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62 vote 0 2024.04.16 (15:51:30)

    동력


    우주의 근본 모순이 있다. 그것은 부정의 법칙이다. 마이너스의 원리다. 우주는 나빠지면서 동력을 생산한다. 밸런스의 복원력이다. 세상은 변화하며 모든 변화는 나빠지지만 우리는 이를 역이용할 수 있다. 나빠지는 만큼 좋아지는 타이밍에 편승해야 한다.


    인간은 죽는다. 이는 나빠지는 것이다. 생명은 탄생한다. 이는 좋아지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나빠지면서 부분적으로 좋아진다. 산기슭에 자라는 야생화는 활엽수에 잎이 자라기 전에 일제히 피어난다. 타이밍이 늦어서 잎이 그늘을 만들면 꽃을 피울 수 없다.


    우주의 원리는 나빠지는 것이다. 엔트로피 증대 원리로 설명된다. 좋아지고 나빠진다는 말은 중립적 표현이 아니다. 자연에 좋고 나쁜 것은 없다. 중요한 것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 간다는 것이다. 예측할 수 있고 대응할 수 있다. 이길 수 있고 확신할 수 있다.


    운명


    나는 사랑을 믿지 않는다. 대신 운명을 믿는다. 좋은 사람을 만나려면 꾸며야 한다. 그 속에 거짓이 있다. 실패한다. 권력 메커니즘 때문이다. 동물은 수컷끼리 싸워서 하나가 남는다. 선택의 여지를 없앤다. 인간은 상대가 기준을 충족하면 다시 허들을 높인다.


    허들을 낮추면 상대가 흥미를 잃는다. 긍정하려면 부정해야 하는 모순이다. 부정은 세상이 작동하는 원리다. 동물은 동료를 부정한다. 수컷은 다른 수컷을 부정하여 암컷을 얻는다. 사람은 상대를 부정한다. 허들을 높여서 상대가 내 기준에 맞추도록 압박한다.


    사랑은 서로가 허들을 높이는 위태로운 게임이다. 반면 운명은 선택의 여지가 사라진 상태다. 동물은 수컷끼리 경쟁하여 선택의 여지를 제거하지만 인간은 환경의 압박에 의해 선택의 여지가 제거된다. 서로 협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에 자신을 가두게 된다.


    게임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다. 인생의 목적은 행복이 아니고, 쾌락이 아니고, 성공이 아니다. 인간은 이겨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 수렁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수렁에서 탈출하는 미션이 주어졌다. 세상은 마이너스다. 가만있으면 죽는 상황에 빠져 있는 것이다.


    행복과 쾌락과 성공은 인간에게 자신이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수단에 불과하다. DNA에 새겨진 본능의 프로그램에 의해 인간은 행복과 불행, 쾌락과 고통, 성공과 실패 중에서 선택하려다가 자신이 힘든 게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인간은 경사로에 위태롭게 서 있는 존재다. 가만있으면 깔때기 속의 구멍으로 굴러떨어진다. 시험에 든 것이다. 의사결정해야 한다. 안으로는 호르몬을 이기고 밖으로는 환경을 이겨야 한다. 좋은 흐름이 돌아왔을 때 타이밍을 맞추어 동료의 손을 잡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60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871
6859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380
6858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529
6857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415
6856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333
6855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732
6854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285
6853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952
6852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808
6851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004
6850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442
6849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320
6848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197
6847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036
6846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469
6845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108
6844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166
6843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110
6842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235
6841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796