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는 플러스 사고 [유튜브]
원문기사 URL : | https://www.youtube.com/shorts/B9K9NcnmN_c |
---|

추론이 철학이다 2025.02.01
인간에게 샌드위치를 만들라고 명령하면 단번에 알아먹는 이유는
숨은 전제 10만 가지 정도가 포함되었기 때문
숨은 전제는 마이너스 사고인데
자동차를 타고 운전을 한다면
내가 어떤 길을 가겠다고 선택하기 이전에
불가능한 선택지 10만 가지가 전제되어 있는 것
역주행을 한다거나, 신호를 어긴다거나
절벽으로 간다거나, 계단으로 간다거나
숲을 간다거나, 바다로 간다거나
안되는 선택지를 모두 배제한 다음에
가능한 선택지를 후차적으로 선택한다는 거
그런데 컴퓨터는 안되는 선택지를 생략하고
되는 선택지부터 생각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
범위를 정해 놓고 좁히는 사고와
범위를 정하지 않고 무작정 늘려가는 사고의 차이
범위를 정해 놓지 않고 늘려가면 무한히 늘어나서 한도 끝도 없음
안되는 선택지는 지엽적으로 봐서 10만 가지인 것이지
구조론을 통해 정보를 분류하고 패턴을 찾고 통합하면
어떠한 원리 몇 가지로 간추려진다는 것
주사위를 굴렸는데 3이 떴다면
3이 뜬 이유는 정확히 몰라..
근데 7 이상이 뜨지 않는 이유는 100%
7 이상이 뜨지 않는 것에 주목
7 이상이 우선 뜨지 않는 확실성 안에서
1에서 6까지 어떤 수가 뜰지의 불확실성이 있는 것
이것은 인공지능의 문제가 아니라
우선 인간은 사고를 어떻게 하는가?를 따져봐야 할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