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18 vote 0 2014.07.23 (18:36:07)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3015895&pageIndex=1


나는 산과 노지를 자주 다녀봐서 안다!! <- 천만에 글쓴이는 산과 노지를 자주 다녀보지 않은 사람입니다. 다녔다 해도 관찰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깡마른 풀들은.. 작년 가을 것으로 보인다!! <- 작년 가을 풀이 남아있으면 농사는 어떻게 짓죠? 작년 가을에 벼나 보리를 베고 남은 하단부의 그루터기는 5월까지 굳건하게 남아있다가 한 달 사이에 완벽하게 사라집니다. 그렇게 안 되면 아예 농사를 못짓죠. 

변사체에 눌린 풀씨가 햇볕을 못 받아 올해에 발아 자체를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전부 올해 난 풀입니다. 딱 보면 모릅니까? 풀밭의 모든 풀들은 모두 올해 새로난 풀이며 작년의 풀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그게 언제냐 하면 딱 5월에 사라집니다. 겨울에 벼 베고 볏짚을 그냥 논에 뿌려놓는 경우가 많은데 봄까지 남아있다가 갑자기 깨끗하게 사라집니다. 


###


아고라의 원문은 시골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 쓴 글입니다. 그런데 리플들을 보면 농사 지어봤다는 분이 맞장구를 치고 있어요. 이게 확증편향이죠. 


아고라 따위에 잘 나오는 이야기에 이런게 있습니다. 비닐봉지를 뜯은 빵을 놔뒀는데 6개월 동안 곰팡이가 피지 않았다. 얼마나 방부제를 많이 뿌렸기에? <- 장마철에는 하루 안에 곰팡이가 핍니다. 겨울에는 6개월 이상 버티기도 합니다. 즉 누구나 빵에 곰팡이가 잘 피지 않더라는 경험과, 곰팡이가 너무나 잘 피더라는 경험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것이며 확증편향에 따라 필요한 기억을 뇌 안에서 발췌해내는 거지요. 


늘 말하지만 보통사람의 보통판단은 보통 틀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2014.07.25 (18:44:32)

확증편향의 뜻.. 오늘 또하나 배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04
1266 우째 이런 일이 image 7 김동렬 2016-08-23 3932
1265 검은 사제들에서 봐야할 것 김동렬 2015-12-15 3931
» 확증편향의 예 1 김동렬 2014-07-23 3918
1263 김기덕이 영화 "아리랑"으로 한 일 2 ░담 2012-10-26 3913
1262 힘이 논리다. 2 ░담 2011-01-14 3910
1261 호빗족의 입장 6 김동렬 2017-01-11 3909
1260 새로운 학문의 체계를 건설해야 1 김동렬 2013-12-26 3908
1259 정글의 법칙 거짓말 찾기 image 1 김동렬 2013-02-13 3904
1258 코끼리의 코는 처음부터 길었다. image 김동렬 2015-11-19 3896
1257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3893
1256 북유럽 모델의 환상 4 김동렬 2014-04-01 3890
1255 가스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3 오세 2011-03-01 3887
1254 장안생할 격주 목요 모임 image 3 오리 2022-08-25 3886
1253 다르다는 맞고 틀리다는 틀리다? 11 김동렬 2016-09-08 3884
1252 북한은 완전 해갈인데 image 김동렬 2015-07-13 3882
1251 구조론 생각의 정석 13회 오세 2013-09-26 3880
1250 꿈의 발견 3 담 |/_ 2013-06-03 3880
1249 신립장군이 새재를 지켰다면? image 김동렬 2015-04-07 3878
1248 섬강에 배를 띄우면 image 8 김동렬 2013-02-19 3878
1247 검은백조는 없다. 3 르페 2011-06-16 3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