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방

알파 이볼브는 창의하는가?

원문기사 URL : https://www.geeky-gadgets.com/alpha-evol...-learning/ 
프로필 이미지
chow  2025.05.22

알파 이볼브는 인상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있습니다. 인간이 정의한 문제와 평가 지표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율성이 제한되어 새로운 과제를 독립적으로 식별하거나 정의할 없습니다


Google DeepMind 개발한 Alpha Evolve 인간이 정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드를 반복적으로 개선하는 혁신적인 AI 코딩 에이전트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 활용한 자기 개선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이 지점이 핵심인데, 정의를 새로 만들지 않으면 창의는 불가능하기 때문.

왜 어떤 인간이 어떤 정의를 새로 만드는 지 생각해보면 대강 답이 나옵니다.

창의를 하는 이유는 이겨야 하는 게임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엘리트가 창의하지 않고 고지식한 이유는 이길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하층민이 창의하는 이유는 이길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엔 인간이 엘리트인 거고, 그럼 인공지능이 하층민이냐? 

그건 아니죠. 빈곤지능이 이겨야 하는 이유가 없잖아요.

창의의 의미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기는 것, 지배하는 것에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만드려고 하는한 모자라디오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겁니다.

창의는 개선과 다릅니다. 재귀적 자기 개선 개념도 문제가 있는데, 


혼자 딸딸이 쳐서 애를 만들겠다는 소리.

진화의 의미를 잘 생각해봐야 합니다. 

생물의 진화는 언제나 환경을 변화시켜왔습니다.

공진화했다는 말입니다.

그럼 알파이볼브는 뭐랑 공진화하는데?


알파제로에도 있는 게 알파이볼브에 없다는 게 신기할 따름.

왜? 바둑은 이기는 게 명확한데,

언어는 이기는 게 불명확해.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골머리 싸매는 게 

평가함수를 만드는 건데

그걸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근데 이 경우는 그걸 만들어야 하는 지를 생각하는 게 쉽지 않아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