁명하라 김동렬 2008-12-30 5964
7 삶과 철학 김동렬 2008-12-30 5178
6 철학의 주소지는 어디인가? 김동렬 2008-12-30 5942
5 소통이 혁신이다 김동렬 2008-12-30 6645
4 막힘과 뚫림 김동렬 2008-12-30 6234
3 구조론사전 체계 김동렬 2008-12-30 6439
2 구조론사전 이야기 김동렬 2008-12-30 6062
1 구조론사전(업데합) 김동렬 2008-12-30 5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