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은 왜 다섯일까요? 짝수보다 홀수가 더 편안한듯. 벌 입장에서 의사결정하기 쉽다는 거. 짝수는 대칭, 대칭은 변화할 수
있는 상태. 변하면 무서움. 홀수는 대칭을 깨뜨려서 안정. 변화가능성을 제거. 네개면 두 개의 선이 교차된 형태. 선은 진행.
벌이 진행하면 날아가버려. 그 꽃에서 떠나가버려. 파트너를 붙잡으려면 홀수로 구성해야 할듯.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홀수. 홀수는 언제나 짝수 더하기 하나. 두개씩 묶어 짝수를 소거해 버리면 하나가 남으므로 의사결정이 쉬움.

![포인트:20700point (16%),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길모퉁이를 돌아서면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지만,
아마도 멋진 세계가 있으리라 믿어요.
게다가 머릴러, 길모퉁이라는 것에도 마음이 끌려요.
길모퉁이란 그 앞이 어떻게 뻗어나가는지 모르는 데 매력이 있는 것 아니겠어요?

![포인트:12036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포인트:52771point (21%), 레벨:24/30 [레벨:24]](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4.gif)
![포인트:1349point (85%), 레벨:3/30 [레벨: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gif)
필요한 건 길들여지지 않은 혀
지금을 있는 그대로 맛볼 것
관념은 지나간 것이라고 하잖소
야생마처럼 그냥 내달릴 것

![포인트:120363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포인트:20700point (16%),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정밀한 복제.. 진화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환경을 복제한 결과로 일어납니다. 공룡이 두 다리로 걷다가 팔이 쓸모가 없어져서 허공에서 팔을 허우적거리니 날개짓이 자동으로 되어 날개달린 새가 된 거죠. 공룡때부터 깃털은 있었고. 팔을 허우적댈 대 깃털이 바람을 받아 나부꼈고 그 때문에 날개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